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이스라엘 獨立 宣言書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이스라엘 獨立 宣言書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이스라엘 獨立 宣言書의 모습

이스라엘 獨立 宣言書 ( 히브리어 : ????? ??????? 下크라者트 하츠魔우트 ) 또는 히브리어 : ????? ??????? 메길라트 하츠魔우트 )는 英國의 팔레스타인 支配가 끝난 날인 1948年 5月 14日 (헤브루力 5708年 이야르月 ) 팔레스타인 地球를 이스라엘 의 새로운 猶太人 의 領土이자 이스라엘 王國 유다 王國 을 繼承한 國家로 宣布한 文書이다.

이 날은 이스라엘에서 每年 욤 하츠魔우트( 히브리어 : ??? ??????? , "獨立記念日"이라는 뜻)라는 이름의 國慶日 로 헤브루力에서 記念하고 있다. 팔레스타인 人들은 이 날을 나크바의 날 ( 아랍語 : ??? ?????? 욤 알나크바 [ * ] , "災殃의 날"이라는 뜻)이라 부르며 每年 5月 15日 을 나크바의 날로 記念하고 있다. [1]

背景 [ 編輯 ]

유엔 總會 는 臨時 政府가 獨立 宣言 前에 유엔에게 “이 땅에 사는 사람은 民族, 宗敎, 言語나 性別을 不問하고 差別하지 않을 것”이란 趣旨의 宣言을 할 것으로 結論을 내린 바 있다. 總會는 宣言書는 權威 損傷的인 部分이 없으며, 이것은 “國家의 基本的인 法律이고, 다른 어떤 法律, 規則, 公式的 行動도 이 法律과 衝突하거나 이 위에 있을 수 없음”을 明示할 것을 義務化하였다. [2]

팔레스타인 猶太人 들의 故鄕으로 만드는 것이 19世紀 末 以來 시오니즘 主義者들의 目標였으나, 1917年이 돼서야 밸푸어 宣言 을 통해 그 見解가 公式的인 支持를 받기 始作하였다. 宣言書에는 英國 政府가 팔레스타인에 유대人들의 집을 만들어줄 것을 要求하였다. 1936年 筆 委員會 는 팔레스타인 地球를 猶太人 州와 아랍人 主로 나눌 것을 提案하였으나, 이 안은 政府가 進行할 수 없는 問題라는 理由로 棄却당했으며, 部分的으로 1936年부터 1939年에 걸친 팔레스타인의 아랍人 叛亂의 理由로 指摘받기도 하였다.

유엔의 분할 計劃

增加하는 暴力의 趨勢 속에, 英國은 이 問題를 유엔 에게로 넘겼다. 그 結果 유엔 總會 決意 第181號 가 通過되었는데, 이 案件은 팔레스타인을 猶太人과 아랍人으로 나누는 분할 計劃이었다. 人口의 約 10%를 차지하는 猶太人들은 팔레스타인 地區의 56%假量 되는 땅을 받으며, 代身 유엔 官吏 地域으로 分類된 예루살렘은 除外되었다. 大部分의 猶太人들이 이 計劃을 받아들였으나, 아랍人들은 反對하였다. 1947年 11月 29日, 이 案件은 유엔 總會에서 投票에 부쳐졌다. 結果는 贊成 33票 代 反對 13票, 棄權 10票였다. 아랍 國家들 (모두 이 案件에 反對함)은 유엔 總會가 該當 國家의 人口 絶對 多數가 反對하는 案件을 實行할 수 있는지를 問題 삼으면서 國際司法裁判所 로 이 일을 가져고자 하였으나 結局 實行되지 않았다. 分割은 英國이 支配 領域에서 撤收하는 날인 1948年 5月 15日부터 實行되었다. 當時 英國은 이 計劃을 兩쪽이 받아들이지 못할 것이라며 否定的인 立場을 보였었다.

