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윤탕로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윤탕로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윤탕로 (尹湯老, 1466年 (世祖 12年) ~ 1508年 (中宗 3年) 6月 5日 )는 朝鮮 中期의 武臣이자 外戚, 軍人이다. 本貫은 坡平 (坡平)으로 字(字)는 上京(商卿), 號는 나헌(懶軒), 諡號는 영평(靈平)이다. 윤상로 (尹湯老)로도 부른다. 府院君 右議政 윤호 (尹壕)의 아들이자 정현왕후 (貞顯王后)의 오빠이자 中宗 의 外三寸이고, 宰相 윤필상 의 6寸 동생이며, 世宗 의 庶女 정현翁主 의 駙馬인 윤사로 의 6寸 동생이다. 윤필상 윤사로 는 各各 그의 從曾祖父 윤희제의 아들 中 尹은, 윤경의 아들들이 된다. 연산군 의 採靑使(採靑使)의 한 사람으로 活動했다.

淫書 돈녕부 奉仕가 되었다가 1486年 (成宗 17年) 武科 에 壯元으로 及第, 訓鍊院 僉正과 否定을 거쳐 1494年 (燕山君 卽位) 訓鍊院 否定 (副正) 在職 中 成宗 國喪 中에 妓生집에 出入하다 發覺되어 罷職, 部處되었으나 풀려났다. 1498年 (燕山君 4年) 右翊衛(右翊衛)가 되고, 1505年 (燕山君 11年) 特別昇進하여 共助 參議 (工曹參議)가 되었다. 1505年 (燕山君 11年) 採靑使 (採靑使)로 地方에 내려갔다가 이듬해 9月 中宗反正 이 發生했다. 그는 中宗反正 에 參與하지 못했지만 外조카 中宗 의 配慮로 反正 病蟲分의 靖國功臣 3等(秉忠奮義靖國功臣三等)에 錄勳되고 播遷軍(坡川君)에 封해졌다. 그러나 死後 1519年 (中宗 14年) 11月 조광조 , 金淨 等의 僞勳削除 大賞에 選定되었다.

本人 또한 世宗大王 의 庶子 밀성군 이침 의 孫女이자 雲山郡 二界 의 딸과 結婚하였다. 1507年 (中宗 2年) 禁府 堂上 在職 中 理科(李顆)의 獄事 事件을 다스리는데 參與한 功으로 다시 秋성보사優勢定難功臣 1等(推誠保社祐世定難功臣一等)에 播遷軍(坡川君)에 封해졌으며, 1508年 (中宗 3年) 판 中樞府 四가 되고 輔國崇祿大夫에 加資되어 播遷府院君(坡川府院君)에 進奉했으나 그해 病으로 死亡하였다.

生涯 [ 編輯 ]

生涯 初盤 [ 編輯 ]

1466年 (世祖 12)에 태어났으며 本貫은 坡平 (坡平)이다. 小井공 윤곤 의 曾孫으로, 할아버지는 府使 增 領議政 윤삼산(尹三山)이고, 아버지는 영돈녕府使와 右議政 윤호(尹壕)이며, 어머니는 哮喘腐繩과 承旨 를 지내고 增 右議政 에 追贈된 전좌명(田佐命)의 딸 沿岸夫婦인 潭陽全氏 이다. 成宗 의 第3繼妃인 정현왕후 (貞顯王后)의 오빠이다.

그의 아버지 윤호와 비슷한 年輩인 윤사로 , 윤필상 과는 40年 가까이 나이差異가 나지만 그와 같은 行列이었다. 그밖에 高祖父 윤승순의 동생 윤승례의 아들로, 曾祖父 윤곤의 四寸동생인 訂正公 輪番 世祖 의 丈人이자 정희왕후 의 아버지였다. 정희왕후 는 祖父 윤삼산의 6寸으로, 그에게 三從大故모뻘이 된다. 大尹과 少尹은 輪番 의 아들로 윤탕로에게 再從曾祖父가 되는 윤사흔과 윤사분의 後孫이므로 그에게 먼 親戚이 된다. 者는 上京(商卿), 號는 나헌(懶軒)이다.

1483年 (成宗 14年) 음보 돈녕부 奉仕 (敦寧府奉事)가 되었다가 그해 정희왕후 의 國喪에 參與하였다. 그해 6月 國喪에 參與한 官員들을 褒賞할 때, 賞을 받고 1階級 昇進하였다. 1486年 (成宗 17年) 武科 (武科)에 壯元으로 及第, 그는 그해의 武科 初試와 覆試에 모두 壯元으로 及第하여 宣傳官 이 되었다. 그해 武科에 壯元으로 及第하였으므로 甲과, 乙과 及第者 7人과 함께 調整에 請하여 重視(重試)에 凝視할 것을 請하여 許諾받았으나, 한명회 議政府 堂上官(堂上官)들의 反對로 取消되었다.

