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브랜드 없는 會社는 살아남을 수 없다”|신동아

“브랜드 없는 會社는 살아남을 수 없다”

‘디자인 代가’ JOH 조수용 代表

  • 김유림 記者│ rim@donga.com

    入力 2011-07-20 09:56:00

  • 글字크기 설정 닫기
    • 名銜부터 建物 設計까지 ‘브랜드 디자인’
    • 會社 브랜드 感覺 없으면 아무리 돈 많이 줘도 일 같이 안 해
    • NHN 그린팩토리는 내 子息 같은 結果物
    • 三星·LG 一貫性 없는 브랜드 戰略 反省해야
    • 衣食住와 關聯된 나만의 브랜드 만들 것
    “브랜드 없는 회사는 살아남을 수 없다”
    京釜高速道路 서울톨게이트를 지날 때마다 눈에 띄는 建物이 있다. 햇살을 받아 반짝 빛나는 높고 반듯한 直四角形 建物. 바로 大韓民國 인터넷을 平定한 NHN 社屋 ‘그린팩토리’다. NHN의 첫 社屋인 그린팩토리는 2007年 6月부터 2年9個月에 걸쳐 지어졌다. 地上 28層, 地下 8層으로 그린팩토리는 世界的인 디자인 公募展 ‘레드닷어워드 2010’에서 5個 部門 本賞 및 第33回 韓國建築家協會賞을 受賞했다.

    그린팩토리 建設 및 디자인을 總括한 사람이 바로 조수용 前 NHN CMD(Creative Marketing·Design) 本部長이다. 조 前 本部長이 지난해 末, 8年間 몸담았던 NHN에서 나와 올 5月 自身의 姓을 딴 ‘제이오에이치(JOH)’란 새로운 會社를 차렸다. 現代카드 鄭泰榮 社長도 트위터를 통해 ‘디자인의 代價’라 稱한 조수용. 그는 무슨 일을 꾸미고 있을까?

    7月5日 午後 4時. 서울 江南區 논현동에 位置한 JOH 事務室로 따뜻한 볕이 쏟아졌다. 原木으로 꾸민 예쁜 카페테리아 뒤便에는 冊이 빼곡한 冊꽂이가 나란하다. 그 뒤로는 職員 1名만 쏙 들어갈 만한 讀書室 같은 事務室이 있다. 甓돌담을 지나 事務室 한便에는 열 名도 足히 앉을 수 있는 열린 空間이 있다. 入口 가까운 쪽에 位置한 獨立된 代表의 放은 事實 房이라기보다는 ‘부스’에 가깝다.

    名銜부터 社屋까지

    “事務室을 하나의 마을로 꾸몄습니다. 커피숍, 書店을 지나면 廣場도 있고 한구석에는 혼자만 集中할 수 있는 내 房도 있어요.”



    조수용 代表의 建築 哲學은 “일하고 싶은 事務室을 만들자”다. 일부러 커피숍에 나가지 않아도 事務室에서 充分히 再充電할 수 있도록 한 것. 費用도 豫想보다 많이 들지 않았다. 冊床, 冊欌 等은 低廉한 合板으로 짰고 椅子, 會議用 테이블 等은 高級으로 샀지만 다른 事務室로 移徙해도 가져갈 수 있기 때문에 問題없다. 조 代表는 “조금만 神經 쓰면 50坪 남짓한 賃貸 空間도 最高의 일터로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JOH가 하고자 하는 일도 이와 脈을 같이한다. JOH는 ‘브랜드’ 디자인 會社다. 名銜, 會社 CI, 廣告, 인테리어, 建物 設計 等 한 會社의 디자인과 關聯된 모든 것을 컨설팅한다. 大部分 會社는 名銜 디자인, 廣告, 建物 設計 等을 各其 다른 業體에 맡겨 處理한다. 그러다보니 一貫性이 없고 ‘企業 브랜드’를 形成하기도 어렵다. 조 代表는 “브랜드 디자인에 ‘主대’가 없으면 마케팅에도 否定的인 影響을 미친다. 디자인 및 브랜드를 總括해 管理해야 한다”고 말했다.