宣言書의 草案 作成 [ 編輯 ]

宣言書는 핀챠스 로젠의 付託에 따라 히스타드루트 (팔레스타인 勞動總聯盟)의 法的 諮問이자 以後 이스라엘 最高法院 判事를 지낸 즈非 베렌슨이 草案을 作成하였다. 改正을 거친 두 番째 판은 歲 辯護士, A. 베函, A. 힌츠하이머와 Z.E. 베이커가 만들었으며, 以後 某쉐 샤렛 , 아하론 지슬링 , 다비드 레메즈, 핀챠스 로젠 等等이 屬해있던 委員會가 補正을 맡았다. [3] 두 番째 委員會 會議에는 벤구리온, 예후다 레입 마이몬, 샤렛과 지슬링 等이 參與하여 最終판을 作成하였다. [4] 이는 5月 14日 텔아비브 JNF 빌딩의 全國 評議會에서 承認되었다. 會議는 宣言書의 最終 期限보다 1時間 이른 午後 3時에 끝났으며, 어느 程度의 反對가 끝까지 있었으나 最終 宣言文은 滿場 一致로 承認되었다.

이 過程에서 爭點은 크게 두 가지가 있었는데, 그것은 國境과 宗敎에 關한 것이었다. 國境 問題에서는, 草案에서 유엔 분할 計劃에 依해 國境이 定해질 것이라는 글이 적힌 것이 始作이었다. 로젠 等은 이를 支持하였으나, 벤구리온과 지슬링은 反對하였으며, 特히 벤구리온은 “우리는 유엔 決議案을 받아들였지만, 아랍人들은 그러지 않았다. 그들은 우리에 對한 戰爭을 準備하고 있다. 萬若 우리가 그들을 이기고 西部 갈릴리나 예루살렘으로 가는 길목의 領域을 차지한다면, 이 地域은 國家의 一部가 될 것이다. 아랍人들이 贊成하지 않을 수도 있는 國境을 우리가 왜 받아들여야하나?”라고 말하였다. [3] 이 內容은 結局 臨時 政府 會議에서의 投票 結果 5票 臺 4票로 宣言文에서 除外하기로 最終 決定이 났다. [4] 요르단江 兩쪽 流域의 땅도 猶太人 땅에 包含시키길 願했던 修正 시오니즘 主義者들은, 宣言書의 內容에 “歷史的인 國境 內에”라는 文句를 包含시키길 願했으나 所願을 이루지는 못하였다.

두 番째 主要 爭點은 文書의 마지막 部分에 을 包含시킬 것인지의 與否였으며, 具體的으로 草案에서 “全知全能하신 분에 우리의 믿음을 바치며”라는 文句를 使用한 것이 出發點이 되었다. 두 랍비 샤피라와 예후다 레입 마이몬은 이 文句는 絶對 省略할 수 없다고 主張하였으며, 샤피라는 “이스라엘의 神” 또는 “이스라엘의 全知全能하신 救世主” 等의 文句를 쓸 것을 支持하기도 하였다. [3] 이 提案은 世俗主義 마팜 黨 의 멤버였던 지슬링이 剛하게 反對하였다. 結局 宣言文 마지막에는 “이스라엘의 바위”라는 語句를 使用하였는데, 이는 神 또는 에레츠 이스라엘 (이스라엘의 땅) 둘 다로 解釋될 수 있는 것이었다. 벤구리온은 이에 關해 “우리들 한 名 한 名이, 各自의 方式으로, 나름의 ‘이스라엘의 바위’가 가진 意味를 믿고 있다. 한 가지 付託을 하겠다: 이 漁具만은 投票에 부치지 말기를 바란다”라고 말하였다. 지슬링은 이도 끝까지 反對를 하였으나, 投票 없이 이 語句는 宣言文에 包含되었다.

5月 14日에 이뤄진 議會에서는, 臨時 政府의 다른 멤버들이 宣言文에 덧댈 것들을 여러 가지 提案하였다. 메이어 빌네르 는 英國軍의 支配를 非難하는 內容을 包含시키길 願했으나 샤렛이 反對하였다. 메이어 아르고브는 유럽의 避難民 캠프를 言及할 것과 言語 의 自由를 保障할 것을 剛하게 主張하였다. 벤구리온은 後者에는 贊成하였으나 히브리어 가 國家의 主要 言語여야함을 指摘하였다.

