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柔軟 (나라)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柔軟 (나라)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柔軟
柔然.

330年 ~ 555年
 

 

 

500년경 유연의 강역.
500年頃 유연의 疆域.
수도 不明
政治
政治體制 君主制
立法府 쿠릴타이
宗敎
宗敎 텡그리校

柔軟 ( 中國語 : 柔然 , 병음 : Rouran )은 4世紀 末부터 6世紀 말까지 東아시아 北쪽의 넓은 地域을 統治하던 튀르크-몽골 國家로 推定된다. 言語學的으로는 몇몇 튀르크어가 記錄으로 보이나 그 外 記錄이 매우 적어 正確한 實相은 알 수 없다. 5世紀부터 6世紀에 걸쳐 存在하던 國家의 이름을 漢字로 遮音(借音)한 것이다. 戀戀(??), 茹茹(茹茹), 예예(芮芮) 等으로도 表記된다. 몽골 高原부터 천산산맥 近處의 鐵勒 (카자흐族, 키르기스族)까지 影響力이 닿았다. 以後 튀르크 國家에 依해 滅亡하였다.

유연의 殘滓는 타타르 로 이어졌고, [1] [2] 다른 이들은 西쪽으로 移住하여 6世紀에 판노니아 (현대 헝가리 中心)에 定着한 아바르族 (바르코니트族 또는 類似아바르族 等의 이름으로 알려짐)을 形成한 것으로 推定된다. [3] 이 아바르族들은 斛튀르크族 에 依해 東로마 帝國 으로 쫓겨들어갔으며, 이들은 아바르族을 奴隸 또는 俸粟 民族이라고 부르며 桐로마인들에게 그들을 追放할 것을 要求했다. 이러한 柔軟-아바르族의 關係는 如前히 論難의 餘地가 있는 理論으로 남아 있지만, 最近 DNA 硏究에 따르면 아바르族의 遺傳的 起源은 몽골 平原에서 祈願한 것으로 確認되었다. [4] 다른 理論들은 代身 아바르族의 起源을 禹아르族과 같은 民族과 連結시킨다.

名稱 [ 編輯 ]

柔軟은 『魏書(魏書)』엔 劉裕(??), 『宋書(宋書)』, 『南齊書(南齊書)』, 『梁書(梁書)』에는 예예(芮芮), 『北齊書(北齊書)』, 『周書(周書)』, 『水西(隋書)』에는 呂여(茹茹), 『陳書(晉書)』에는 劉裕(??)라고 表記되어 있다. 또한 『宋書』에는 대단(大檀), 단단(檀檀, 大檀可汗의 이름)으로 表記되어 있다. 錢大昕 (錢大昕)은 이름이 다른 것은 音譯할 때 使用한 글字가 달랐기 때문이라고 보았다. [5]

유연의 時調 목골려 (木骨閭)의 아들 거록회 (車鹿會)는 部落을 이끌면서 自身을 “柔然”이라고 稱하였으며, 이것이 不足 名稱이 되었다. 柔軟 名稱의 來歷에는 여러 主張이 있다. 一部 學者는 몽골語 “сэцэн”(Tsetsen 或은 Ssetsen, 賢明하다, 총명하다는 뜻) [6] 에서 나왔다고 하며, 一部는 몽골語 “цааз”(ju'sun, 禮義, 法則이라는 뜻)에서 나왔다고 한다. [7] 또한 一部는 알타이語 로 ‘異國人’ 或은 ‘쑥’이라는 單語에서 나왔다고 한다. [8]

中國學者 風加升(馮家升)은 大檀과 檀檀은 人命이라고 보았다. 그는 雲崗石窟 (雲岡石窟) ‘餘女祖上提起(茹茹造像題記)’에 “貸與餘國(大茹茹國)”이라는 글字를 두고 茹茹가 바로 國名이며, 『北齊書』 以後 司書들이 모두 “茹茹”라고 한 것도 茹茹가 北緯 以後 餘女人(茹茹人)들이 스스로 選擇한 名稱이었기 때문이라고 본다. [9] 그러나 株爲主(周偉洲)는 北緯 後記 柔軟은 侮辱的인 呼稱인 劉裕(??)를 안 쓰기 위하여 音이 같은 “茹茹”로 自己 이름을 삼았다고 한다. [10]

