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吏曹銓郞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吏曹銓郞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전랑 에서 넘어옴)

吏曹銓郞 (吏曹銓郞)은 朝鮮 時代에 李朝 正郞 (正5品)과 佐郞 (正6品)을 함께 이르던 말이다. 吏曹의 正郞과 佐郞은 各 部署의 堂下官(堂下官) 官員을 薦擧, 在野人士 推薦 權限을 가진 職責으로 전랑 (銓郞)이라고 불렀다. [1] 特히 吏曹正郞(吏曹正郞)은 司正機關인 三四(三司) 管理의 推薦權을 가진 核心 要職으로, 品階는 낮았으나 莫强한 權限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므로 名望 있고 젊은 文臣 中에서 選任되었고, 重罪가 아니면 彈劾받지 않았으며, [2] 전랑을 거치면 大槪 宰相까지 오를 수 있었다. [3]

朝鮮 時代의 官吏 任命 權限은 三政丞이 있는 議政府에게 있지 않고 吏曹에 屬해 있었다. 따라서 李朝의 首長인 吏曹判書는 三政丞보다 큰 權限을 누렸다. 이런 吏曹判書의 人事權 專橫을 防止하기 위하여 三四 管理 推薦權만은 이조정랑에게 全權을 주었다. [4] 王權과 有力 神權을 牽制하기 위해서 監視하고 彈劾, 監察하는 三社의 人事權이 宰相이나 吏曹判書에게 있으면 自己사람을 심어서 權力을 濫用할 수 있기 때문이었다. 삼사에 對한 人事權을 大臣들로부터 獨立시킴으로 三四 官吏들이 所信껏 監察, 彈劾 活動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制度的 裝置의 一環이었다. [5]

正郞은 三四(三司)의 人事權을 쥐고 있었으므로 三四(三司)의 輿論은 隱然中 正郞의 統制下에 있었고, 三四(三司)를 통하여 代身들의 權力을 牽制하였다. 이처럼 人事權과 言論權이 전랑에 集中되어, 전랑職을 누가 차지하느냐에 따라 權力의 向背가 決定되었다. 朝鮮時代 朋黨(朋黨) 始作으로 보는 1575年 에 士林派의 東西分黨 事件을 招來한 심의겸 (沈義謙)과 김효원 (金孝元)의 싸움도 吏曹正郞 자리를 놓고 벌어졌다. 以後 전랑職을 둘러싼 爭奪戰이 黨爭을 격화시키는 原因이 되었다. 이러한 弊端을 없애기 위하여 1685年(肅宗 11)과 1741年(英祖 17)에는 전랑의 權限과 人員을 縮小시켰으며 [3] 後任指名權은 宰相에게, 通淸權은 吏曹判書가 行使하게 되었다. [6]

權限 [ 編輯 ]

自隊權(自代權) [ 編輯 ]

後任 전랑 指名權, 卽 後任者 推薦權을 말한다. 1516年( 中宗 11), 改革을 主導하던 趙光祖에 建議로 附與되었다. [7] 銓郞薦代法(銓郞薦代法)에 依해 法的으로 保障된 權利로, 전랑이 주어진 本人의 任期를 다 마치고 補職移動을 할 때 自身의 後任者를 直接 指名할 수 있는 權利였다. 情5品에 지나지 않는 官僚가 莫强한 權限을 大臣들의 눈치를 보지 않고 行使하려면 吏曹正郞 地位에 對한 保障이 있어야 한다. 따라서 이조정랑職에 對한 人事權도 大臣들로부터 獨立되어 있어야 했다. 그래서 移任하는 前任 吏曹正郞에게 後任 吏曹正郞 任命에 對한 推薦權도 주어졌던 것이다. [5] 後任者를 推薦하면 王이 直接 임명하였다. [1] 거의 世襲的 性格을 가진다고 볼 수 있고 많은 人事請託이 오고 갔다.

通淸權(通淸權) [ 編輯 ]

調整 各 部署 4품以下 堂下官을 薦擧할 수 있으며, 特히 三史(司憲府, 司諫院, 弘文館)의 管理를 選拔할 수 있는데, 吏曹判書 조차 干與할 수 없는 權利에 該當한다. 이는 곧 文身 選拔權을 廣範圍하게 行使할 수 있는 權利로, 바로 이 通淸權이 李朝郎官(吏曹正郞) 人事業務의 核心이다. 三四 言論機關의 管理 任用權限이 이조정랑에게 있었기 때문에 三四 官員 豫備生들은 이조정랑의 눈치를 봐야 했다. 李朝郎官이 朝鮮의 言論을 間接的으로 支配할 수 있었다. [3] 趙光祖의 改革政治 一環으로 1516年(中宗 11)부터 주어졌으며, 趙光祖는 自隊權과 함께 이조정랑의 힘을 키워 新進士林 勢力을 强化하고 改革을 推進하는 발板으로 삼았다. [7] 그러나 漸次 이조정랑의 剛한 權力으로 因해 黨爭이 深化되자 1741年(英祖 18)에는 通淸權(通淸權)을 약화시켰다. [1]

낭천權(郞薦權) [ 編輯 ]

富川權이라고도 한다. 一名 在野 人士 推薦權으로서 다른 權利들과 比較해 多少 늦은 時點인 1569年(宣祖 2)부터 附與되었다. 名聲이 높거나 實力은 있는데 過去試驗에서 合格하지 못한 在野의 선비들을 過去試驗 없이 任用될 수 있게 推薦할 수 있는 權利이다. 李朝郎官이 推薦하면 大部分 登用되었으며 吏曹判書는 官員 薦擧에 介入할 수 없었다. [1] 위와 같은 權限들을 土臺로 士林들은 李朝전랑 地位를 勳舊勢力의 强力한 牽制(士禍)에도 끊임 없이 士林을 中央에 供給하여 勳舊에 맞설 勢力 基盤을 다질수 있었다. 수많은 人事請託이 빌미를 提供했으며 朝鮮 後期 朋黨政治에 利用되기도 한다.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네이버 知識百科] 전랑 [銓郞] (두산百科 頭皮디아, 두산百科)
  2. [네이버 知識百科] 전랑 [銓郞] (두산百科 頭皮디아, 두산百科).....전랑이 大逆罪와 같은 重罪가 아니면 彈劾으로부터 자유로웠고, 退任 後에는 政丞으로 올라갈 수 있는 昇進이 保障되기도 하였다.
  3. [네이버 知識百科] 전랑 [銓?] (韓國民族文化大百科, 韓國學中央硏究院)
  4. 이덕일 <黨爭으로 보는 朝鮮 歷史> 石筆 2004年 p46
  5. 이덕일 <黨爭으로 보는 朝鮮 歷史> 石筆 2004年 p47
  6. 金慶洙, 이영화 <테마로 읽는 우리歷史> 동방미디어 2004年 p281
  7. 최용범 <하룻밤에 읽는 韓國史> 랜덤하우스中央 2004年 p210
이 文書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 (現 카카오 )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配布한 글로벌 世界대백과사전 의 "〈兩班官僚의 對立과 分裂〉" 項目을 基礎로 作成된 글이 包含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