作成者들은 새로운 國家의 이름에 關해서도 意見을 내었다. 에레츠 이스라엘 (Eretz Israel), 에버 (Ever), 유대 (Judea), 시온 (Zion) 等이 提案되었으며, 詩오나, 이브리野, 헬즈理야 等도 候補였다. [5] 유대와 시온은, 분할 計劃에 따라 예루살렘 (시온)과 大部分의 紐帶 산이 國家에 包含되지 않는다는 理由로 棄却되었다. [6] 벤구리온은 “이스라엘”을 提案하였으며, 이는 6票 臺 3票로 通過되었다. [7]

單語 使用에 對한 論爭은 宣言文이 完成된 以後에도 끝나지 않았다. 宣言文의 서명인 中 한 名인 메이어 다비드 로웬슈타인은 後에 “이는 우리의 아버지 아브라함 이 州와 맺은 誓約, 그리고 他나크 에 담긴 約束으로 確立된 에레츠 이스라엘 에 對한 우리의 權利를 無視한 處事이다. 또한 이는 람半 의 聖經 主席, 빌나 加溫 의 學生들, 바알 셈토브 , 그리고 古代 有슈프에 살았던 猶太人들의 權利를 無視한 것이다.”라 말하였다. [8]

投票 [ 編輯 ]

5月 12日 全國 評議會가 召集되어 獨立 宣言에 對한 投票가 벌어졌다. 멤버 中 셋은 參與하지 않았다; 예후다 레입 마이몬과 이츠학 그루엔바움은 1948年 벌어진 예루살렘 攻防戰 에 휘말린 狀態였으며, 이츠학-메이어 레빈은 美國 에 있는 狀態였다.

會議는 1:45에 始作해 12時가 지난 後에야 끝을 맺었다. 爭點은 美國이 提案한 休戰 協定의 承認 또는 獨立 宣言 사이의 決定이었다. 後者는 投票에 부쳐졌으며, 10名의 멤버 中 6名이 贊成하였다.

  • 贊成 : 다비드 벤구리온, 某쉐 샤렛, 페레츠 藩슈타인, 하임-某쉐 샤피라, 某데챠이 벤토브, 아하론 지슬링
  • 反對 : 엘里저 카플란, 다비드 레메즈, 핀챠스 로젠, 베쳐-샬롬 시트리트

當時 世界 시오니스트 組織 의 議長이자 나중에 첫 이스라엘의 大統領 을 지낸 하임 바이츠만 이 이 決定의 保證人이 되었으며, 그는 投票를 기다리는 동안 “大體 저들은 뭘 기다리는 건지, 바보를 기다리나?”라고 물었다고 한다. [3]

宣言式 [ 編輯 ]

獨立 宣言式은 텔 아비브 博物館 (오늘날엔 獨立記念館)에서 열릴 豫定이었으나, 英國 權力家들이 毁謗을 하거나 아랍 軍이 豫想보다 일찍 侵入할 것을 憂慮하여 이를 널리 알리진 않았다. 招待狀은 5月 14日 심부름꾼들에 依해 發送되었으며, 午後 3時 30分까지 到着할 것과 이 行事를 祕密로 維持할 것을 當付하고 있었다. 行事 始作 時間은 4詩였으며 ( 安息日 의 時間과 겹치지 않도록), 이스라엘의 소리 (Kol Yisrael) 라디오 放送局의 個國 첫 放送으로 생중계될 豫定이었다.

當日 承認된 宣言文의 最終案은 JNF 빌딩에서 타입되었다. 當時 文書를 配達하기 위해 빌딩에 남아있었던 第에프 샤레프는, 自身이 어떤 手段으로 그곳에 갈 것인지 생각해두는 것을 깜빡하고 말았다. 結局, 그는 지나가던 車 (當時 運轉士는 無免許로 車를 빌려 運轉하고 있었다 함)를 히치하이크해 記念式까지 데려다 달라고 付託해야 했다. [3] 途中에 過速으로 警察官이 車를 멈춰세웠으나, 獨立 宣言式이 이 때문에 遲延된다는 말에 딱紙가 配付되지 않았다. [7] 샤레프는 博物館에 3時 59分에 到着하였다.