    JOH 職員 9名은 各 建築, 마케팅, 미디어, 技術 等 專門 分野가 多樣하다. 한 會社가 JOH에 ‘브랜드 디자인’을 依賴하면 各 分野 專門家가 總出動한다. JOH는 現在 한 金融業體와 建設業體의 브랜드 컨설팅을 맡고 있다. 製品 디자인부터 홈페이지 製作, 社屋 建設까지 管理한다. 브랜드 政策에 따라 製品 性格 및 分類 體系까지 달라진다.

    그는 ‘디자인=美大’ ‘마케팅=經營大’의 二分法에 反旗를 들었다. 實際 JOH 事務室 冊꽂이에는 經營學 書籍과 디자인 書籍이 사이좋게 섞여 있다. 조 代表는 “美大 出身 디자이너지만 出版되는 經營學 書籍은 모두 다 보는 便”이라고 말했다.

    “브랜드를 키우는 건 아이를 기르는 일과 같아요. 디자인과 마케팅이 分離되면 外貌와 內面이 다른, 二重人格의 아이가 되는 거예요. 생각하는 디자이너, 感覺을 가진 마케팅 專門家, 나아가 두 分野를 넘나들 수 있는 ‘브랜드 專門家’가 돼야 합니다.”

    조 代表는 2000年 ‘프리챌’로고를 디자인했고, ‘綠色窓’으로 有名한 ‘네이버’의 웹페이지를 製作했다. 10年 가까이 ‘IT 디자인쟁이’로 살았던 그, 왜 온라인이 아닌 오프라인에서 事業을 始作한 걸까?

    “인터넷 會社에 있으면서 사이버 世上이 아닌 眞짜 世上에 對한 欲望이 생겼어요. 衣食住, 實際 내 生活에 影響을 주는, 손에 잡히는 일을 하고 싶었어요.”

    그림 잘 그려도 브랜드 關心 없으면 脫落

    ‘브랜드의 代價’가 생각하는 ‘브랜드’란 무엇일까?

    “이제 마케팅보다 브랜드 自體에 對한 이미지를 만드는 게 重要해요. 마케팅이 길거리에서 呼客行爲하는 거라면 브랜드는 그 自體로 ‘아우라’를 갖는 거거든요. 各 브랜드는 自己만의 캐릭터가 있는데 消費者는 그 캐릭터에 同調하거나 그 캐릭터를 통해 나를 表現하기 위해 브랜드를 選擇해요. 브랜드를 잘 만드는 건 모든 事業에서 出發點이자 終結點이에요.”

    조 代表는 職員을 뽑거나 事業 파트너를 定할 때 꼭 묻는다. “가장 좋아하는 브랜드가 무엇입니까?” 記者 亦是 組 代表에게서 이 質問을 받았다. 平素 使用하는 化粧品 브랜드 몇 個가 머릿속에 떠올랐지만 그 理由를 明確히 對答하기는 어려웠다.

    “신발을 살 때 ‘신발은 그냥 便하면 되지’ 하는 사람이 아무리 그림을 잘 그린들 좋은 신발 디자인을 할 수 있을까요? 브랜드에 對한 感覺은 디자이너에게, 마케팅하는 사람에게, 甚至於 會社 意思決定權者에게도 必須예요. 特히 브랜드 感覺 없는 CEO는 아무리 有能한 디자이너랑 일을 하더라도 디자이너가 하는 말을 못 알아들어요. 結局 疏通이 안 되니 좋은 結果物이 안 나오는 거죠. 저 亦是 브랜드 感覺 없는 CEO와는 아무리 돈을 많이 준대도 일 안 해요.”