駐乾期(周建奇)는 “柔然”李 戀戀山(燕然山, 몽골의 항가이山 )과 關聯있다고 본다. 卽 항가이산이 몽골語로 Хангай Нуруу(Н)라고 하는데 이中 ‘山脈’을 뜻하는 Нуруу(Н)에 對應하는 音이 “柔然”이라는 것이다. 中古몽골語에는 Нуруу(Н)李 niri'un~niru'un에 該當하는데, 發音이 “柔然”, “??”, “??” 等과 가깝다. 燕然은 匈奴人이 지은 이름이나 柔然은 유연인(柔然人)이 直接 지은 이름이며 山의 이름을 따 族名(族名)을 지은 것이지만 또한 “義를 取하고 號를 좋아하다(取義嘉好)”는 뜻이다. [11]

歷史 [ 編輯 ]

柔軟(柔然)은 書記 5~6世紀에 北方에 存在했던 遊牧 民族 國家로 유연의 時調는 목골려(木骨閭)로 불려 그 王族은 욱句麗氏(郁久閭氏)라고 불렀다. 3世紀 頃에는 선비 國家에 存在했던 것으로 推定되지만 모용선비가 華北 地域으로 移動하여 華北을 征服한 以後, 柔軟은 東北아시아에서 勢力을 擴大해, 5世紀 初 四輪 (社崙)의 時代에 高次 (高車)를 服屬시켜 타림盆地 一帶를 支配하면서, 선비족의 北緯 와 對立했다. 또 사륜은 '可汗(可汗)'의 稱號를 使用했다. 사륜은 북위의 軍隊에 敗走하던 途中에 死亡했다.

北緯와의 對立이 깊어진 柔軟은 高句麗 와 同盟을 하여 北緯를 包圍網에 넣었다. 하나라, 北凉은 北魏에 依해 滅亡당하지만, 柔軟은 勢力을 繼續 維持하여 北魏를 攻擊하였다.

北魏는 429年 , 449年 等 7次例에 걸쳐 柔軟을 攻擊했다. 北魏는 여러 次例 勝利를 거뒀지만, 柔軟은 强한 勢力을 繼續 維持하였고 北緯度 南朝의 牽制 때문에 유연과 繼續 戰爭할 수는 없었다.

全盛期 [ 編輯 ]

全盛期 때에는 고비沙漠 南北으로 勢力이 擴張되었으며, 北쪽으로는 바이칼호 沿岸과 셀렝가강 (Selengga)에 이르렀으며, 南쪽으로는 陰山山脈 (陰山山脈) 北쪽 기슭에 이르렀고, 東北쪽으로는 대흥안령 (大興安嶺)에 이르러 지斗牛 (地豆于, 오늘날 內蒙古自治區 時린고로맹錫林郭勒盟 서우주무친기西烏珠穆沁旗 및 桶료視通遼市 一帶)와 隣接하였고, 東南쪽으로는 시라무렌江 鼓膜海 (庫莫奚)와 거란 (契丹)과 이웃하였으며, 西쪽으로는 멀리 準가르盆地 이리江 流域, 발하슈湖 에 이르렀고, 타림盆地 에 들어가서 오손 (烏孫) 等 천산남로 (天山南路) 國家들을 服屬시켰다. 투蔚江 (Tuul River) 一帶에서 鐵勒 (鐵勒)을 擊破하였다.

