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時計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서울市 鍾路區 훈정동에 있는 仰釜日晷의 모습.

해時計 또는 一口 (日晷)는 太陽 一周 運動 을 利用하여 時間 乙 알 수 있게 만든 裝置이다.

해時計는 人間이 만든 가장 오래된 時計 로, 原始時代 부터 나무 그림자 를 보고 時間을 測定하였고, 中世 유럽에 機械 時計가 出現·普及될 때까지 널리 使用되었다. 해時計의 種類에는 水平式과 垂直式의 두 가지가 있다.

携帶用 해時計의 모습.

그림자의 길이를 재는 式의 해時計( 英語 : Gnomon )는 그 地域의 時間만을 測定할 수 있기 때문에 限界가 있었다. 또한 太陽의 움직임이 複雜하게 變하기 때문에 有用性이 떨어지는 問題도 생겼다. 그래서 막대기를 地球의 自轉軸과 平行이되게 기울이는 方法을 쓰게 되었는데 이것이 바로 해時計(英語: Sun dial)의 始初이자 時計 歷史의 始初가 되었다. 그 例로 古代 이집트에서는 오벨리스크가 그노몬으로 쓰였는데, 指針(指針)은 地軸에 平行하게 기울어지도록 하였다. 이러한 해時計는 季節에 關係 없이 같은 場所에 그림자의 位置가 일정한 곳에 오지만, 그림자의 길이는 늘 變했다.

해時計는 紀元前 1500年頃에 이집트 해時計가 가장 오래된 것이지만, 이를 먼저 發明한 것은 아마도 바빌로니아人이었을 것으로 推測된다. 이 後 그노몬은 紀元前 6世紀 初에 그리스에 紹介되는 等 차츰 東·西로 傳해졌다. 그러나 밤이나 날씨가 궂은 때 使用할 수 없다는 短點이 있었다. 그렇지만 17世紀 까지만 해도 機械로 된 時計보다도 오히려 더 正確했다.

仰釜日晷는 해의 그림자를 利用해 時間을 標示하는 一種의 時計이다.

韓國 [ 編輯 ]

韓國에서 使用된 實物 資料로는 慶州 에서 出土된 7世紀 京義 해時計 破片이 가장 이른 時期에 該當된다. 이 遺物은 圓盤模樣의 時半을 24等分하여 子時ㆍ卯時 等의 24時를 새기고, 그 中心에는 視標人 막대기를 세웠던 것으로 생각된다. 그 크기는 半지름 33.4cm이며, 現在 子時 부터 卯時 까지만 남아 있다.

以後 朝鮮 世宗 蔣英實 等이 製作한 仰釜日晷 · 正南日晷 · 天平일구 · 懸珠日晷 等이 널리 알려져 있다. 特히 仰釜日晷는 外國과는 다른 朝鮮 初의 獨特한 形態로 日本에도 傳해졌다.

參考 文獻 [ 編輯 ]

이 文書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 (現 카카오 )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配布한 글로벌 世界대백과사전 의 內容을 基礎로 作成된 글이 包含되어 있습니다.

본 文書에는 서울特別市 에서 知識共有 프로젝트 를 통해 퍼블릭 도메인 으로 公開한 著作物 을 基礎로 作成된 內容이 包含되어 있습니다.

같이 보기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