    조 代表는 “相當數 大企業이 브랜드에 對한 感覺 없이 일한다”고 指摘했다. 그 中 하나가 新聞社다. 그는 “新聞社가 왜 인터넷 사이트를 그렇게 만드는지 理解가 안 된다”며 고개를 저었다. 新聞과 홈페이지 디자인에 統一性이 없을뿐더러, 低級한 마구잡이 廣告가 美觀을 해친다는 것. 게다가 照會數를 높이기 위해 讀者를 ‘낚는’ ‘섹시한 題目’은 讀者의 失望 및 憤怒를 자아내고 이를 통해 브랜드 價値가 墜落한다는 것이다.

    三星, LG 等 世界的인 大企業의 브랜드 政策도 안타깝다. 조 代表는 “디자인에 對한 一貫的인 哲學 없이 ‘件別로 이기기 戰略’을 쓰니 者他意的으로 世界 先頭 業體를 따라가게 된다”며 “三星은 애플과의 訟事를 契機로 브랜드 디자인 戰略을 돌아봐야 할 것”이라고 꼬집었다.

    “아무리 品質 좋은 신발, 가방이라도 競爭 브랜드를 따라 한 거라면 그 브랜드는 죽은 거예요. 名品이든 싸구려든 自己만의 길이 있어야 해요. ‘個中에 나아서’ 消費者에게 選擇받는 브랜드는 結果的으로는 살아남지 못해요.”

    그는 좋아하는 브랜드로 日本의 ‘無知(MUJI)’‘유니클로(UNIQLO)’ 等을 꼽았다.

    “無知는 ‘브랜드’의 偏見을 없앤 브랜드예요. 以前에는 브랜드 하면 가슴팍에 커다랗게 로고를 박는 거라고 생각했어요. ‘이거 비싼 거야’라는 意味로 말이죠. 그런데 ‘無知’는 이름을 숨겨요. 옷도 實用的이고 低廉하죠. ‘無知’의 보이지 않는 브랜드의 힘은 宏壯해요. 사람들은 ‘無知’를 입으면서 自己 自身도 쿨하고 다른 사람 눈을 神經 쓰지 않는다는 ‘自己表現’을 하는 거예요.”

    그는 最近 人氣를 끄는 스페인 SPA브랜드 ‘자라(ZARA)’ 亦是 높이 評價했다.

    “‘자라’는 자유롭고 開放的인 옷으로 큰 人氣를 끌죠. 그런데 같은 會社에서 ‘마시모두띠’라는 서브 브랜드를 냈는데 ‘자라’ 店鋪에서는 안 팔아요. 江南 압구정동 等에 別途의 店鋪를 열었죠. 이미 ‘자라’의 流通網이 넓으니 ‘마시모두띠’도 그걸 利用하면 더 쉽게 弘報할 수 있을 텐데 왜 안 그럴까요? 또 다른 ‘人間型’을 만드는 거예요. 各其 다른 性格을 가진 다른 아이를 키우듯, 브랜드를 嚴格히 管理하는 거죠. 사람들은 그런 ‘자라’의 분명함을 좋아하고요.”

    “브랜드 없는 회사는 살아남을 수 없다”

    NHN 그린팩토리 內部와 前景.



    “三星, 디자인 哲學 없이 ‘件別로 이미지 ’戰略”

    네이버 페이지의 革新을 이끈 조 代表. 하지만 8年間 NHN에서 勤務하면서 가장 뿌듯했던 건 2009年 그린팩토리가 完工됐을 때다. 그는 “始作은 2005年 盆唐 社屋으로 移徙 오면서 오피스 建物 9層에 職員 休憩室 代身 카페를 넣기로 決定한 것”이라고 말했다. 實際 移轉 社屋에서 職員들이 建物 1層 커피專門店에서 懷疑하는 境遇가 많았기 때문이다.