4時가 되자, 벤구리온은 테이블 위 議事棒 을 두드려 宣言式을 始作하였고, 곧이어 招待받은 250名의 손님들은 以後 이스라엘의 國家 가 된 하티크바 를 불렀다. [7] 演說臺 뒤의 壁에는 近代 시오니즘의 創始者 테오도르 헤르츨 의 寫眞이 걸려있었으며, 兩쪽에 있던 두 旗발은 以後 이스라엘의 國旗가 되었다.

벤구리온은 招待 손님들에게 “이제 完成된 文書를 읽어드리겠습니다”라고 말한 後 16分間 宣言文을 읽어내려갔으며, “이제 起立하여 猶太人의 國家 創立의 文書를 받아들입시다”라는 말로 끝을 맺고 랍비를 불러 祝福의 祈禱를 하였다. [7]

署名 [ 編輯 ]

텔아비브 博物館에서 獨立 宣言을 기다리는 群衆들

有슈프 의 리더로서, 다비드 벤구리온 이 처음으로 署名하였다. 宣言文은 臨時 政府의 37名 全員이 署名할 豫定이었으나, 11名은 예루살렘 攻防戰 때문에, 1名은 外國에 있었기 때문에 參與를 하지 못하였다. 남은 24名의 서명인은 알파벳 順序로 署名을 하였으며, 參與하지 못한 이들이 署名할 자리는 비워두었다. 第라크 와하프티그의 境遇, 자리가 비워져있긴 하였으나 署名은 옆줄 맨 위에 하였는데, 이는 빌네르의 이름을 따돌림하는 것, 아니면 共産主義 자도 獨立 宣言에 贊成한다는 것을 强調하는 것이라는 推測을 낳았다. [7]

저널리스트 헤르츨 로젠블룸이 署名할 次例가 되었을 때, 벤구리온은 그에게 筆名 人 헤르츨 바르디로 署名할 것을 付託하였는데, 이는 最大限 많은 헤브루 이름을 宣言文에 包含시키고자 한 그의 意圖 때문이었다. 로젠블룸은 벤구리온의 要請에 따라 法的으로 自身의 이름을 바르디로 바꾸기도 하였으나, 以後 로젠블룸으로 署名하지 않은 것을 後悔한다고 認定하기도 하였다. [7] 다른 많은 서명인들도 自身의 이름을 以後 헤브루化하였는데, 그 例로 메이어 아르고브, 페레츠 藩슈타인 (當時 프리츠 藩슈타인), 아브라함 그라노트, 某쉐 콜, 예후다 레입 마이몬, 핀챠스 로젠 等等이 있었다. 한便 다른 서명인들은 署名에 몇 가지를 더 하였는데, 例를 들어 사디아 코바시의 境遇 “下레위”란 文句를 적었다. 이는 레위 足을 指稱하는 것이었다. [9]

마지막 서명인 某쉐 샤렛이 宣言文에 自身의 이름을 赤字, 모인 사람들은 다시 일어서 팔레스타인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演奏와 함께 하티크바를 불렀다. 벤구리온은 “이스라엘 國家는 創立되었습니다. 오늘 會議는 이걸로 끝입니다.”라는 말로 行事를 마무리하였다. [7]

餘波 [ 編輯 ]

獨立 宣言書의 署名이 끝난지 11分 後, 트루먼 大統領은 이스라엘 國家를 認定하였으며, [10] , 이어 유엔 분할 計劃에 反對했던 이란 모함마드 레자 팔라비 를 비롯해, 과테말라 , 아이슬란드 , 니카라과 , 루마니아 , 우루과이 에서도 國家를 認定한다 發表하였다. 1948年 5月 17日 소비에트 聯邦 은 처음으로 이스라엘을 合法的으로 認定하였으며, 폴란드 , 체코슬로바키아 , 유고슬라비아 , 아일랜드 南아메리카 共和國 이 뒤를 이었다. [11] 美國은 몇 달 後인 1949年 1月 31日에야 公式的으로 國家를 認定하였다. [12]

