•  


[석창인 博士의 오늘 뭐 먹지?]민어, 한여름 보양食의 ‘甲’|東亞日報

[석창인 博士의 오늘 뭐 먹지?]민어, 한여름 보양食의 ‘甲’

  • 東亞日報
  • 入力 2018年 8月 16日 03時 00分


코멘트
수원 산하복집의 ‘민어회’. 석창인 씨 제공
水原 傘下복집의 ‘民魚膾’. 석창인 氏 提供
석창인 석치과 원장·일명 밥집헌터
석창인 석치과 院長·一名 밥집헌터
平素 아재개그랍시고 아주 추운 날에는 “날씨가 많이 시원하다!”고 하고 그 反對일 境遇엔 “날씨가 참 따뜻하다!”라며 弄을 하면 親舊들은 피식 웃으면서도 暫時나마 추위나 더위를 잊곤 합니다. 올해 유난한 무더위도 分明 이달이 지나면 꺾일 것이고, 박완서 作家의 小說 題目에 빗대어 ‘그해 여름은 따뜻했네’ 하는 追憶거리가 되겠지요.

伏날 炎天에 저만의 여름나기 祕法을 굳이 말한다면, 여름 生鮮 3種 세트 征服입니다. 大型 병어(덕자)를 始作으로 갯長魚(하모) 그리고 民魚가 바로 그것입니다. 안타깝게도 歲 生鮮은 價格이 좀 비쌉니다. 庶民이 쉽게 接近할 수 있는 魚種이 아닌 것이지요. 고약하게도 民魚는 百姓 민(民)에 물고기 어(魚)를 씁니다. 元來는 面語(綿魚)라 불렀다는데 面語의 中國 發音이 民魚와 類似하여 그리 바뀌었다는 說도 있군요.

옛 兩班들의 글에도 심심치 않게 民魚가 登場합니다. 정약전 先生의 玆山魚譜에는 ‘큰 것은 길이가 4, 5字이다. 비늘과 입이 크고 맛이 淡淡하고 좋다. 날것이나 익힌 것이나 모두 좋고 말린 것은 더욱 몸에 좋다. 부레로는 阿膠를 만든다.’

壓卷은 秋史 金正喜 先生입니다. 팔拂拭(八不食)을 외치며 攝生에 徹底했던 孔子님을 欽慕해서일까요? 流配 中에 아내에게 보낸 便紙글에 이런 句節이 있습니다. ‘民魚를 軟하고 무름한 것으로 가려 사서 보내게 하십시오. 내려온 것은 살이 썩어 먹을 길이 없습니다.’ 그러면서 眞藏(陳醬·검정콩으로 쑨 메주로 담가 빛이 까만 간醬)도 보내고 아울러 좋은 겨자와 魚卵까지 付託합니다.

예부터 여름 保養食으로 ‘民魚찜이 一品, 도미찜은 二品, 補身湯은 三品’이라 하였으나 最近엔 補身湯 烈風이 많이 사그라진 듯하고, 도미 料理도 흔치 않습니다. 그 자리를 蔘鷄湯이나 白熟이 차지한 느낌입니다.

위에 言及한 여름 生鮮 3種 세트에는 筆者 나름의 順序가 있습니다. 6月이 始作돼 에어컨이 必要하다고 느낄 때 병어를 찾기 始作하는데, 그 즈음 병어는 고소한 버터 맛을 느낄 수 있지요. 初伏 前後부터는 갯長魚會와 샤부샤부로 옮겨 가고, 末伏이 다가오면 民魚를 찾기 始作하지만 民魚 값이 다락처럼 오릅니다. 차라리 末伏이 지난 뒤부터 8月 末까지 民魚를 찾는다면 一般 百姓도 充分히 누릴 수 있는 好事家 됩니다.

며칠 前 民魚湯을 먹으러 갔는데 마침 옆자리에 머리는 짧고 팔뚝엔 무늬가 搖亂한 손님들이 앉았습니다. 湯은 팔팔 끓는데 등 자락엔 식은땀이 흐릅니다. 다시 한 番 느끼지만 伏날 더위 이기는 데 民魚를 따라올 飮食이 없어 보입니다.

석창인 석치과 院長·一名 밥집헌터 s2118704@naver.com

○ 傘下복집 京畿 수원시 장안구 滿席로 203 民魚膾(中) 6萬 원

○ 노들강 서울 강남구 江南大路114길 21 民魚膾(中) 8萬 원

○ 慶南膾집 仁川 中區 우현로49번길 25 民魚膾(소) 8萬 원
#民魚膾 #傘下복집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