    “大部分 企業은 顧客을 對하는 顧客센터나 賣場 外部空間에 神經을 많이 쓰지, 職員들이 일하는 空間에는 큰 關心이 없죠. 하지만 職員들이 일하는 空間은 그 會社의 正體性이자 文化例요. 社屋을 잘 짓는 것은 社員을 위한 ‘先物’이 아니라는 거죠.”

    그린팩토리는 自轉車 出退勤族을 위한 自轉車 据置臺, 샤워室 等을 設置하고, 머그컵 利用 運動을 펼치는 等 環境 親和的인 인테리어, 建築을 했다. IT業種은 팀 移動이 많은 만큼 空間 變化를 자유롭게 할 수 있게 인테리어했다. 各 팀은 하나의 ‘村落’이고 한 層은 하나의 ‘마을’李 된다. 地下 1層 構內食堂부터 地上 27層까지 그의 손길이 안 닿은 곳이 없다. 그의 노하우는 冊 ‘NHN이 일하는 27層 빌딩 그린팩토리 디자인북’에 仔細히 담겨 있다. 한 페이지 넘길 때마다 아주 작은 結晶 하나를 위해 머리를 싸맸을 조 代表의 모습이 떠오른다.

    “NHN의 境遇 인터넷 世上에 있는 會社잖아요. 네이버의 實體를 보여주는 건 이 建物이 처음이었어요. 그만큼 心血을 기울여 만들었죠. 그린팩토리를 통해 사람들이 ‘아 NHN이 이렇게 큰 會社구나’ ‘이렇게 職員을 配慮하는 마음이 있는 會社구나’ 하는 생각을 하길 바랐어요.”

    IT 1世代, 子息에게 會社 안 물려줄 것

    조 代表의 趣味는 캠핑. 11살, 9살 난 두 아들을 데리고 한 달에 두 番은 캠핑 간다. 캠핑이 좋아진 契機도 ‘디자인’이었다.

    “캠핑用品은 ‘디자인의 極(極)’이에요. 가볍고 튼튼하고 엄청나게 實用的인 同時에 멋있어야 해요. 單純히 實用的이기만 하면 軍用品이죠. 캠핑用品을 좋아하다보니 自然히 캠핑도 자주 다니게 되고 캠핑 마니아가 된 거죠. 事務室에서 使用하는 컵, 卓子, 椅子 等도 大部分 캠핑用品이에요.”

    조 代表는 衣食住에 關心이 많다. 種種 트위터(@sean_joh)를 통해 좋은 레스토랑을 알린다. 조 代表의 推薦리스트는 작은 떡볶이집부터 高級 레스토랑까지 種類가 아주 다양하다. 조 代表는 “크기와 相關없이 主觀이 確實한 가게를 좋아한다”며 “나 亦是 언젠가 내 이름을 내세운 ‘브랜드 숍’을 만들 것”이라고 밝혔다. 조 代表는 自身의 成功을 ‘幸運’이라 表現했다.

    “冊 ‘아웃라이어’ 內容처럼, 저는 1995年 大學을 마치고 氣가 막히게 소프트웨어 烈風을 타고 成長했어요. 제가 받은 이 社會的 利益을 後輩들에게도 꼭 傳해줘야죠.”

    이런 생각을 하는 건 그뿐만이 아니다. 조 代表는 “1995年부터 10餘 年 동안 IT 業界를 이끈 사람들 中 子息에게 財産을 물려주려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며 “이들은 韓國 經濟의 胎生을 바꾸는 主役이 될 것”이라고 確信했다.

    “子息한테 會社를 안 물려주니 NHN, 다음 같은 IT業體는 主人 없는 會社가 될 거고 現在 財閥 中心의 經濟 狀況이 송두리째 바뀔 거예요. 10年 後쯤 이들이 우리 社會의 主體가 되는 時期에는 브랜드에 對한 哲學 없이는 決코 살아남을 수 없게 될 겁니다.”



    인터뷰

    댓글 0
    닫기

    매거진東亞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推薦記事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