獨立 宣言을 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이스라엘에는 이집트 , 이라크 , 레바논 , 시리아 群들이 들이닥쳐 1948年 第1次 中東 戰爭 이 勃發하였다 (이 戰爭은 이스라엘에서는 “밀河마트 下아츠魔우트 (????? ???????)”, 卽 ‘獨立 戰爭’이란 이름으로 알려져있다). 6月 11日에 停戰 協定이 이루어지긴 하였으나, 7月 8日 攻擊이 再開되어 18日까지 이어졌고, 以後 10月 中旬에 다시 始作되어 1949年 7月 24日 드디어 시리아와의 休戰 協定으로 戰爭은 끝이 났다. 그때까지 이스라엘은 獨立 狀態를 維持하였으며, 1947年 유엔이 분할 計劃을 냈을 때에 비해 國土를 大略 50% 程度 증가시켰다.

獨立 後, 臨時 政府가 再成立되어 1949年 1月 첫 選擧가 이루어질 때까지 새 國家의 政府 役割을 하였다.

서명인들 中 多數가 獨立 以後 政府에서 主要 役割을 하였다; 某쉐 샤렛과 골다 메이어 受賞 을 지냈으며 이즈하크 벤즈費는 1952年 두 番째 이스라엘 大統領이 되었고, 그 外에도 많은 이들이 內閣의 主要 人事를 맡았다. 다비드 레메즈는 1951年 5月 숨을 거둠으로써 서명인 中 처음으로 命을 달리한 사람이 되었으며, 서명인 中 29歲로 가장 젊었던 메이어 빌네르는, 크네셋 에서 1990年까지 일하였고 2003年 6月 死亡하였다. 82歲로 가장 나이가 많았던 서명인 엘리야후 베르리그네는 1959年 死亡하였다.

이스라엘 憲法 內에서의 位置 [ 編輯 ]

宣言文은 宗敎, 人種, 性別을 不問하고 모든 이스라엘 居住民들에게 社會政治的인 權利의 平等을 保障함을 力說하고 있다. 하지만, 크네셋 에서는 宣言文이 憲法도 平凡한 法的 文書도 아니라는 姿勢를 維持하고 있다. [13] 이스라엘 大法院에서는 宣言文에 言及된 事項들은 그저 가이드라인日 뿐이며, 宣言文이 實際 效力을 發揮하는 法律이라거나, 現存하는 法律을 無力化시킬 수 있는 힘을 가진 事項이 아님을 確認하였다. 크네셋에서 어떤 法律이 異議 없이 通過될 境遇, 獨立 宣言文과 相衝하는 面이 있더라도 一般的으로 하나의 法律로 尊重받는다. [14]

1994年 크네셋은 이스라엘의 두 가지 基本 法律人, “人間 尊嚴性과 自由”와 “職業의 自由”를 改正하면서, “이스라엘에서의 基本 人權은 尊重받을 것이며 (...) 이스라엘 國家 成立의 宣言文에 包含된 原則을 기리며 施行될 것이다”라는 文句를 揷入하였다.

文書 [ 編輯 ]

벤구리온은 當時 聽衆들에게 獨立 宣言文을 直接 읽고 있다고 말하였으나, 事實 그 當時 그는 손으로 쓴 메모를 통해 읽고 있었다. 이는 當時 文書의 作成을 맡았던 畫家 兼 書藝가 誤테 왈리쉬가 宣言式 때까지 宣言文을 完成시키지 못했기 때문이다 (實際 宣言文은 6月이 돼서야 完成되었다). [8] 세 파트로 나뉜 宣言文 文書는, 一般的으로 國立 文書庫에서 保管이 되었으나, 現在는 이스라엘 博物館 에서 展示 中이다.

內容 [ 編輯 ]

宣言文은 聖經 의 歷史로부터 現在까지 直線을 이으면서 始作한다.

에레츠 이스라엘은 유대人의 誕生地였다. 이곳에서 그들의 靈的인, 宗敎的인, 그리고 政治的인 正體性이 形成되었다. 이곳에서 그들은 처음으로 國家的 地位를 이루었으며, 國家的 또 世界的인 重要性을 지니는 값진 文化를 만들었고 世上에게 聖經을 주었다.

