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커피 시원지는 예멘 아닌 에티오피아|新東亞

테이스터 朴英淳의 커피 人文學

커피 시원지는 예멘 아닌 에티오피아

  • 朴英淳|경민대 호텔外食調理學科 兼任敎授 twitnews@naver.com

    入力 2017-08-13 09:00:01

  • 글字크기 설정 닫기
    • 커피의 시원地(始原地)는 예멘이 아니라 에티오피아다. 그럼에도 예멘은 커피 歷史에서 寶石 같은 存在다. 예멘이 없었다면, 아직도 커피는 아프리카의 깊숙한 溪谷에 숨어 있었을지도 모른다.
    예멘은 아시아 西쪽 끝의 나라다. 아라비아半島 南端에 位置, 紅海를 사이에 두고 에티오피아와 마주 보고 있다. 커피나무가 에티오피아에서 처음 자라나 예멘으로 傳해졌다는 事實은 只今에야 常識으로 통하지만, 1000年을 훌쩍 넘는 긴 歲月 동안 커피의 시원지는 예멘으로 알려졌다. 人類 歷史에서 커피를 처음 耕作한 나라가 예멘이며, 커피나무들이 이곳에서 네덜란드와 프랑스를 거쳐 아시아와 아메리카로 퍼져나갔기 때문이다.



    칼디의 故鄕을 따지는 理由

    에티오피아엔 커피에 關한 口傳이 있을 뿐이지만 예멘, 사우디아라비아, 시리아, 이란 等 이슬람 圈域에선 9世紀쯤부터 커피에 對한 記錄을 남겼다. 이에 따라 커피는 에티오피아를 제치고 애初부터 이슬람의 飮料인 것으로 오랫동안 받아들여졌다. 그러다 18世紀에 커피가 유럽人을 매료시키며 世界 구석구석으로 퍼질 즈음 眞實이 드러나기 始作했다. 카를 폰 린네(1707~1778)가 植物을 分類하고, 찰스 다윈(1809∼1882)李 種(種)의 뿌리를 追跡한 데 이어 왓슨과 클리크가 1953年 遺傳子 構造를 밝히는 等 一連의 科學的 探究 끝에 커피 시원지는 예멘이 아니라 에티오피아인 것으로 뒤늦게 밝혀졌다. 그럼에도 예멘은 커피 歷史에서 寶石 같은 存在다. 예멘이 없었다면, 아직도 커피는 아프리카의 깊숙한 溪谷에 숨어 있었을지도 모른다.

    커피의 起源과 關聯해 ‘마호메트(Mahomet)의 傳說’이 있다. 마호메트가 洞窟에서 苦行을 하면서 거의 죽을 地境이 됐는데, 꿈에 가브리엘 天使가 나타나 빨간 열매를 따 먹으라고 알려줬다는 內容이다. 빨간 열매가 바로 커피나무 열매였으며, 마호메트는 天使의 말대로 열매를 따먹고 健康을 回復했다. 이 이야기가 傳해지면서 무슬림 사이에선 “커피를 몸에 담은 者는 地獄불에 떨어지지 않는다”는 所聞이 났다. 무슬림들은 커피가 ‘마호메트를 살린 神의 飮料’라고 자랑하길 좋아한다.?

    마호메트의 傳說이 事實이라면, 커피 시원지는 에티오피아-예멘이 아닌 사우디아라비아다. 마호메트가 태어난 곳도, 苦行을 한 곳도 메카였기 때문이다. 더욱이 커피의 起源 時點도 7世紀 初로 特定된다. 마호메트는 570年 태어났으며, 40歲 되던 610年에 洞窟 苦行에서 神의 啓示를 받고 이슬람敎를 創始했다.



    이보다 時期가 앞선 起源說로 ‘칼디(Kaldi)의 傳說’이 있다. 鹽素知己 少年 칼디가 커피나무를 처음 發見했다는 內容이다. 칼디는 어느 날 염소들이 체리처럼 생긴 붉은 열매를 따 먹고 興奮해 춤을 추는 듯한 모습을 目擊했다. 궁금한 마음에 自身도 열매를 따 먹어보니 精神이 맑아지고 氣分이 爽快해지는 걸 느꼈다. 칼디는 마을의 修道院을 찾아가 이 事實을 알리며 열매를 건넸다. 修道士들이 커피 열매가 잠을 쫓는 效果를 낸다는 事實을 알아내고 밤새워 祈禱를 올릴 때 커피 열매를 먹게 되면서 漸次 周邊으로 퍼져나갔다는 이야기다.


