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志士들 救出하자”… 群衆, 6km 떨어진 日憲兵 分遣所까지 追擊|東亞日報

“志士들 救出하자”… 群衆, 6km 떨어진 日憲兵 分遣所까지 追擊

  • 東亞日報
  • 入力 2019年 2月 27日 03時 00分


코멘트

[2019 3·1運動 100年, 2020 東亞日報 100年]3·1運動 100年 歷史의 現場 <제39화>忠北 嶺東

충북 영동군 매곡면 3·1독립운동의거 숭모비. 매곡의 3·1만세운동은 초기에는 평화롭게 진행됐으나 일제의 야만적인 탄압에 맞서 헌병대 분견소를 불태우는 등 격렬한 양상으로 바뀌었다. 영동=김갑식 문화전문기자 dunanworld@donga.com
忠北 永同郡 매곡면 3·1獨立運動依據 崇慕非. 昧谷의 3·1萬歲運動은 初期에는 평화롭게 進行됐으나 日帝의 野蠻的인 彈壓에 맞서 憲兵隊 分遣所를 불태우는 等 激烈한 樣相으로 바뀌었다. 嶺東=김갑식 文化專門記者 dunanworld@donga.com
‘봄이 오는구나 3月이 오는구나/잠든 山河를 흔들어 깨우면서/반가운 그님과 함께 오시는구나/…지금은 解放된 하늘과 땅/무거운 얼음을 깨뜨리면서/그님께서 쇠북으로 우시는구나/큰 소리 눈물로 우시는구나/해마다 3月이 오면/낯익은 골목마다/그님의 흰옷 그림자가 되살아나고.’

19日 찾은 忠北 永同郡 매곡면 3·1運動 義擧 記念碑. 눈비가 섞여 내리는 늦겨울 하늘이 記念碑 한쪽의 是非(詩碑)에 새겨진 박희선 詩人의 ‘해마다 3月이 오면’과 어우러졌다. 昧谷初等學校 앞에 造成된 記念碑 周邊은 날씨 탓인지 人跡이 끊겼지만 市의 한 句節처럼 잠든 山河를 깨우면서 100周年을 맞는 3·1節을 기다리고 있었다.

2017년 재연한 충북 영동군 매곡면의 3·1만세운동. 영동군 제공
2017年 再演한 忠北 永同郡 매곡면의 3·1萬歲運動. 永同郡 提供
○ 日帝의 憲兵 分遣所까지 불태워

忠淸과 慶尙, 全羅道의 接境地에 位置한 永同地域의 萬歲運動은 서울의 指導部 組織과 連結이 弱해 自生性이 剛했던 事例로 꼽힌다. 植民統治에 對한 反抗意識이 바탕을 이룬 狀況에서 日帝의 農民에 對한 收奪과 强制 勞役 等으로 萬歲運動이 始作되자 全 軍으로 擴散됐다. 抗日 義兵運動을 일으킨 이들이 다시 3·1運動을 主導하기도 했다.

萬歲運動은 3月 下旬부터 4月 初旬까지 持續的으로 展開됐다. 처음에는 面事務所 等에서 獨立을 宣言하고 非暴力, 平和的 運動으로 進行됐으나 日帝가 野蠻的인 武力 彈壓으로 主動 人物을 檢擧하고 살上瑕疵 郡民들은 警察署 面事務所 等을 襲擊하며 激烈하게 맞섰다.

매곡면의 3·1運動을 主導한 안준은 1897年에 태어나 15歲에 황간學校에 入學하여 4年을 배운 뒤 農事일을 하면서 書堂 勳章도 했다. 그는 3·1運動을 主導하다 逮捕됐는데 獄中에서 拷問으로 病을 얻어 大邱 동산病院에 入院하는 等 1年 6個月의 獄苦를 치렀다. 光復 뒤에 面長으로 推戴되기도 했다.

