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킵차크 칸國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킵차크 칸國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킵차크한국 에서 넘어옴)

週値 蔚루스
????? ?????

 

 

1240年 ~ 1502年 [1]
 

 

 

국기
國紀
수도 사라이
政治
政治體制 君主制

1226年 ~ 1280年
1242年 ~ 1255年
1379年 ~ 1395年

오르다 ( 百張 칸國 )
바투 ( 廳長 칸國 )
토크타미視 ( 百張 칸國 )
국성 보르지긴
立法府 쿠릴타이
지리
位置 東유럽
1310年 어림 面積 6,000,000 km 2
人文
共通語 몽골語 , 킵차크어 , 타타르語 , 古代 洞슬라브語
民族 몽골人 , 킵차크人 , 타타르人 , 루스人
宗敎
國校 이슬람敎 (事實上)
宗敎 텡그리校
유대敎
東方 正敎會
기타
現在 國家 몽골 몽골
러시아 러시아
우크라이나 우크라이나

週値 蔚루스 ( 페르시아語 : ????? ????? ?l?s-i J?ch? 蔚루시 週値 )( 페르시아語 : ????? ????? Mamlakat-i ?zbak 마믈라카티 우즈바크 [2] , 아랍語 : ??? ????? Balad ?zbak 발라드 우즈바크 [ * ] [3] , 바르카 脂肪 ( 페르시아語 : ??? ???? Dasht-i Barka 다슈티 바르카 [4] ), 알탄 오르度 (Altan Ordo) 또는 킵차크 칸國 몽골 帝國 이 分裂된 後에 생긴 4代 칸國 中 하나이다. 킵차크 칸國의 東유럽 征服에 依해 루스人 들은 킵차크 칸國의 支配를 받게 된다. 別稱은 금장 칸國 (金帳汗國), 大將 칸國 (大帳汗國) 等이 있다.

全盛期 [ 編輯 ]

第3代의 베르케 칸 에서 第9代 우즈베크 칸 까지가 全盛期였다.

알루區 의 攻擊을 받은 카이두 는 알탄 오르드 蔚스의 베르케의 支援을 받아 차가타이 칸國 의 領土로 侵入하여 알루區와의 戰鬪에서 勝利를 거두었으나 다음 番 戰鬪에서 反擊을 當해 本國으로 撤收했다.

차가타이의 칸이 바락 으로 交替되자 카이두는 다시 러시아 遠征에 나섰다. 카이두는 알탄 오르드 蔚스의 만그 티무르의 支援을 받아 차가타이 칸國을 侵入하여 시르다라江 近處와 코잔드에서 벌어진 두 番의 戰鬪를 勝利로 이끌었다. 이 두 番의 戰鬪에서 敗한 바落은 트란속시아나 로 도망친 뒤 사마르칸트 부하라 에서 軍隊를 다시 모았다.

바락 의 激烈한 抵抗으로 戰爭이 長期化될 幾微를 보이자 카이두는 背後의 쿠빌라이 가 侵入해올 것을 念慮해 바락과 强化를 締結하고 本國으로 돌아갔다. 强化의 結果 카이두 만그 티무르 가 트란속시아나의 3分의 1을 차지하게 됐으며 카이두는 차가타이 칸國 이 所有하고 있던 투르키스탄 거의 大部分을 차지하게 됐다. 하지만 카이두 는 强化대로 이 땅을 만그 티무르에게 주지 않고 自身의 領土로 倂合시켰다.

强化는 締結되었지만 바落은 이 强化에 滿足하지 못했다. 그는 부하라 사마르칸트 를 侵攻하려고 했다. 카이두는 바락의 이러한 不滿을 利用하여 바락에게 아바카 가 다스리고 있는 일 칸國을 攻擊할 것을 慫慂했다.

바락 일 칸國 을 攻擊하라는 提議에 쉽게 應하여 일 칸國을 攻擊할 準備에 나섰다. 이에 카이두는 自身의 아들인 車파르 가 이끄는 軍隊를 支援했으며 킵차크 칸國 亦是 軍隊를 支援했다. 킵차크 칸國과 카이두의 支援을 받은 바落은 아바카 麾下의 장수인 테구데르에게 叛亂을 일으키게 한 뒤 軍隊를 일으켜 호라산에서 一 칸國의 軍隊를 擊破했다.