    커피의 眞正한 祝福

    칼디가 어느 時期 人物인지는 明確하지 않다. 事緣이 口傳으로만 이어져서다. 말을 傳하는 사람마다 紀元前 2~3世紀, 紀元後 2~3世紀, 紀元後 6~7世紀 等 가지各色이다. 따라서 칼디의 傳說을 紹介할 땐 그 時期를 ‘아주 먼 옛날(A long time ago)’이라고 言及한다. 칼디와 염소들이 어우러져 춤을 추는 여러 種類의 想像圖엔 칼디가 아랍人 服裝을 한 무슬림으로, 때론 웃통을 벗은 아프리카 原住民으로 描寫된다. 칼디가 예멘人인지, 에티오피아인인지 區別이 明確하지 않은 탓이다.

    遺傳子 分析 結果, 에티오피아가 커피나무 시원地로 밝혀졌다고 해서 예멘보다 더 깊은 歷史를 지닌 건 아니다. 에티오피아 建國神話를 보면, 그들의 핏줄엔 예멘 祖上의 피가 흐른다. 에티오피아의 起源은 只今부터 3000年 前 솔로몬왕 時代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아프리카에선 드물게 뼛속 깊이 舊約聖書를 믿는 國家인 것이다. 反面 예멘의 歷史는 이보다 앞서면서 宗敎的 色彩가 多神敎를 거쳐 이슬람敎로 굳어진다. 아랍人의 由來와 그 文化의 始作을 찾을 수 있는 곳이 바로 예멘이다.

    이런 點에서 칼디의 正體性을 따지는 건 곧 예멘과 에티오피아의 起源은 勿論 古代 宗敎들의 뿌리, 相互 聯關性과 變化狀을 省察하는 멋진 실마리가 아닐 수 없겠다. 유대敎와 多神敎의 만남이 에티오피아를 孕胎했으며, 이 過程에서 多神敎는 舊約聖書에 눈을 떠 後날 이슬람敎를 내면화할 수 있는 經驗을 한다. 이스라엘-예멘-에티오피아의 歷史가 커피에서 만나 한데 어우러지고, 유대敎-多神敎-基督敎-이슬람敎가 舊約聖書를 土臺로 交感을 나눈다는 事實은 커피 愛好家로선 가슴 벅찬 일이다.

    宗敎로 因해 人類는 얼마나 많은 苦痛을 겪어왔는가. 宗敎는 和合보다는 逆說的이게도 人類를 敵과 同志로 破片化하는 쐐기로 作用하기도 했음을 否認할 수 없다. 이런 現實에서 커피를 통해 人類가 같은 뿌리에서 나왔음을 얘기하며 同質感을 찾아가는 機會를 갖는 건 값진 일이다. 이것이야말로 커피가 우리에게 주는 祝福이다.



    시바 女王, 歷史的 事實로 再誕生

    예멘의 起源을 찾아가다 보면 아랍(Arab)의 始作을 만난다. 아랍은 페르시아灣, 印度洋, 아덴灣, 紅海에 둘러싸인 아시아 西南部를 일컫는 地名이다. 아라비아(Arabia)半島가 곧 아랍을 意味한다. 古代 페르시아語의 ‘아라비아(Arabya)’ 亦是 메소포타미아 西쪽과 南쪽 땅을 가리킨 地名에서 나왔다. 4大 文明 發祥地 中 하나인 메소포타미아의 사람들은 유프라테스 江 너머 西쪽에 居住하는 民族을 아랍人이라고 불렀다. 메소포타미아에선 紀元前 5000年頃 文字를 使用한 歷史時代가 열렸으며, 紀元前 3500年頃엔 수메르人이 都市를 形成했다. 그러다 紀元前 1000年頃부터 아라비아半島 南部(只今의 예멘)에 巨大한 無理가 살고 있는 것을 發見하게 된다. 이들은 셈족 言語를 驅使했는데, 아라비아 中北部 沙漠地帶의 遊牧民과 달리 定着 生活을 하며 都市國家 性格의 王國을 形成했다. 이것이 紀元前 955年부터 840餘 年間 富裕함을 자랑하며 繁榮한 시바(Sheba) 王國이다. 사바(Saba)라고도 하는 이 王國엔 女王이 君臨하고 있었다.

