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마가와 요시모토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이마가와 요시모토
今川義元
이마가와 요시모토
이마가와 요시모토
인양문(引両紋)
引揚門(引?紋)
無事 情報
時代 센고쿠 時代
出生 1519年
스루가
死亡 1560年 6月 12日
덴가쿠 瑕疵마
別名 도카이도 第一의 無事( 海道一の弓取り )
官位 種4爲하 恥部大寶, 스루가 老카미(駿河守)
墓所 아이치縣 도요亞케시 오케하자마코센조덴세쓰치
이마가와 요시모토
日本語式 漢字 表記 今川 義元
가나 表記 いまがわ よしもと
國立國語院 標準 表記 이마가와 요시모토
로마字 Imagawa Yoshimoto

이마가와 요시모토 ( 日本語 : 今川義元 , 1519年 ~ 1560年 6月 12日 )는 센고쿠 時代 다이묘 이다.

스루가國 (駿河?)의 슈고 다이묘 였던 이마가와氏 第9代 堂主이며, 도카이도 第一의 無事 ( 日本語 : 海道一の弓取り )란 別稱으로 불리면서 自國令 經營과 征伐에 才能을 發揮해 이마가와氏를 센고쿠 다이묘 班列에 올려놓았다.

領地로는 스루가 , 度토미 (遠江), 미카와 (三河), 誤와리 (尾張) 一部까지 擴大해 한때 "天下에 가장 가까운 男子"로 불리었지만, 吳와리를 侵攻할 때 오케下雌馬 戰鬪 (桶狹間戰鬪)에서 오다 노부나가 (織田信長)君의 奇襲을 받고 戰死했다.

다케다 신겐 (武田信玄)의 妹夫이다.

生涯 [ 編輯 ]

內亂과 家督 相續 [ 編輯 ]

요시모토는 이마가와氏 第7代 堂主에 있던 이마가와 우지치카 (今川氏親)의 다섯째 아들로 태어났다. 어머니는 駐케이니 (?桂尼)였고, 어릴적 이름은 號機쿠마루 (芳菊丸)였다. 태어날 때, 이미 親兄인 이마가와 우지테루 (今川氏輝)가 있었기 때문에 4살 때 不問(佛門)에 入籍되어 臨濟宗 (臨濟宗)의 젠토쿠지(善德寺)에 맡겨진다. 이때 法名은 바이가쿠쇼號 (梅岳承芳)이다. 이마가와 一族 出身의 僧侶 다이겐 셋사이 (太原雪齋)와 함께 교토로 上京해 고잔(五山; 지카쿠(寺格): 修行方法, 法도 等)을 배운다.

1536年 우지테루가 急死했기 때문에 스루가로 돌아간다. 이때 出家 했던 異服兄 겐코에탄 (玄廣惠探)과 家督 鬪爭이 일어나게 된다. 하지만 셋사이의 助力으로 勝利하게 된다. 이것을 하나쿠라의 난 (花倉の?)이라 부른다. 아무튼, 家督을 承繼하고 第9代 스루가 슈고에 오른다. 이때 이름을 요시모토로 改名한다.

好調 家門과 오다 家門과의 싸움 [ 編輯 ]

1537年 이마가와 우지테루때까지 宿敵으로 있는 다케다 노부토라 (武田信虎)의 딸과 結婚을 하고, 가이의 다케다 家門과 同盟을 맺는다. 그런 까닭에 오래前부터 鳶이 깊었던 好調 家門과는 同盟이 決裂되고, 好調 우지쓰나 (北?氏綱)가 스루가 가토群(河東郡) 요시하라(吉原; 시즈오카현 후지시 )로 侵攻해 온다. 요시모토는 이에 對應해 交戰했지만, 우지쓰나에게 敗해 가토 君을 빼앗긴다.

더욱이 吳와리의 오다 老父히데 (織田信秀)가 1540年 부터 미카와에 侵攻을 開始한다. 이에 요시모토는 미카와의 豪族들과 聯合하여 1542年 老父히데와 一帶 決戰을 벌이지만, 老父히데의 猛攻 앞에 敗하고 만다(제1차 아즈키자카 戰鬪 (第1次小豆坂の?い)).

勢力 擴大 [ 編輯 ]

好調 家門에서는 1541年 우지쓰나가 죽고 好調 우지야스 (北?氏康)가 家督을 繼承하지만, 이마가와 요시모토는 우지야스와 敵對的인 우에스기 노리마사 (上杉憲政)와 1545年 同盟을 맺는다. 그리고, 聯合해서 우지야스를 攻擊한다. 그 結果 요시모토와 우지야스는 다케다 하루老父(後의 신겐)의 仲介로 和親하게 되고, 和親의 條件은 好調 家門에 빼앗겼던 가토 君의 返還이었다. 그리고, 1551年 우지야스에 依해 고코쿠知性 (興?寺城)을 빼앗겼지만, 곧 奪還하고 기세강 (??川)를 國境으로 했다.