유연의 宗敎는 元來 샤머니즘이었으나 以後에 佛敎로 바뀌었고, 北緯 農書(?西) 僧侶 法愛 (法愛)가 유연의 局社(國師)를 하기도 했다. [12] 柔軟 韓國은 일찍이 東쪽 北燕 (北燕)과 西쪽 後進 (後秦)과 和親하였고, 말을 膳物로 보냈으며 吐谷渾 (吐谷渾)과 익주(益州)를 지나 南朝의 宋(宋), 第(齊), 量(梁)과 通好하였다. 目的은 北緯를 牽制하여 南進하려는 것이었다. 柔軟은 여름에 흩어져서 牧畜을 하였고 가을에는 말이 살이 쪄서 추위를 등지고 따뜻한 곳으로 가고자 北緯 領內로 들어가서는 食糧과 物資를 奪取하였다.

선비인 拓跋部가 세운 北魏는 柔軟을 몇 次例 征伐한 적이 있었다. 北緯 道武帝 (道武帝) 拓跋珪(拓跋珪), 名원제 (明元帝) 托鉢社(拓跋嗣), 太武帝 托鉢도, 헌問題 (獻文帝) 托鉢洪(拓跋弘) 모두 柔軟 모한흘승개가한 (牟汗紇升蓋可汗)을 擊破하였고, 고비 以南 勢力을 몰아내었으며, 유연의 낮은 知力은 淵衷(?蟲) 같다고 하여 '??'이라고 낮춰 부를 것을 指示하였다.(족명은 元來 뱀이란 뜻이 있었음)

衰退期 [ 編輯 ]

유연의 勢力이 本格的으로 弱化된 것은 485年, 486年에 支配下에 있던 高次 (高車)가 獨立한 以後이다. 高次의 叛亂은 收拾하였지만 튀르크가 强盛해져서 552年 突厥(突厥) 或은 튀르크의 이리加한 (伊利可汗) 餓死나토門 (阿史那土門)과의 戰鬪에서 敗北함으로써 유연의 아나怪 (阿那壞)가 戰死하고 韓國은 崩壞되었다. 柔軟王室은 等숙자 (鄧叔子)가 거느리고 西部 支派 柔軟은 南으로 西魏 (西魏)로 도망갔고, 西魏 太史(太師) 宇文泰 (宇文泰)는 거둬들이지 못하였고, 이 部 3千餘 名을 붙잡아 突厥 獅子에게 모두 건네주어 長安 (長安) 聽聞(靑門) 밖에서 慘殺하였으며, 未成年 男子들은 流配보내어 王公貴族들에게 分配하였다. [13] 東部 支派는 北齊 (北齊)로 逃走하였다.

또한 一部 유연인은 外흥안령 (外興安嶺)과 바이칼호 一帶 mukri(卽 말갈靺鞨)로 逃走하였고, 當時 居住 區域이 러시아 부랴트 共和國 치타州 一帶였으며, 現地 大失位 (大室韋) 民族과 섞였다. 大失爲人은 곧 니룬 (Nirun)과 두룰里킨 (D?rl?kin) 或은 두릴리킨(D?rilikin), 다를레킨(Darlekin)(중국어 迭列斤) 두 部族이 세운 몽골국 黃金氏族의 祖上이었다. 一部 歷史學者들은 中國 東北 地方의 거란도 柔軟에서 起源하였다고 본다.

油田 [ 編輯 ]

유연인(붉은色 點)과 匈奴인(파란색 點)의 遺傳子를 現代人(東아시아人, 유럽人)과 對照한 分析 資料 [14] 유연인은 부랴트人 (Buryat), 오로첸인 (Oroqen), 몽골人 (Mongol)인 等 현대 東아시아人과 가장 가깝다. [15]

리 等은 몽골 케르멘 脫(Khermen Tal)에 묻힌 柔軟 男性의 遺骸를 調査하였다.( Li et al. 2018 ) 그는 父親의 下플로그룹 C2b1a1b 의 運搬體와 母系 下플로그룹 D4b1a2a1 라는 것을 發見하였다. 下플로그룹 C2b1a1b은 선비 (鮮卑)인들 사이에서도 檢出되었다. [16]