    시바의 女王(Queen of Sheba)은 明確한 이름 없이, 그 存在마저도 舊約聖書 一部와 口錢을 통해 傳說처럼 傳해져왔다. 그러나 2000年에 英國-캐나다-美國 發掘팀이 예멘 北部 루브알칼리 沙漠의 마리브(Marib)에서 시바 女王의 神殿 等 王國의 遺跡을 發掘함으로써 實存한 歷史임이 立證됐다. 마리브는 現在 예멘 首都인 사나(Sanaa)에서 東쪽으로 100km 떨어져 있으며 海拔高度 1200m 高地帶에 造成된 古代 都市로 시바 王國의 首都였다. 當時 마리브의 規模는 隣近의 ‘그레이트 마리브댐(Great Dam of Marib)’을 통해 推定할 수 있다. 紀元前 7~8世紀에 建設된 이 댐은 길이 580m에 높이는 4m에 達했다. 紀元前 2世紀頃엔 높이가 14m로 增築돼 周邊 100㎢ 面積에 사는 數萬 名에게 물을 供給했다.


    아랍人은 어디서 왔나

    시바의 女王이 이끈 아랍人은 어디서 왔을까. 이들은 世界에서 가장 오래된 言語 中 하나인 셈語(Semitic languages)를 使用했다. 셈은 舊約聖書 創世記에 나오는 노아의 세 아들 中 長男. 아랍人은 셈의 後孫으로서 셈語를 驅使하는 民族들 中 하나였다.

    아라비아半島에 살던 셈족 一部가 紀元前 3500年頃 北上해 나일 江 隣近에 살던 함族(함은 노아의 아들로 아프리카人의 祖上)과 어우러지면서 이집트人이 됐다. 紀元前 3000年頃 아라비아 沙漠을 橫斷해 메소포타미아로 進出한 셈족의 한 分派가 바빌로니아人의 祖上이 됐다. 또 紀元前 2500年頃 팔레스타인에서 北部 메소포타미아를 거쳐 이란 高原에 이르는 ‘肥沃한 初生달 地帶(Fertile Crescent)’에 定着한 셈족은 아무르人, 레바논과 시리아 等 地中海 東部 沿岸으로 이동한 無理는 페니키아人이 됐다. 셈족의 移動은 繼續됐다. 紀元前 1400年頃엔 시리아 南部地域에 居處를 定해 아랍人이 됐으며, 시리아 南部와 팔레스타인 地域에 定着한 分派는 유대人(Jewish)의 祖上이 됐다.

    시바의 女王이 登場하는 時點은 紀元前 1000年頃인데, 舊約聖書와 코란에 行跡이 적혀 있다. 舊約聖書의 列王記上(列王記上)에 시바의 女王이 솔로몬 王의 名聲을 듣고 그를 試驗해보려 예루살렘을 찾아간 대목이 나온다. 솔로몬 王의 在位期間이 紀元前 961~922年이므로 시바 女王이 活躍하던 時期도 特定된다. 聖書는 시바 女王이 솔로몬의 智慧에 歎服하고 黃金과 寶石, 沒藥, 享有 等 값진 物件을 바쳤다고 記錄했다.

    이를 둘러싸고 記錄은 없지만 興味를 끄는 얘기가 多數 傳한다. 솔로몬 王은 시바 女王의 美貌와 賢明함에 魅了돼 妙策을 쓴다. 盛大한 파티를 열고 시바 女王에게 “나의 許諾 없이 飮食을 먹는다면 나의 要求에 應해야 한다”고 提案한다. 시바 女王은 기꺼이 受容했지만, 그날 밤 잠을 자던 中 너무나 목이 말라 물을 마셨다. 솔로몬이 파티 飮食에 香辛料를 많이 넣도록 策略을 부린 탓이다. 約束을 깨고 許諾 없이 물을 마신 것을 빌미로 솔로몬 王은 시바 女王의 몸에 손을 대는 걸 許諾받는다. 그 結果 둘 사이에 男子아이가 孕胎되는데, 그가 後날 에티오피아 初代 皇帝가 되는 메넬리크 1歲다.



