活字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金屬活字 에서 넘어옴)

金屬活字.

活字 (活字, 英語 : movable type, moveable type )는 글을 印刷 하기 위해 만든 글字틀을 말한다. 글字틀은 四角기둥 위에 陽刻으로 새긴다.

좁은 意味의 活字는 主로 活판 印刷 에 使用되며 四角기둥 模樣의 金屬 윗面에 글字를 거꾸로 새긴 것을 말한다.

過去에는 나무에 새긴 活字( 木活字 ), 흙으로 만든 活字( 道活字 (陶活字) 또는 膠泥活字(膠泥活字)) 等도 使用되었으나 새긴면이 弱해 부서지기 쉽고 먹이 스며들어 弱해지는 問題가 있어 많이 普及되지는 못했다.

金屬活字 技術이 널리 普及되고 金屬活字를 利用한 印刷術 印刷機 가 開發되어 活字가 大衆化되었고, 손 글씨로 쓰인 冊 代身 活字로 찍힌 冊이 大衆化되어 比喩的인 表現으로 活字化되었다는 말은 出刊되었다는 뜻으로 쓰기도 한다.

活판 印刷를 代替하는 印刷 技術의 發達로 寫眞( 寫眞 植字 )이나 컴퓨터( 컴퓨터 活字 )로 만들어져 印刷에 使用하는 글字도 모두 活字라고 부르게 되었다.

歷史 [ 編輯 ]

古代 印刷術의 始初는 濁人法(拓印法) 이었다. 碑石, 기와 따위에 새겨진 글씨나 무늬를 종이에 그대로 떠내는 方式이었으나 不便하면서도 잘 안 찍히는 缺陷이 있었다. 이를 발전시킨 것이 木版 인데, 木版은 널찍한 나무 版에다가 글씨를 새겨 冊을 여러 番 찍을 수 있었다. 그렇지만 다른 冊을 찍어낼 때는 쓸모가 없었다.

가장 처음 活字를 開發한 나라는 中國 이었으나, 흙을 구워 만든 道活字를 使用했기 때문에 갈라지기 쉽다는 等 여러모로 短點이 있었다. 이러한 短點 때문에 初期 中國의 活字 技術은 技術 不足으로 인해 發展하지 못하였다.

當時 西洋 銀 종이를 開發할 무렵이었다.

中國은 이어 木活字를 만들어 냈으나, 活字가 갈라져 버리는 短點이 있어 印刷에 失敗하고 保管하기에 어려움이 많았다. 그때 12世紀 高麗 에서도 大覺 國師 義天 이 木活字를 받아들여 木活字로 《석원士林》이 世上에 나왔다. 그러나 如前히 갈라지는 缺陷은 남아 있었다. 한便, 이를 補完하고자 高麗 에서는 活字의 材料로 金屬을 採擇하여 처음으로 金屬活字를 開發했다.

1234年 高麗 가 《 詳定古今禮文 》을 金屬活字로 찍어내 世界 最初로 金屬活字를 發明했으나, 只今은 傳해지지 않는다. 一部에서는 高麗 肅宗 7年인 1102年 에 高麗에서 活字가 만들어졌다고는 하나, 說得力을 얻지는 못하고 있다.

現存하면서도 世界에서 가장 오래된 金屬活字 印刷物은 高麗 공민왕 때인 1377年 달잠과 석찬이 백운 畫像의 배움을 받고 佛敎의 훌륭한 內容만 가려 뽑아 적은 《白雲火傷草綠佛祖 直指心體要節》이다. 줄여서 直指心體要節 이라고 한다.

朝鮮에 들어와서 鄭道傳은 金屬活字를 널리 使用하려는 생각을 하고 있었으나, 이를 實行에 옮긴 것은 그를 除去한 太宗 이었다. 그는 癸未字 를 만들어 冊을 印刷하였다. 世宗은 不便한 活字와 印刷方法을 改良한 庚子字 를 製作해 莫大한 種類와 數의 冊을 生産하였다. 朝鮮에서 金屬活字 가 本格的으로 使用되었던 理由는 事實 大量生産을 위한 것이 아니었다. 오히려 大量生産으로 冊을 印刷하는 것은 地方의 官衙에서 木版으로 作業을 해내었다. 金屬活字의 目的은 冊을 찍고 나면 판을 解體하여 다른 冊을 印刷할 수 있는 長點을 利用해 多種 少量의 印刷物을 빠르게 얻는 데 있었다. [1]

製作 方法 [ 編輯 ]

高麗 時代 의 活字 製作 方法은 다음과 같다.

  • 종이에 漢字를 쓴다.
  • 굳은 蜜蠟 덩어리 表面을 반듯하게 하고, 적은 종이를 붙인 後 漢字를 새긴다.
  • 어미자(새겨진 글字)에 가지를 달아 蜜蠟 틀에 固定시킨 뒤 黃土 반죽으로 蜜蠟 틀을 감싼다.
  • 이를 도가니에 넣은 後 구우게 되면, 蜜蠟은 녹고 漢字가 새겨진 어미字 거푸집이 生成된다.
  • 그 거푸집에 쇳물을 붓고, 쇳물이 굳은 뒤 거푸집을 分解해 金屬活字가 달린 어미字 틀을 꺼낸다.
  • 가지에서 어미字를 떼고 다듬으면 金屬活字가 完成된다.

朝鮮 時代 의 活字 製作 方法은 다음과 같다.(세종때 代代로 改編되었다) [2]

  • 종이에 글字를 쓴다.
  • 나무토막 위에 적은 종이를 얹은 後 글字를 새긴다.
  • 새긴 것은 나뭇가지에 달린 나뭇잎처럼 여러 갈래의 나뭇줄에 이어붙여 틀로 만든다.
  • 蜜蠟을 깎아 두 個의 桶을 만드는데, 이글루처럼 만든다.
  • 두 個의 桶 안에 흙을 채우고, 한 通의 흙에 틀을 눌러박아 모습을 새긴다.
  • 틀을 빼고 두 通을 위아래로 맞대면, 이글루 入口 部分이라 할 수 있는 곳이 붙으면서 구멍이 생긴다.
  • 그 구멍은 틀로 생긴 구멍이며, 그 구멍 안에 쇳물을 붓는다.
  • 이를 도가니 에 넣은 後 굽고 두 桶을 가른 後 안에 있는 어미字(새겨진 글字)를 잘라 다듬는다.

板에 끼울 때 [ 編輯 ]

  • 高麗 時代
    • 高麗 時代에는 準備된 活字版에 活字를 끼웠는데, 活字 밑面에 蜜蠟을 발라 活字版에 끼워 굳게 했다.
  • 朝鮮 時代
    • 朝鮮 時代에도 마찬가지로 活字版에 活字를 끼웠으나, 蜜蠟으로 굳히지 않고 活字를 그냥 놓은 後 줄 아래 活字가 끼워지지 않은 部分에 맞추어 對나무板을 끼워 固定시켰다.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강명관, 冊벌레들 朝鮮을 만들다, 14쪽, 푸른역사.
  2. 活字를 만드는 普遍的 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