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父母도, 世上도 아닌 ‘아이’의 視線으로 바라보기|디오리지널
Inside

父母도, 世上도 아닌 ‘아이’의 視線으로 바라보기

왜 只今 ‘아이들의 삶’이라는 主題를 골랐나
홍정수 記者 | 東亞日報 히어로스쿼드 2023-12-22 16:16:24
어른이 아닌, 아이의 觀點
이番 히어로콘텐츠 取材記者 4名은 모두 아이가 없다. 企劃者, 開發者, 디자이너를 包含해도 마찬가지다. 寫眞記者와 編輯者를 除外하고는 아이를 키워본 적이 있는 사람은 單 한 名도 없다.
그렇지 않았기 때문에, 이番 企劃의 始作부터 끝까지 穿鑿했던 單 한 가지를 이룰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 어른이 아니라 ‘아이의 觀點’에서 모든 것을 만들자는 생각이다.
유기아동 발생의 시작부터 동행하기 위해 상주를 준비하던 시기.遺棄兒童 發生의 始作부터 同行하기 위해 喪主를 準備하던 時期.
남들이 ‘터치’하고 지나가는 것을 파고들 機會
旣存 히어로콘텐츠들은 主로 人間의 生死와 直結된 묵직한 素材로 讀者의 마음을 사로잡아왔다. 特히 바로 直前 騎手가 내놓은 ‘漂流: 生死의 境界를 떠돌다’ 시리즈가 대단히 큰 反響을 일으키던 狀況이었다.

直前 시리즈의 色彩를 따라갈 수도 있었지만, 悲壯美에서 벗어나 多樣性을 넓혀보자는 데 意見이 모였다. 채널A와 처음으로 公式 協業을 하게된 만큼 , 좀 더 斬新하고 社會的인 主題, 비주얼을 强化한 製作에 對한 欲心도 있었다.

7月, 取材팀은 靑少年 賭博, 老人貧困, 3D 忌避業種, 地下空間 亂開發 等 各樣各色의 主題들을 넓게 훑었다. 會議를 열 때마다 “이게 眞짜 마지막”이라며 每番 새로운 素材들이 튀어나왔다.

하지만 한 달 만에 고른 主題는 ‘베이비박스 아이들의 삶’이었다.
어쩌면 처음 생각한 것과 鄭 反對인, 가장 食傷하고, 가장 新派的日 수도 있는 素材를 擇한 것은 結局 ‘우리에겐 6個月의 資産이 있다’는 생각에서였다.

當時는 出生美申告 兒童 全數調査 事態의 餘波로 大部分의 言論社에서 出生申告와 베이비박스 關聯된 企劃記事를 앞다퉈 내놓다가 潛潛해지던 時點이었다. 重大한 이슈가 ‘반짝’ 하고 사라진다는 안타까움이 컸다. 大部分의 記事들이 本質을 짚지 못하고 重複된 內容이라는 느낌도 지울 수 없었다.

모두가 ‘터치’하고 지나치는 內容을 누구보다 깊고 끈질기게 다루는 것이 히어로콘텐츠의 目標 中 하나다. 그 基準으로 果敢하게 選擇한 主題가 兒童이었다. 特히 出産率 쇼크 속에서도 如前히 많은 아이들이 疏外된 現實이 쉽게 看過되고 있다는 問題意識도 있었다.

主題는 베이비박스 兒童에서 有機兒童으로, 다시 넓은 意味의 ‘버려짐’을 겪은 아이들로 漸漸 擴大됐다. 그동안은 오직 未婚母, 未婚父, 國家와 政府라는 ‘어른’의 視角으로 다뤄졌던 內容들이다. 우리만은 그러지 말자고 다짐했다. 視角을 달리 하는 것도 革新인 만큼, 徹底하게 ‘兒童 中心的 觀點’으로 接近해야 이야기가 풀릴 것이라고 會議마다 呪文처럼 외웠다.
주사랑공동체의 베이비박스는 건물 안 ‘베이비룸’의 탈의실 겸 창고에 연결된다. 취재진은 상주기간 동안 이곳에서 일손이 부족할 때 아이를 함께 돌보기도 했다.주사랑共同體의 베이비박스는 建物 안 ‘베이비룸’의 脫衣室 兼 倉庫에 連結된다. 取材陣은 常住期間 동안 이곳에서 일손이 不足할 때 아이를 함께 돌보기도 했다.
바닥부터 始作해 한땀씩 이어진 涉外
아이템을 定했다는 發表(?)에 周邊에선 大部分 ‘아…’ 라는 미적지근한 反應만 돌아왔다.