    어머니 나라, 예멘

    솔로몬 王은 유대敎를, 시바 女王은 多神敎를 崇尙했지만 두 사람은 모두 셈족이었다. 셈족끼리 낳은 子息은 마땅히 셈족이므로 이스라엘과 시바(예멘), 에티오피아는 같은 핏줄인 것이다. 메넬리크가 皇帝에 오른 過程을 보면, 에티오피아의 初代 宗敎는 유대敎였다. 22歲 靑年으로 成長한 메넬리크는 예루살렘을 찾아가 히브리 律法과 유대 信仰을 工夫하고 유대敎式 洗禮를 받았다. 에티오피아인들은 當時 메넬리크가 王位를 물려주겠다는 솔로몬 王의 뜻을 鄭重히 拒絶하고 에티오피아의 악숨(Axum)으로 돌아와 솔로몬 血統의 王國을 이어갔다고 主張한다. 솔로몬 王은 메넬리크가 時바로 돌아갈 때 聖職者와 學者, 技術者 等 1萬2000名의 유대人을 同行케 했으며, 모세가 하늘에서 받은 十誡命을 保管한 法櫃(Art of the Covenant)를 준 것으로 傳한다. 이 法櫃는 首都인 아디스아바바에서 960km假量 떨어진 악숨의 ‘性 마리아 시온敎會’에 安置돼 現在까지 保管되고 있다는데, 이를 實際로 본 사람은 아무도 없다.

    에티오피아는 이처럼 시바 王國에서 나왔다. 시바와 에티오피아가 같은 나라였다는 主張도 적지 않다. 이탈리아 베네치아의 무라노 修道院에서 1459年 製作한 世界地圖에는 시바의 都市들이 에티오피아에도 있는 것으로 나와 있다. 紅海를 사이에 두고 兩쪽으로 나뉜 에티오피아와 예멘 地域 모두 시바 王國의 領土였다는 見解가 優勢하다. 紅海엔 바다의 幅이 8km 程度인 곳이 있어 오래前부터 兩側의 往來가 잦았으며, 이 過程에서 自然스레 예멘 쪽 시바人들이 에티오피아에 定着한 것으로 觀測된다. 에티오피아에선 시바 女王이 악숨에 首都를 定하고 東아프리카 全 地域과 예멘을 다스렸다는 口傳도 이어지고 있다.



    힘야르 王國의 出現

    그러나 에티오피아에 傳해지는 시바 女王의 이야기는 좀 다르다. 建國神話에서 시바의 女王은 ‘에티에 아제브’라는 이름으로 登場한다. 에티오피아 歷史學者들은 시바 女王이 紅海 건너 예멘 쪽이 아니라 에티오피아에 살았다고 主張한다. 악숨에선 시바 女王 宮殿이라는 古代 建築物이 發掘되기도 했다.