미카와에서도, 誤와리의 오다 老父히데 의 進出에 따른 壓迫을 받고 있던 니시 미카와의 마쓰다이라 히로타다 (松平?忠)의 歸順을 받아들여, 마쓰다이라 히로타다 의 赤字 다케치요(竹千代; 後에 도쿠가와 이에야스 (德川家康))를 人質로 받아 들이지만, 護送 途中 미카와 다하羅城 (田原城)의 榮州 度다 야스美쓰 (?田康光)의 背信으로 護送中 다케치요를 敵國인 오다 家門으로 보내버린다. 이것은 前年에 度다 家門의 一族으로 있는 度다 老父나리 (?田宣成), 度다 요시미쓰 (?田吉光)를 滅門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에 怨恨을 품은 度다 宗家 (宗家)의 堂主로 있던 野스미쓰가 叛亂을 일으킨 것이었다. 이에 激怒한 요시모토는 度다 宗家를 滅門시키고, 그의 巨星이었던 다하라 性을 아사히羅氏 (朝比奈氏)에게 넘긴다.

1548年 요시모토의 미카와 進出에 危機感을 느낀 오다 老父히데 가 미카와를 侵攻해 오지만 요시모토의 重臣으로 있는 다이겐 셋사이 , 아사히나 야스요시 (朝比奈泰能)를 大將으로 해서 오다 軍에 大勝하고, 오다 家門의 勢力을 事實上 미카와로부터 몰아냈다( 第2次 아즈키자카 戰鬪 )

1549年 마쓰다이라 히로타다 가 家臣에 依해 暗殺되자, 요시모토는 이마가와 君을 오카자키性 에 보내 事實上 마쓰다이라價의 少領을 直接 支配下에 둔다. 이로써 스루가, 度토미, 미카와 3個 國을 아우르는 勢力을 構築하고 「도카이도 第一의 無事」等으로 불리게 되었다. 또, 오다 家門의 미카와 안쇼性 (安祥城)을 攻掠하고, 오다 老父히데의 庶子로 있는 오다 노부히로 (織田信?)를 잡아 들여, 다케치요와 人質 交換으로 삼았다. 1551年 老父히데가 죽자, 오다 家門은 家督을 둘러싼 다툼이 벌어진다. 이를 契機로 吳와리 東部의 치타軍과 아이치軍까지 勢力을 뻗친다. 이 즈음에 요시모토의 고쿠다카 는 90萬 席에 達한다.

1554年 赤字 이마가와 우지자네 (今川氏?)를 好調 우지야스 의 딸과 結婚시킨다. 그리고, 다케다 家門과 好調 家門을 仲媒시켜 査頓關係를 맺게한다. 이렇게 해서 3國 同盟을 맺는다. 이것으로 後衛에 對한 걱정을 덜게된다.

1558年 부터는 우지자네에게 實務經驗을 쌓게하고, 自國 領內를 巡視한다.

末年 [ 編輯 ]

이마가와 요시모토의 墓 (아이치縣 도요亞케시)
이마가와 요시모토의 몸 무덤 (아이치縣 度요가瓦市)

1555年 다이겐 셋사이, 1557年에는 아사히나 야스요시라는 命補佐官이 次例次例 病死한다. 이에 따라 이마가瓦家는 衰退岐路에 서있게 된다.

1560年 미카와老카미에 前任된다. 陰曆 5月에는 2萬2千의 兵力을 이끌고 上京을 目標로 誤와리로 侵攻한다. [ 出處 必要 ]

오다가의 誤다카性 (大高城) 周邊의 여러 도리데(砦: 작은 城)를 陷落하지만, 本隊는 誤다카 性 으로 가는 途中 덴가쿠下雌馬(現 아이치縣 도요亞케시 )에서 休息 中 오다 노부나가 의 奇襲을 받아 殺害당했다( 오케下雌馬 戰鬪 또는 덴가쿠下雌馬 戰鬪 . 新潮코키 (信長公記)에 記述되어 있다.) 享年 42歲.

墓所 [ 編輯 ]

事後 [ 編輯 ]

뒤에 需給은 요시모토의 가신 오카베 모토노部 (岡部元信)가 開城(開城; 誤와리 나루미성 (鳴海城))을 條件으로 主君 요시모토의 목을 받아 온다.