官僚 生活 [ 編輯 ]

以後 佐郞 , 判官 等을 거쳐 1488年 (成宗 19年) 成宗 先農 (先農)에서 祭祀를 올릴 때 알자(謁者)로 參與하여, 先農祭에 參與한 官員들을 褒賞할 때 1階級 特進하였다. 科擧 及第 4年만에 弓馬 (弓馬)에 能熟하고 無財(武才)가 있다 하여 王의 特命으로 一躍 4品에 拔擢되어 忠勳府 經歷(忠勳府經歷)李 되었다. 그러나 1490年 1月 地方官을 歷任하지 않았는데 4품으로 昇進하였다 하여 정언 이수공(李守恭)의 論斥을 받기도 했다. 그는 佐郞, 判官, 經歷, 否定 在職 時 兼 五衛都摠府 內乘(內乘)職을 兼職하였다. 1490年 (成宗 21年) 8月 議政府 堂上이 將帥로 推薦한 27名을 次期 將帥로 選定할 때 한 사람으로 薦擧되었다. 以後 1490年 8月 부터 成宗 平安北道 咸鏡北道 女眞族 을 討伐하러 北鄭君을 編成하여 許從(許琮), 이계동(李季仝)을 都元帥와 副元帥로 任命해 보냈지만, 그는 特別 配慮로 北征軍에 差出되지 않았다.

1493年 (成宗 24年) 그의 昇進이 빠르다는 理由로 대간 에서 여러番 上疏를 올렸지만 成宗 이 이를 듣지 않았다. 1493年 (成宗 24年) 折衝將軍 (折衝將軍)으로 昇進, 堂上官에 올라 昇進이 빠르다며 여러番 論斥당했지만 成宗이 이를 듣지 않았다. 1493年 (成宗 24年) 6月 30日 에는 어머니 연안부夫人 全氏 가 上言을 올려 '아들인 訓鍊 否定(訓鍊副正) 윤탕로(尹湯老)는 信女(臣女)의 部處(夫妻)가 모두 輦路(年老)하다고 하여 外方에서 敍用夏至 말도록 命하였는데, 이제 守令(守令)을 지내지 않았다 하여 사(仕)를 더하여 줄 수 없다고 하니, 信女의 生前에는 아마도 品階가 오를 수 없을 듯합니다.'라고 上言하여, 成宗이 特命으로 社(仕, 勤務 日數)를 더 認定해주기도 했다. 그해 7月 弘文館 副提學(弘文館副提學) 金深(金諶)李 벼슬한지 얼마 안됐는데 3品까지 올랐다며 糾彈하였지만 成宗이 듣지 않았다. 그 해 左贊成 이철견(李鐵堅) 等이 閑散(韓山)·林泉(林川) 等地의 城 터를 알아보러 떠날 때 그의 집 奴婢들이 이철견 等을 遂行하는 議政府 死因들을 辱하고 비웃었다가 問題가 되기도 하였다. 그는 謝過하지 않았고 司諫院 은 그의 집 奴婢가 議政府 死因들을 비웃었으므로 그를 彈劾하였다. 그는 兄 윤은로 (尹殷老)와 함께 特惠를 받거나 權勢를 부리다가 여러番 兩社의 攻擊을 여러 番 받고, 士類로부터도 排斥받았다.

以後 訓鍊院 添丁 (訓練院僉正)李 되고, 1494年 (成宗 25年) 6月 慶尙道 漸摩(慶尙道點馬)가 되었다.

연산군 時節 [ 編輯 ]

1494年 (燕山君 卽位) 訓鍊院 否定(副正)으로 在職 中 成宗 國喪 中에 妓生집에 出入하다가 이 事實이 司憲府 에 發覺되어 司憲府地平 김진석(金晉錫)의 彈劾을 罷職, 部處되었다가 아버지의 病으로 釋放되었다. 司憲府地平 김진석은 그가 이때 妓生을 하나 숨겨놓고 내놓지 않는 點도 彈劾하였다. 이 일로 여러番 論啓, 論斥을 받았지만 연산군 은 모두 듣지 않았고, 그해 6月 28日 윤탕로의 罪를 特別히 赦免瑕疵 論難이 되어, 그해 12月 까지 臺諫이 여러番 그를 攻擊하였다. 뒤에 綠眼(錄案)이 되지 않았다는 理由로 復職, 1496年 (燕山君 2年)에도 여러番 兩司에서 그를 彈劾했지만 연산군 이 이를 듣지 않았다. 1498年 (燕山君 4年) 職牒을 돌려받고 敍用되었다. 그 해 世子翊衛司(世子翊衛司)의 右翊衛를 거쳐 共助 參議 에 特別 昇進하였다. 以後 採靑使 (採靑使)의 한 사람이 되어 연산군 의 放蕩한 行動의 實行에 加擔했다. 그는 採靑使 의 한 사람이 되어 採紅使 임숭재 等과 朝鮮 全國에 派遣되었다.