    舊約聖書를 믿는 에티오피아와 一部 아랍人은 커피나무가 太初부터 에덴동산에 있었다고 主張한다. 에덴동산의 位置에 對해선 意見이 紛紛하다. 페르시아灣 깊숙이 位置한 쿠웨이트와 이라크 南部 附近이라는 主張이 있으며, 예루살렘 東쪽에서 사우디아라비아와 에티오피아에 걸친 넓은 地域으로 보는 見解도 있다. 이에 根據해 시바의 後孫들은 女王의 時代에도 커피가 있었으며, 그가 예루살렘을 訪問했을 때 솔로몬 王에게 膳物로 주었다고 믿는다. 이런 觀點에선 칼디가 예멘人이냐, 에티오피아인이냐는 問題는 些少한 是非거리日 뿐이다. 시바 時代엔 예멘과 에티오피아가 같은 王國이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왜 오늘날 에티오피아와 예멘이 完全히 다른 나라가 됐을까. 시바 王國 以後 兩側은 서로 다른 길을 걷는다. 예멘은 地形上 비가 오면 물이 고이지 않고 그대로 바다로 흘러나간다. 이 때문에 시바 王國이 首都인 마리브에 그레이트 마리브 댐을 지었는데, 이것이 예멘을 復興으로 이끈 原動力이었지만, 衰退를 부른 原因으로도 作用했다. 시바 王國 末期에 官吏 疏忽로 댐이 一部 무너져 내리자 사람들이 예멘을 떠나 北部로 移住했다. 힘을 잃은 시바 王國은 沒落하고 힘야르(Himyar) 王國(紀元前 115年~紀元後 522年)李 出現한다. 힘야르는 예멘 南西部 高山地帶에 살던 시바 王國의 有力한 不足으로 같은 셈족이었다. 이들은 有香나무 耕作民들로 定着 生活을 했는데, 바로 이 附近이 오늘날 예멘 커피의 主産地다. 그러나 이들이 커피를 먹거나 栽培했는지에 關해선 物證이 없다.


    유대敎→基督敎→이슬람敎

    當初 多神敎를 欽慕하던 시바의 女王은 솔로몬을 만나면서 유대敎로 改宗한다. 以後 유대敎이던 시바人들은 힘야르 王國 때 基督敎를 接하게 된다. 힘야르의 마지막 王인 두 누와스(Dhu Nuwas)는 예멘과 에티오피아에 널리 퍼진 基督敎를 몰아내기로 作定한다. 예멘 北部 나즈란의 基督敎人에게 유대敎로 改宗할 것을 强要하고, 말을 듣지 않자 불에 태워 죽이는 蠻行을 저질렀다. 이즈음 에티오피아는 나者쉬 皇帝가 統治하고 있었는데, 그는 基督敎로 改宗한 狀態였다. 儺者쉬는 基督敎의 守護者인 유스티누스 로마皇帝에게 船舶 支援을 要請했고, 7萬餘 에티오피아 兵力이 530年 遠征을 敢行했다. 이 過程에서 두 누와스 王은 바다에 뛰어들어 自決했고 예멘은 에티오피아의 植民地가 된다. 이때 에티오피아 戰士들에 依해 커피가 예멘으로 傳해졌다고 보는 視角이 있지만, 蓋然性만 있을 뿐 記錄이나 證言은 傳하지 않는다.

    以後 페르시아로 도망간 힘야르 王子의 要請으로 紀元後 600年頃 페르시아 軍隊가 예멘에서 에티오피아人을 쫓아냈다. 72年間 持續된 에티오피아의 예멘 統治는 이렇게 幕을 내렸다. 以後 마호메트의 이슬람敎 創始(610)를 거쳐 631年 이슬람이 예멘을 支配했다. 當時 예멘을 統治하던 페르시아 總督 바團은 이슬람을 받아들이고 무슬림이 됐다. 시바 女王 時節 하나이던 예멘과 에티오피아는 이렇게 이슬람 國家와 基督敎(에티오피아精巧) 國家로 갈라섰다. 코란은 시바 女王을 쉬블림 발키스(Sublime Balkis)라는 이름으로 記錄하고 있다. 內容은 유대敎의 舊約聖書와 類似하다.

    커피를 처음 發見한 칼디의 故鄕이 예멘이냐 에티오피아냐를 따지는 건 부질없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커피의 起源을 밝히려는 고단한 旅程에서 얻게 되는 所重한 價値는 갈수록 破片化하는 人類로 하여금 同質感을 곱씹게 만드는 冥想의 時間이겠다.





    朴 英 順

    ● 충북대 微生物學科 卒業, 고려대 言論大學院 碩士
    ● 세계일보 記者, 메트로新聞社 取材部長, 포커스新聞社 編輯局長 ?
    ● 現 인터넷新聞 커피데일리 發行人, 커피批評家協會長, 경민대 호텔外食調理學科 兼任敎授, 경민대 平生大學院 바리스타過程 專擔敎授



    댓글 0
    닫기

    매거진東亞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推薦記事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