宣言文에는 數千年 間의 유대人의 追放을 言及하면서, 古代의 “믿음”과 現代의 “政治”를 둘 다 끌어오고 있다.:

强制的으로 自身들의 땅에서 追放된 以後, 사람들은 흩어짐에도 믿음을 지켜 絶對 祈禱를 멈추지 않았고, 오직 自身들의 政治的인 自由로의 歸還과 그것의 回復을 바랐다.

또한 유대人들이 自身들의 古代의 故鄕으로 돌아가고자 했던 마음도 담겨있다.:

이 歷史的이고 傳統的인 愛着에 이끌려, 유대人들은 世代를 거듭하여 다시 古代의 故鄕에 自身들을 정착시키기 위해 努力하였다. 近 數十 年에야 그들은 다시 하나로 뭉쳤다.

그리고 다음과 같이 이스라엘의 유대人 移民者들을 說明하고 있다.:

開拓者들… 그리고 防禦者들, 그들이 沙漠에 꽃을 피우고, 히브리어 를 부활시켰고, 마을과 村落을 짓고, 經濟와 文化 面에서 自立하여 蕃盛하는 共同體를 構成하였으며, 平和를 사랑하나 스스로를 지키는 法을 알았고, 나라에 사는 이들은 가릴 것 없이 發電의 祝福을 가져다주었고, 恒常 獨立的인 한 國家의 位置를 憧憬하였다.

1897年, 유태 國家의 靈的인 아버지, 테오도르 헤르츨 의 부름 아래, 첫 世界유대人聯合 이 結成되어 유대人 國家의 復活의 權利를 외쳤다. 이 權利는 英國 政府가 1917年 11月 2日 提唱한 밸푸어 宣言 이 支持한 것이며, 國際聯盟 의 委任 統治로 유대人과 팔레스타인 사이의 歷史的인 連結고리, 그리고 유대人들의 집을 再建할 權利에 關한 國際的인 詩人을 이끌어낸 바 있다.

1939-1945年에 벌어진 유럽 홀로코스트 亦是 故鄕의 再成立을 위한 必須 要素 中 하나이다.:

最近에 들어 유대人들에게 드리워진 災殃?유럽에서 벌어진 유대人 數百萬 名의 虐殺?은 이스라엘을 유태 國家로 再正立하는 일이 얼마나 緊急한지를 보여준 또다른 事件으로써, 이는 모든 유대人들에게 故鄕을 提供하고, 그들을 國家라는 共同體의 特權을 지닌 構成員으로 만들 수 있는 機會이다.

유럽 나찌 홀로코스트 로부터 살아남은 이들과, 다른 國家의 유대人들은, 障礙物들과 危險을 두려워하지 않고 繼續 이스라엘로 모여들었으며, 恒常 尊嚴한 生命, 自由, 그리고 祖國의 耕作의 權利를 主張하기를 멈추지 않았다.

1947年 11月 29日, 유엔 總會 는 決議案 181號를 통과시켰으며, 이는 ‘팔레스타인의 未來 憲法과 政府’에 關한 것이었다. 이는 유태 國家의 臨時 政府 成立, 그리고 이를 통한 憲法과 權利 保障 等을 재촉하였다. [2] 이 決議案은 이스라엘에 사는 사람들이 政府가 제자리를 잡게 해줄 措置를 取하게 할 것을 要求하였다. 主權 民族 自決 에 關하여 宣言文은:

이 權利는 유대人들이 스스로의 運命의 主人이게 하는 本然의 權利로써, 다른 모든 主權 國家에서 마찬가지로 이루어진 것이다.

그러므로 英國 委任 統治의 끝을 맞이하여 팔레스타인의 유대人들, 그리고 시오니스트의 構成員과 代表들, “自然的이고 歷史的인 權利”의 本性에 따라, 그리고 유엔 의 決議案에 따라... 이 자리에서 이스라엘이라 알려질 유태 國家의 成立을 宣布한다.