家督은 赤字 이마가와 우지자네가 承繼했지만, 그보다 미카와에서 마쓰다이라 모토야스( 도쿠가와 이에야스 )가 自立한다. (이에 우지자네는 모토야스의 匠人으로 있는 세키구치 지가나가 에게 責任을 追窮했기 때문에 세키구치 地價나가는 自決한다) 이때부터 이마가와 氏는 衰退의 길로 걸어가기 始作한다.

後에 우지자네는 8年後 다케다 신겐 에 依해 스루가에서 追放된다. 이로써 이마가와 家門은 센고쿠 다이묘 로써 滅亡되었다.

人物 [ 編輯 ]

  • 요시모토는 굵은 다리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말을 탈 수가 없었다. 그래서 戰鬪 때에도 가마를 타고 移動했다고 傳해진다. 하지만, 이것은 에도 時代 中期에 쓰여진 것이고, 信憑性이 떨어진다. 또, 오다 노부나가 의 家臣 오다 규理致 또는 오다 憂時카즈土毛가 記錄한 神죠코키에서는 오케下雌馬 山에서 退却할 때 말을 탔다는 記錄이 있고, 요시모토가 가마를 탈 수 있었다는 것은 아시카가 쇼군街로부터 特別히 認定된 榮譽(이마가와 家門은 쇼군 家門인 아시카가 家門의 一問)이기 때문이다.
  • 어릴 적부터 不問에 入籍했기 때문에 武藝를 갈고 닦지 못해서, 舞踊이 優秀하지 못하다는 浪說이 있었고, 그 때문에 乘馬를 할 수 없었다는 課長이 생긴 것 같다.
  • 舞踊이 優秀하지 못했다라는 根據 또한 어린시절 不問에 入寂한 적이 있었다는 理由로 생겨난 至極히 主觀的인 推測에 가까운 浪說에 不過하다. 晩年에는 좀 살이 쪘지만 그래도 武藝를 게을리하지 않았으며 남들 셋이 같이 들어야 되는 무거운 칼('노다치'로 推測됨)을 휘두르던, 토카이度 最高의 無事라는 評을 받던 人物이었다. 單, 武裝으로서 個人의 舞踊科 戰鬪 指揮能力은 別個의 能力이며, 센고쿠 다이묘로서의 요시모토를 平價切下할 수는 없다.
  • 구게 (公家) 文化에 精通하고, 교토 에서 逐出된 舊게들을 保護했다. 그러나. [齒牙를 검게 漆하고, 오키마유(置眉)와 옅게 化粧을 한다.]라는 이야기는 後世에 만들어졌다는 說도 있다. 萬若 이것이 事實이었다 하더라도 그것은 高貴한 家門이라는 意味가 된다. 軟弱함의 象徵이 될 수 없다. 오히려 여러 番에 結親 軍事 行動이 家臣과 英敏들을 疲弊하게 만들었고, 死後 이마가瓦家가 急速度로 衰退하는 原因中 하나라는 指摘도 있다.
  • 요시모토는 政治, 軍事에 卓越한 센고쿠 다이묘였지만, 얄궂게도 [오케下雌馬에서 오다 노부나가 에게 敗한 敵將]이라고 더 잘 알려져 있다.
  • 1553年 이마가와 가나 目錄 (今川?名目?)인 分國法을 財政하고, 더욱이 商業保護와 流通統制, 料理誤야요리코제도(寄親寄子制度: 其人制度)에 따른 가신단의 結束 强化를 꾀하는 等, 行政 手腕으로서 特히 優秀했다. 그 後 이 政策은 에도 幕府 를 연 도쿠가와 이에야스 에 依해 踏襲된다.
  • 1560年의 遠征은 상경전(上京戰)이 아니라, 오다 노부나가 討伐, 誤와리 攻略泄道 있다. 當時, 교토 에는 미요시 나가요시 (三好長慶)의 미요시 政權이 絶頂期로 있었기 때문에, 이마가와 家門의 兵力으로는 無理였기 때문이다.

參考 文獻 [ 編輯 ]

  • 小和田哲男 編『今川義元のすべて』(新人物往?社、1994年) ISBN   978-4-404-02097-0 [ 쪽 番號 必要 ]
  • 小和田哲男『今川義元 自分の力量を以て?の法度を申付く』(ミネルヴァ書房日本評?選、2004年) ISBN   978-4-623-04114-5 [ 쪽 番號 必要 ]
前任
이마가와 우지테루
第11代 이마가와 家門 宗家 堂主
1536年 ~ 1560年
後任
이마가와 우지자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