아기들은 스스로 自身의 이야기를 할 수 없는 存在다.
어린이들은 保護者의 同意가 없으면 取材가 不可能한 對象이다.
게다가 (現在까지 살아온) ‘삶’이라는 主題는 力動的으로 取材할 現場도 마땅치 않았다.
寫眞記者는 “只今까지 히어로 取材를 몇 番 함께 했지만 이番이 가장 어려울 것 같다”며 會議마다 憂慮를 내놨다.

그 어려움은 곧 現實이 되었다. 涉外부터 難關이었다. 涉外가 쉬운 主題였으면 애當初 히어로 主題로 資格未達이라는 생각으로 마음을 다 잡았지만, 생각했던 次元 以上이었다.
取材를 進行하면서야 알게 된 것이지만, 우리나라 兒童保護體系는 全國의 200餘個 市郡區라는 基礎 地自體 單位로 짜여져있다. 그나마도 實際 現實에서의 運營은 事實上 民官에 거의 移管되어있었다.
中央의 한 곳을 뚫으면 全體의 部分과 連結되는, 取材하면서 늘 익숙하게 對했던 狀況과는 全혀 달랐다. 밑바닥부터 始作해야했다.

한 땀 한 땀 사람을 紹介받는 過程의 連續이었다. 各種 NGO와 關係機關, 協會와 團體를 두드렸다. 인터넷을 샅샅이 뒤져 自身의 이야기를 내비친 사람들, 論文을 쓴 사람, 過去 記事에 登場한 사람들에게 無酌定 손을 내밀었다. 베이비박스에는 有機兒童 保護措置의 모든 프로세스를 보고 싶다며 尙州取材를 끈질기게 要請해 許諾받았다. 한番도 言論에 제대로 公開된 적 없었던 서울市 兒童福祉센터 內部까지 들어갔다. 全國의 兒童遺棄 犯罪 現場을 하나하나씩 끌어모아 實際 두 발로 訪問하고 눈으로 보고 사람을 搜所聞했다.
추웠던 날씨 서울 중구 명동에서 장노출 사진촬영을 마친 뒤 결과물을 확인하는 홍진환 사진기자와 3회 주인공 박가람 씨추웠던 날씨 서울 中區 鳴動에서 장노출 寫眞撮影을 마친 뒤 結果物을 確認하는 홍진환 寫眞記者와 3回 主人公 박가람 氏
結論을 定해놓은 取材는 하지 말자
우리가 하고자 했던 것은 衝擊的인 問題를 까발리고 속시원한 對策을 促求하는 ‘社會 告發性’ 아이템이 아니었다. 한 아이의 生涯週期에 따라 讀者들이 함께 아이의 삶을 體驗하는 듯한 느낌을 주고 싶었다. 똑 떨어지는 結論을 깔끔하게 내놓기 쉽지 않은 主題였기에 接近方式을 더 苦悶해야했다. 우리가 내린 結論은 이랬다.
“正答을 우리 손으로 미리 定해놓고 가지 말자. 現實을 있는 그대로 細密하게 보여주자. 讀者들이 沒入하고 共感하고 스스로 느끼게 만들자.”

當初의 計劃은 8月에 涉外하고 9~10月에 取材하고 11月에 製作하고 12月에 記事를 쓰자는 것이었다. 하지만 當初 期待했던 人物들이 우리의 豫想을 벗어나는 일도 많았고, 取材에 應했던 人物들이 여러 理由로 마음을 바꾸는 일들도 許多했다. 涉外作業이 11月까지 이어지며 取材와 製作, 記事作成이 막판에 거의 同時에 이뤄졌다.

傳達하고자하는 메시지가 明確한지, 全體 시리즈 안에서 各 回次의 役割이 분명한지, 當事者나 關係者에게 被害가 될 部分은 없는지, ‘兒童 中心’의 觀點에 어긋난 時刻은 없는지, 自體的인 檢收 外에도 會社 안팎의 人物들에게 끊임없이 諮問을 求했다. 피드백에 따라 밤 9時, 아침 8時에도 ‘緊急 會議’를 열기도 했다.