하지만 알탄 오르드 蔚스와 카이두는 바락의 成功을 탐탁지 않게 여기고 있었다. 이 때문에 킵차크 칸國 軍隊는 바락 麾下의 將軍인 잘라이르타이(Jalayirtai)와의 言爭을 口實삼아 軍隊를 退却시켰다. 바落은 잘라이르타이를 보내 킵차크 칸國 軍隊에 容恕를 求하고 復歸할 것을 說得했지만 虛事였다. 킵차크 칸國의 軍隊가 떠나자 카이두가 보낸 車파르 亦是 自身의 軍隊를 버리고 本國으로 도망가버렸다.

일 칸國 츄판 王朝 는 1357年에 킵차크 칸國의 10代 자니 벡 칸의 侵略에 依해 滅亡당했고 마렉 아시라프 는 킵차크 칸國軍에 잡혀 처형당했다.

楸板 弔意 領土를 征服한 킵차크 칸國은 統治의 어려움을 直感하고 1年 뒤인 1358年에 最終的으로 撤收했으며 이 땅은 2年 뒤인 1360年에 자라이르 王朝 禹웨이스 1歲 의 손에 넘어갔다. 이 過程에서 마렉 아시라프의 아들인 티무르타스(Temurtas)도 死亡하여 以後 楸板 王朝의 存在는 完全히 歷史 속으로 사라지게 되었다.

킵차크 칸國은 루스人들을 支配하면서 모스크바 大公國 에 軍隊를 駐屯시키고 모스크바 大公國 이 모든 루스 提供國들의 稅金을 바쳐오게 하였다. 또한 叛亂을 일으키는 것에 對해서 斷乎하게 對處하였다. 하지만 루스 側의 反擊도 間歇的으로 있었다. 드미트리 돈스코이 時節인 1380年 쿨리코보의 戰鬪 에서 모스크바는 唯一하게 킵차크 칸國에게 勝利를 거두었다. 하지만 以後 킵차크 칸國의 反擊으로 다시 征服되었기 때문에, 完全한 獨立은 1380年부터 1世紀 뒤에 이루어졌다.

衰退와 滅亡 [ 編輯 ]

14世紀 末부터 1440年代에 킵차크 칸國의 타타르 貴族들은 모스크바 大公이 모스크바 칸으로 認定되면서 貴族들間 結婚으로 러시아化되어 漸次 歷史에서 사라지게 된다. 그리고 크림 칸國 , 아스트라한 칸國 , 카잔 칸國 , 시비르 칸國 으로 나뉘었으며 이들도 크림 칸國 을 除外하고는 얼마 지나지 않아 모스크바 大公國 에 依해 滅亡하였다.

킵차크 칸國의 칸 [ 編輯 ]

  1. 바투 칸 (Батый) (1237-1255)
  2. 사르타크 (1255-1256)
  3. 울라크치 (1256?)
  4. 베르케 칸 (Берке) (1256?-1266)
  5. 命舊티무르 칸 (Менгу-Тимур) (1266-1280) ( 크림 韓國 을 支配함)
  6. 투다멩구 칸 (Туда-Менгу) (1280-1287)
  7. 탈라部가 칸 (Талабуга) (1287-1291)
  8. 토흐타 칸 (Тохта) (1291-1312)
  9. 우즈베크 칸 (Узбек) (1312-1342)
  10. 자니베크 칸 (Джанибек) (1342-1357) (1356年에 아제르바이잔 이란 을 支配함)
  11. 베르디베크 칸 (Бердибек) (1357-1362)
  12. 마마이 칸 (Мамай) (1362-1380)
  13. 토크타미視 칸 (Тохтамыш) (1380-1395)

百張 칸國 [ 編輯 ]

主治醫 맏아들 ‘ 오르다 ’의 百張 칸國 의 칸은 다음과 같다.

廳長 칸國 [ 編輯 ]

廳長 칸國 의 칸은 다음과 같다.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Halperin 1985 , 59쪽.
  2. V. Tizengauzen, Sbornik materialov, otnosiashikhsia k istorii Zolotoi Ordy, t. 2, p. 93
  3. V. Tizengauzen, Sbornik materialov, otnosiashikhsia k istorii Zolotoi Ordy, t. 1, pp. 343~343, 348, 350.
  4. V. Tizengauzen, Sbornik materialov, otnosiashikhsia k istorii Zolotoi Ordy, t. 1, p. 4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