...이스라엘은 유대人들이 자유롭게 들어와 살 수 있으며, “추방당한 이들을 거두는 땅”李 될 것이다; 이스라엘은 모든 居住民들의 權益을 위해 發展을 해나갈 것이다; 이스라엘은 古代 豫言家들이 맘속으로 그려왔던 自由, 正義, 平和에 基盤을 두고 세워질 것이다; 이스라엘은 宗敎, 人種, 性別을 不問하고 모든 居住民들에게 社會政治的인 權利의 平等을 保障할 것이다; 이스라엘은 宗敎, 意識, 言語, 敎育과 文化의 自由를 保障할 것이다; 이스라엘은 모든 宗敎의 聖地를 安全하게 保護할 것이다; 또한 이스라엘은 유엔 憲章 의 原則에 忠實할 것이다.

이들은 모든 에레츠 이스라엘의 經濟的인 聯合을 세울 것을 盟誓하며 이렇게 付託하였다.:

近 몇 달間 우리들에게 加해져온 猛攻 속에서 ? 이스라엘 國家의 아랍人들에게 우리는 平和를 保全하고 國家의 成立을 協助할 것을, 平等한 市民權을 지닌 사람 대 사람으로서, 또 臨時 그리고 正式 政府의 代表人으로서 要求한다. 우리는 이웃하는 國家들에게 平和와 親近함으로 손을 뻗으며, 主權을 가지고 제 땅에 자리를 잡은 유대人들과 協調와 相互 援助의 連結고리를 굳건히 할 것을 付託한다. 이스라엘 國家는 中東 全體의 發展을 위한 共同의 努力에 參與할 準備가 되어있다.

마지막 付託은 디아스포라로 因해 흩어진 “이 땅의 自由 헤브루人”들에게 한 것이며, 그들의 오래된 꿈인 이스라엘의 再建을 實現하려는 그들을 支持함을 드러낸 것이기도 하다. 宣言文은 이스라엘 땅에 있는 헤브루因果, 世界 各地에 흩어져있는 유대人들 間의 區分을 明確히 하고 있다.

宣言文은 "미토 비타魂 베츠르 이스라엘"이란 말로 끝을 맺고 있는데, 이는 “이스라엘의 朱에 對한 믿음으로”, 或은 “이스라엘의 힘으로”라고 解釋될 수 있다. 이 二重的 意味는 有슈프의 宗敎的 및 世俗的 黨派를 둘 다 만족시키기 위해 選擇된 것이라 볼 수 있다.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58番째 팔레스타인 災殃의 날 Archived 2008年 2月 3日 - 웨이백 머신 알 바와바, 2006年 5月 3日
  2. “유엔 總會 決議案 181項, 파트 1 - 팔레스타인의 未來의 憲法과 政府, C. DECLARATION” . 2006年 10月 29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08年 4月 20日에 確認함 .  
  3. The State of Israel Declares Independence 이스라엘 外務部
  4. Harris, J. (1998) 이스라엘 獨立 宣言書 Archived 2011年 6月 7日 - 웨이백 머신 The Journal of the Society for Textual Reasoning, Vol. 7
  5. 길버트, 마틴 (1998) Israel: A History , London: Doubleday. p. 187. ISBN   0-385-40401-8
  6. Why not Judea? Zion? State of the Hebrews? 하레츠, 2008年 5月 7日
  7. One Day that Shook the world Archived 2012年 1月 12日 - 웨이백 머신 The Jerusalem Post, 1998年 4月 30日
  8. Wallish and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Archived 2011年 7月 23日 - 웨이백 머신 Jerusalem Post, 1998 (Eretz Israel Forever에 裁判됨)
  9. For this reason we congregated Archived 2007年 10月 13日 - 웨이백 머신 Iton Tel Aviv, 2004年 4月 23日
  10. End of Palestine mandate , The Times, 1948年 5月 15日, 接續일 2009年 3月 19日
  11. What countries recognized the State of Israel? Archived 2009年 1月 23日 - 웨이백 머신 Palestine Facts
  12. The Recognition of the State of Israel: Introduction Archived 2019年 2月 8日 - 웨이백 머신 Truman Library
  13. The Proclamation of Independence 크네셋 웹사이트
  14. The Declaration of the Establishment of the State of Israel 이스라엘 外務部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