昧谷의 萬歲 示威는 4月 2日부터 6日까지 이어졌다. 옥전리에 살던 안준은 獨立宣言書를 얻어와 안광덕과 本格的으로 擧事를 準備했다. 이들은 400餘 醬의 太極旗와 베껴 쓴 獨立宣言書를 들고 面 所在地인 노천리에 내려와 김용선 남道學 임봉춘 等과 論議하여 4月 2日 밤나무 苗圃場의 賦役꾼들과 面事務所 마당에서 擧沙하기로 했다. 當日 午前 11時頃 賦役꾼 100餘 名과 各 마을에서 모인 300餘 名이 合勢해 獨立宣言書를 朗讀하고 太極旗를 흔들며 面長과 職員들도 萬歲運動에 加擔하도록 했다. 一部는 마침 場날이었던 황간 方面으로 進出을 試圖했다.

4月 3日과 4日에는 群衆 800餘 名이 面事務所에서 萬歲를 불렀다. 이때 秋風嶺 憲兵 分遣隊가 出動해 主動 人物인 안광덕 임봉춘 남道學 等을 逮捕했다. 이에 激忿한 群衆은 拘束된 이들을 救出하기 위해 秋風嶺 憲兵 分遣所까지 追擊했다. 6日에는 300餘 名이 秋風嶺 分遣所에 殺到하였으나 密告를 받은 憲兵이 出動해 제지당했다. 이날 안준을 비롯해 장복철 안병문 김용선 신상희 等 4名이 逮捕됐고 以後 이장노 腸出鳳 김용문 等 8名이 追加로 日警에 잡혔다.

매곡면 3·1運動 愛國志士崇慕會長을 지낸 안병찬 氏는 “地形이 險한 地理的 位置 때문에 嶺東의 3·1運動은 3月 末부터 4月 初까지 集中됐다”라며 “正確한 記錄으로 立證되지는 않지만 日帝 憲兵이 駐屯해 있던 秋風嶺 分遣所에 불이 났는데, 昧谷 사람들 짓이라는 所聞이 났다”고 傳했다. 昧谷 示威의 現場이었던 面事務所에서 秋風嶺 分遣隊까지는 6km 程度로 어른 걸음으로 1時間 거리였다고 한다.

이날 記念碑를 살펴보던 安 氏는 “當時 示威 主動者 中 4名이 公州에서 獄苦를 치렀는데 6·25戰爭 中 監獄이 불타 記錄이 남아 있지 않아 獨立有功者 指定에 어려움이 있다”며 “여러 證言을 土臺로 指定 問題가 解決돼야 한다”고 말했다. 永同郡은 올해 3·1節 100周年을 맞아 매곡면에서 進行해온 記念行事를 郡 單位로 擴大해 開催한다.

충북 영동군 영동읍 주곡리에 있는 7지사(志士) 독립운동 기념비. 영동군 제공
忠北 永同郡 영동읍 주곡리에 있는 7知事(志士) 獨立運動 記念碑. 永同郡 提供
○ “조밥을 먹기도 힘든 때에 웬 뽕나무인가”

매곡면에 앞서 鶴山面에서 3月 25, 28日에 萬歲運動이 일어났다. 이곳 示威의 直接的 發端은 嶺東∼茂朱 間 道路 工事 强制 勞役 動員 및 뽕나무 苗木 强制 配付 等 日帝의 惡辣한 收奪 政策이었다.

이때의 示威는 학산과 양산면民意 聯合으로 展開됐다. 特히 3月 30日에는 鶴山面 所在地인 서산리에서 道路 工事 賦役에 나섰던 群衆이 양산면 사람들과 함께 太極旗를 흔들고 萬歲運動을 펼쳤다. 이들은 警察駐在所에 돌을 던져 窓門과 電話機를 破壞했다. 拘束된 支社의 救出에 나섰지만 日本의 支援 兵力이 出動하면서 7名이 逮捕되고 38名이 重傷을 입기도 했다. 4月 3日에도 獨立萬歲 運動이 일어났다. 양봉식 이기영 전재득 정해용 이건양 전만표 等이 主導하다 檢擧됐다. 裁判記錄을 參考해 이날의 狀況을 整理하면 다음과 같다.