廢妃 尹氏 四史 事件 關聯者들이 연산군 의 憤怒에 犧牲되었고, 6寸 兄 윤필상 甲子士禍 에 加擔했지만 戊午士禍 로 流配되었다가 配所에서 죽었다. 정현왕후 를 親어머니로 여겼다가 뒤에 임사홍 等에 依해 眞實이 알려지면서 연산군 의 憤怒는 極에 達했다. 그러나 그는 아무런 不利益이나 危害를 받지 않았다. 1503年 에도 成宗의 國喪 時 妓生집에 出入한 일을 두고 여러番 臺諫에서 論啓하였지만 燕山君이 이를 듣지 않았다. 1504年 (燕山君 10年) 敦寧府 (敦寧府)에 除授되었다. 그러나 그가 成宗의 國喪 때 妓生집에 出入한 일로 隨時로 兩社의 攻擊을 받았다.

生涯 後半 [ 編輯 ]

1505年 共助 參議 에 任命되었고, 두달 뒤 嘉善大夫 로 昇進하였다. 그 해에도 採靑使 의 한 사람으로 심광보(沈光輔) 等과 함께 朝鮮 八道의 各 地方에 派遣되었다. 1506年 刑曹 參判 (刑曹參判)에 除授되었다. 刑曹參判으로 採靑使 가 되느라 慶尙道 에 派遣되어 있어 中宗反正 에 參與하지 못했다.

1506年 (燕山君 15年) 9月 種種反正 直後 멀리 있어 反正에는 不參하였으나 다시 刑曹 參判 에 特別 祭需되고, 中宗 의 外三寸으로서 自身이 盡誠대군 時節 潛邸(潛邸) 때에 輔弼한 ㄱ공이 있다는 中宗 의 指示로, 박원종 , 유자광 , 神俊, 구수영 , 金勘 , 정미수 , 유순정 , 성희안 等이 贊成하면서 功臣으로 選定된다. 1506年 (中宗 1年) 9月 17日 臺諫(臺諫)의 거센 反對에도 不拘하고 特別히 病蟲分의 靖國功臣 3等(秉忠奮義靖國功臣三等)에 追錄되고 播遷軍(坡川君)에 封해졌다. 그는 연산군 當時 採靑使 의 일을 맡았지만, 임사홍 과 달리 中宗의 外三寸이라는 理由로 不利益을 받지 않았다. 이듬해 김공저(金公著)의 謀逆 事件에 그의 이름이 言及되었으나 調査받지 않았다.

1507年 (中宗 2年) 工曹判書 로 昇進하였다. 그 해 禁府 堂上(禁府堂上)으로 在職 中 理科(李顆)의 獄事를 다스리는 데 秋官으로 參與한 功으로 秋성보사優勢 定難功臣 1等(推誠保社祐世定難功臣一等)에 冊錄되어 播遷軍(坡川君)에 封해졌으며 崇政大夫 로 昇進, 崇政大夫 行 工曹判書 義禁府 判事에 任命되었으나, 大簡의 排斥으로 中樞府判事(中樞府判事)로 轉職되었다. 勳戚(勳戚)으로서 跋扈한데다가 成宗 때부터 成宗 , 연산군 , 中宗 의 거듭된 庇護로 罪를 謀免하여 士林派 의 미움을 많이 받았다.

그는 士林派 의 미움을 받아 이들과 葛藤했지만 아들 尹軫을 小銃 홍유손 (篠叢 洪裕孫)에게 보내 그에게서 글과 性理學 을 배우게 했다. 著書로는 아버지와 共著인 文集 《播遷집(坡川集)》이 있다. 1508年 (中宗 3年) 加資되어 府院君으로 진봉, 播遷府院君이 되고, 最終 官職은 輔國崇祿大夫 中樞府 判事(中樞府判使)에 이르렀다. 1508年 6月 5日 病으로 死亡했다.

事後 [ 編輯 ]

屍身은 京畿道 安城郡 北쪽 용두산 酉坐卯向(現, 安城郡 寶蓋面 북좌리 산 13番地)에 安葬되었다. 영평(靈平)의 諡號가 追敍되었다. 墓碑文은 누가 지었는지 알 수 없고 뒤에 人組 때인 1626年 (仁祖 4年) 5月 다시 세워졌다. 1519年 (中宗 13年) 10月 조광조 , 金淨 等의 靖國功臣 偉勳 削除 建議에 依해 그해 11月 11日 中宗의 勅命으로 僞勳削除 對象者 76名의 偉勳 削除 때 削除되었다. 조광조 一派가 沒落한 後 功臣에 復權되었다.

그의 孫子 中 한名인 尹유후 는 그의 집안에 傳해지던 성삼문 의 文集 성근保有高를 整理, 刊行하여 성삼문 의 文集을 世上에 처음으로 내놓았다.

墓所 앞에 백비가 있으며 元來의 碑石은 알 수 없고 後代에 세워진 碑石이다. 1626年 (仁祖 3年) 5月 에 다시 세운 碑石이 있으며, 碑文의 글을 지은이와 作成者는 傳해지지 않는다.

家族 關係 [ 編輯 ]

같이 보기 [ 編輯 ]

參考 文獻 [ 編輯 ]

  • 成宗實錄
  • 燕山君日記
  • 中宗實錄

各州 [ 編輯 ]

  1. 豪飮遺稿 第7卷, 有明朝鮮國通政大夫敦寧府都正尹公墓碣銘 幷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