一部 遺傳 硏究에서는 初期 판노니아 아바르(Pannonian Avar) 엘리트들이 많은 東아시아 祖上이 많으며, 一部는 이것이 아바르와 유연인 間의 連結에 對한 證據로 提示하였다. [17] 그러나 社벨리예프(Savelyev)와 情(Jeong)의 2020年 硏究( Savelyev & Jeong 2020 )는 如前히 유연인 遺傳子 데이터가 거의 없으며, 이들과 판노니안 아바르와의 關係는 如前히 未決 狀態라고 主張하였다. [18]

言語 [ 編輯 ]

한 見解에 依하면 言語의 關係가 수수께끼이며 孤立된 言語일 것이라고 본다. [19] 알렉산더 보빈 (Alexander Vovin)의 2004年과 2010年 硏究 [20] [21] 에서는 柔軟御駕 現代 어떤 言語와도 關聯이 없는 滅種된 비 알타이 言語(non-Altaic language) 卽 孤立語 (language isolate)이며 따라서 몽골語와는 無關하다고 보았다. 보빈의 2004年 硏究에서는 古代 튀르크語 (Old Turkish)는 柔軟語였을 것으로 보이는 未詳의 非 알타이語에서 몇몇 單語를 借用했다고 主張한다. 2018年 보빈은 不구트 鼻紋 (Bugut inscription)과 퀴이스 톨고이 非명 (Khuis Tolgoi inscription)의 分析을 통하여 새로운 證據가 發見되면서, 柔軟어는 몽골語였으며, 中世몽골語에 가깝지만 一致하진 않는다고 새롭게 主張하였다. [22]

歷代 加한 [ 編輯 ]