이들은 먼저 4月 3日 午後 4時頃부터 6時까지 서산리 市場에서 約 300名의 群衆과 함께 太極旗를 흔들고 萬歲를 부르면서 市場을 누볐다. 午後 8時頃에도 200餘 名의 群衆이 面事務所에 달려가 “조밥을 먹기도 힘든 때에 웬 뽕나무인가”라고 외치면서 臨時로 심어놓은 2萬8000그루의 뽕나무 苗木을 뽑아 불에 태웠다. 이들 中에서도 指導的인 役割을 한 양봉식은 庚戌國恥 後 悲憤慷慨해 義兵으로 活動하다가 西間島로 亡命했던 人物이다. 그는 1919年 2月 鎭南浦를 經由해 獨立宣言書 數十 張을 얻어와 沃川 利原 錦山 茂朱 等에 配布했다.

永同地域의 中心地인 邑內에서도 3月 末 嶺東 場날에 市場 南쪽의 다리 위에 四方 130cm의 太極旗가 달려 있었고 여러 곳에서 종이로 만든 150餘 醬의 太極旗가 나돌았다. 4月 4日 嶺東 場터에서 2000餘 群衆이 警察署를 襲擊하고 投石하면서 萬歲運動을 展開했다. 이 示威의 主動者는 박성하 한의교 정성백 장인덕 김태규 정우문 한광교 等 7人이었다. 이들이 場터에 흩어져 獨立萬歲를 외치자 群衆은 呼應하여 邑內를 누비며 行進했다. 놀란 日本 警察은 强制 解散을 試圖했다. 이때 日警의 發砲로 6名이 죽고 8名이 크게 다쳤다. 1991年 영동읍 주곡리에는 이들의 뜻을 기리기 위한 7知事(志士) 獨立運動 記念碑가 세워졌다.

독립군 나무로 불리는 충북 영동군 학산면의 느티나무. 영동군 제공
獨立軍 나무로 불리는 忠北 永同郡 鶴山面의 느티나무. 永同郡 提供
○ 3·1運動에 힘을 보탠 獨立軍 나무

忠北 永同郡 鶴山面 박계리 마을 入口에는 ‘獨立軍 나무’(永同郡 保護樹 第43號)로 불리는 느티나무가 있다. 높이 20m, 둘레 10m로 守令은 350餘 年으로 推定된다. 이 나무는 元來 各各 떨어진 두 그루이지만 밑동이 붙어 자라면서 멀리서 보면 한 그루처럼 보인다.

이 나무가 獨立軍 나무로 불리게 된 것은 日帝强占期 住民들이 나무에 흰 헝겊을 달아 日本 憲兵의 動態를 살핀 데서 由來했다. 嶺東地域은 忠北 沃川, 全北 茂朱, 慶北 金泉으로 통하는 地域이다. 이곳을 지나가야 했던 獨立軍들은 이 나무를 통해 情報를 交換하면서 身邊의 安全을 圖謀했다고 한다.

獨立軍 나무는 오랜 風波로 衰弱했지만 永同郡이 몇 年 前부터 保護 作業을 하면서 活力을 되찾았다. 永同郡은 나무의 生育을 促進하기 위해 밑동 周邊의 흙을 걷어내고 營養劑가 섞인 마사토를 새로 깔고 나무줄기에 營養劑도 投入했다. 낡고 부서진 둘레石을 말끔히 整備하고 자투리 空間에 自然親和的 休息空間을 設置했다. 최향숙 文化觀光解說師는 “흥미로운 스토리를 간직한 獨立軍 나무에 對한 스토리텔링 案內板이 設置돼 있다”라며 “3·1運動에 對한 다양한 이야기를 發掘하고 傳하는 것도 後孫들에게 물려줄 重要한 文化資産”이라고 말했다.

嶺東=김갑식 文化專門記者 dunanworld@donga.com
#3·1運動 #永同郡 #記念碑 #分遣所 #獨立軍나무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