紙面으로 나오는 記事는 한 番 印刷되면 돌이킬 수 없기에, 最終的인 製作 段階에서 가장 緊張感이 높아졌다.
取材팀이 줄곧 가슴에 품었던, ‘事件은 瞬間이지만, 아이의 삶은 오래도록 이어진다’라는 생각은 現場記者부터 데스크, 編輯記者와 編輯局長까지 함께 共有했다. 記事에 나온 아이들이 나중에 자라면서 이 記事로 인해 傷處나 被害를 입을 일이 없을지, 觀察者의 皮相的 觀點이 아닌 아이의 觀點이 充分히 담겼는지 意見을 모으고 모아 寫眞과 題目을 擇했다.
18일자 동아일보 1면. 임팩트있는 짧은 문장 안에 아이의 목소리를 담았다18日子 東亞日報 1面. 임팩트있는 짧은 文章 안에 아이의 목소리를 담았다
1回 유준이의 旅程 이 日曜日이었던 17日 午後 5時에 온라인에 먼저 出庫됐다. 果然 讀者들이 共感할 수 있을까, 食傷하다고 느끼진 않을까, 非難하고 攻擊하는 댓글이 달리진 않을까, 저녁 내내 緊張感이 등줄기를 타고 내렸다. 讀者들의 反應이 하나둘씩 올라오더니 瞬息間에 늘었다. 걱정스러운 內容은 거의 없었다. 많은 이들이 아이의 旅程을 마음속으로 따라가며 먹먹함에 함께 울고, 앞으로 이어질 人生에 應援을 보냈다.
“나에게 家族은 사랑”
이番 取材를 進行하는 過程에서 가장 貴했던 經驗은, 아이들의 목소리를 直接 들을 수 있다는 것이었다. 어린이날 行事場에서 “오늘 재미있었어요?” 하며 가벼운 質問, 귀여운 對答을 주고받는 것과는 全혀 다른 일이었다. 初等學生에게 家族과 未來, 結婚을 묻고 中學生에게 ‘子女들을 제대로 돌보지 않은 엄마를 理解하느냐’고 묻는 것은 그 무엇보다 조심스럽고도 어려운 일이었다. 하지만 그들이 내어준 對答은 늘 想像 以上의 울림을 줬다.

겉보기엔 누구보다 밝고 사랑스럽지만, 親엄마에게 放任 虐待를 當해 保育施設에 分離돼 살고있는 10살 男子아이를 만났다. “家族이란 무엇이라고 생각해요? 스케치북에 한 番 글로 써줄 수 있을까요?”라고 묻자, 아이는 생글생글 웃으며 이렇게 썼다. “나에게 家族은 사랑, 꼭 必要한 것이다.”



이 글은 <미아: 품을 잃은 아이들'> 시리즈 記事를 製作한 히어로콘텐츠 7期 팀員들이 쓰는 製作 後記입니다. 어떤 哲學과 苦悶을 담아 記事를 製作했는지 讀者 여러분에게 共有합니다. 다음 後期는 26日 午前 10時에 公開됩니다. 
關聯 콘텐츠 더보기
미아: 품을 잃은 아이들 태어나자마자 父母 품을 떠나야 했던 아이 앞엔 어떤 삶이 기다리고 있을까요.
우리 社會는 이 아이들을 얼마나 따뜻하게 품어주고 있을까요. '품 밖'을 經驗한 47名의 아이를 만나봤습니다.
2023.12.17~22 · 히어로콘텐츠 7期 ·
홍정수 기자
홍정수 記者 | 東亞日報 히어로스쿼드

10年 동안 政治部, 社會部, 編輯部, 國際部를 오갔습니다. 問題를 指摘하기는 쉽지만, 널리 알리고 바로잡기는 決코 簡單치 않다는 것, 그리고 그것을 可能케 하는 것이 바로 '이야기'의 힘이라는 걸 배웠습니다. 저희의 이야기가 世上의 품을 좀 더 따뜻하게 데우는 데 寄與하길 바랍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