  1. 口頭벌가한 욱구려사륜 (丘豆伐可汗 郁久閭社崙) 在位 402年 ~ 410年
  2. 애고개加한 욱구려곡률 (?苦蓋可汗 郁久閭斛律) 在位 410年 ~ 414年
  3. 可汗 욱구려보록진 (可汗 郁久閭步鹿眞) 414年
  4. 모한흘승개가한 욱구려대단 (牟汗紇升蓋可汗 郁久閭大檀) 在位 414年 ~ 429年
  5. 칙련가한 욱구려오제 (?連可汗 郁久閭吳提) 在位 429年 ~ 444年
  6. 처라가한 욱구려토하진 (處羅可汗 郁久閭吐賀眞) 在位 444年 ~ 450年
  7. 水剌不振加한 욱句麗女性 (受羅部眞可汗 郁久閭予成) 在位 450年 ~ 485年
  8. 復古道家한 욱구려두륜 (伏古敦可汗 郁久閭豆崙) 在位 485年 ~ 492年
  9. 後記腹帶고자가한 욱구려나개 (候其伏代庫者可汗 郁久閭那蓋) 在位 492年 ~ 506年
  10. 打閑暇한 욱구려복도 (他汗可汗 郁久閭伏圖) 在位 506年 ~ 508年
  11. 두蘿蔔發頭벌가한 욱구려추노 (豆羅伏跋豆伐可汗 郁久閭醜奴) 在位 508年 ~ 520年
  12. 칙련두병두벌가한 욱구려아나괴 (?連頭兵豆伐可汗 郁久閭阿那?) 在位 520年 ~ 552年
  13. 可汗 욱구려철벌 (可汗 郁久閭鐵伐) 在位 552年 ~ 553年
  14. 可汗 욱구려등주 (可汗 郁久閭登注) 在位 553年
  15. 可汗 욱구려고제 (可汗 郁久閭庫提) 在位 553年
  16. 可汗 욱구려암나진 (可汗 郁久閭菴羅辰) 在位 553年 ~ 554年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Xu Elina-Qian,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Pre-Dynastic Khitan , University of Helsinki, 2005. pp. 179?180
  2. Golden, Peter B. "Some Notes on the Avars and Rouran", in The Steppe Lands and the World beyond Them . Ed. Curta, Maleon. Ia?i (2013). pp. 54?56.
  3. Findley (2005), p. 35.
  4. “Origins of the Avars elucidated with ancient DNA” . 《www.eva.mpg.de》 (英語) . 2022年 4月 5日에 確認함 .  
  5. 錢大昕, 『?二史考異·卷二』
  6. 白鳥庫吉, 『東胡氏族考』下編, p.67-71
  7. ?田?八, 『東西方交涉史之?究』(下編), p.205.
  8. 內田哈風, 『北亞細亞史?究』(下編), p.205.
  9. ?家升. 〈????考〉. 《禹?》 .  
  10. 周?洲 (1983). 〈柔然?〉. 《?勒?柔然》. 上海人民出版社.  
  11. 周建奇 (1998). “柔然族名??”. 《?蒙古大???》 (1).  
  12. 高文德 (1995年12月). 《《中?少?民族史大?典》》. 吉林?育出版社. 第1781?쪽.  
  13. 『北史(北史)』卷098, "突厥?恃兵?,又藉西魏和好,恐其遺類依憑大國,使驛相繼,請盡殺以甘心。周文議許之,遂收縛??主已下三千餘人付突厥使,於?門外斬之。中男以下免,?配王公家。"
  14. Savelyev, Alexander; Jeong, Choongwon (2020). “Early nomads of the Eastern Steppe and their tentative connections in the West” . 《Evolutionary Human Sciences》 2 . doi : 10.1017/ehs.2020.18 .  
  15. Savelyev & Jeong 2020 .
  16. Li et al. 2018 , 1, 8?9쪽.
  17. Neparaczki et al. 2019 , 5?6, 9쪽 . "The Avar group carried predominantly East Eurasian lineages in accordance with their known Inner Asian origin inferred from archaeological and anthropological parallels as well as historical sources. However, the unanticipated prevalence of their Siberian N1a Hg-s, sheds new light on their prehistory. Accepting their presumed Rouran origin would implicate a ruling class with Siberian ancestry in Inner Asia before Turkic take-over. The surprisingly high frequency of N1a1a1a1a3 Hg reveals that ancestors of contemporary eastern Siberians and Buryats could give a considerable part the Rouran and Avar elite..."; Csaky et al. 2020 , 1, 9쪽 . "A recent manuscript described 23 mitogenomes from the 7th?8th century Avar elite group5 and found that 64% of the lineages belong to East Asian haplogroups (C, D, F, M, R, Y and Z) with affinities to ancient and modern Inner Asian populations corroborating their Rouran origin."
  18. Savelyev & Jeong 2020 , 17쪽. "Population genetics in the current state of research is neutral as regards the question of continuity between the Rourans and the Avars. What it is supported is that at least some European Avar individuals were of Eastern Asian ancestry, be it Rouran-related or not."
  19. Crossley, Pamela Kyle (2019). 《Hammer and Anvil: Nomad Rulers at the Forge of the Modern World》. 49쪽.  
  20. Vovin, Alexander 2004. 'Some Thoughts on the Origins of the Old Turkic 12-Year Animal Cycle.' Central Asiatic Journal 48/1: 118?32.
  21. Vovin, Alexander. 2010. Once Again on the Ruan-ruan Language. Otuken’den ?stanbul’a Turkcenin 1290 Yılı (720?2010) Sempozyumu From Otuken to Istanbul, 1290 Years of Turkish (720?2010). 3?5 Aralık 2010, ?stanbul / 3?5 December 2010, ?stanbul: 1?10.
  22. Vovin, Alexander (2019). “A Sketch of the Earliest Mongolic Language: the Br?hm? Bugut and Khuis Tolgoi Inscriptions” . 《International Journal of Eurasian Linguistics》 (英語) 1 (1): 162?197. doi : 10.1163/25898833-12340008 . ISSN   2589-8825 . S2CID   1988335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