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싱카語族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싱카語族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싱카語族
地理的 分布 과테말라
系統的 分類 世界의 主要 魚族 中 하나
下位 分類
글로톨路그 xinc1237 [1]
싱카語族 言語의 分布. 津한 파랑은 使用이 記錄된 地域, 透明한 파랑은 指名에 싱카語族의 痕跡이 남은 地域을 나타낸다.

싱카語族 ( 英語 : Xincan languages )은 메소아메리카 原住民인 싱카族 의 言語들로 이루어진 작은 魚族 이다. 오늘날에는 모두 死滅 했다. 한때 싱카語族 言語들은 오늘날의 과테말라 東南部, 엘살바도르 大部分 地域, 온두라스 一部 地域에서 쓰였다.

分類 [ 編輯 ]

싱카語族과 다른 語族의 關係는 立證된 바가 없다. Lehmann (1920)은 싱카語族과 렝카語族 을 聯關지으려 했지만 이를 立證하지는 못했다. [2] 싱카語族은 한때 單一한 孤立語 로 여겨졌지만 最近의 硏究에 依하면 여러 言語로 이루어진 語族이었다고 생각된다.

싱카語族에는 적어도 4個 言語가 屬했던 것으로 보인다. 現在는 모두 死語 가 되었다. [2] 有필테페케어는 후티아파주 에서 使用되었고, 나머지 3個 言語는 산타로사週 에서 쓰였다.

여기에 글로톨路그 는 다음을 덧붙인다.

Sachse (2010)는 오늘날 남아 있는 싱카語族 話者는 모두 斷片的인 知識만을 지녔고 流暢한 話者들은 모두 死亡했다고 본다.

歷史 [ 編輯 ]

싱카語族은 特히 農耕에 關聯된 單語 가운데 마야語族 에서 借用한 單語가 많다. 이는 마야人 과의 폭넓은 接觸을 示唆한다. [4]

16世紀에 싱카족의 領土는 太平洋 沿岸에서 할라파週 의 山地까지 뻗어 있었다. 1524年에 싱카족은 스페인 帝國 에게 정복당했다. 수많은 사람이 奴隸가 되어 오늘날의 엘살바도르 地域 征服 事業에 動員되었다. 산타로사週 쿠日라파 地域의 마을, 江, 다리의 이름인 로스에스클라보스( 스페인語 : Los Esclavos , ‘奴隸들’이라는 뜻)는 여기서 비롯한 것이다.

1575年 以後 싱카족의 文化 絶滅은 한層 加速化되었다. 이는 主로 싱카족이 强制로 다른 地域으로 移動되었기 때문이다. 이로 因해 싱카어 話者의 數 또한 減少했다. 싱카어에 關한 가장 오래된 記錄 中 하나는 1769年에 페드로 코르테스 이 라라스 大主敎가 他시스코 敎區 訪問 中에 남긴 것이다.

現在 [ 編輯 ]

最近까지 싱카어는 과테말라 산타로사週 후티아파주 의 7個 都市와 1個 마을에서 쓰였다. 1991年에 報告된 바로는 25名의 話者만이 남아 있었으며, 2006年版 《言語·言語學 百科事典》(Encyclopedia of Language and Linguistics)에 따르면 話者 數는 10名 以下였다. [5] 그러나 2002年 과테말라 人口調査에 參與한 16,214名의 싱카인 가운데 [6] 1,283名은 싱카語를 할 줄 안다고 應答했다. 이들은 싱카語를 流暢하게 하지 못하는 준(準)화자이거나 싱카어 單語와 文句를 몇 個 아는 사람들이었을 것이다. [7] 2010年에는 完全히 流暢한 話者들은 모두 死亡했으며, 部分的으로 驅使하는 사람들만이 남아 있었다.

分布 [ 編輯 ]

한때 싱카語族은 더 넓은 地域에서 使用되었다. 이는 싱카어에서 由來한 다양한 地名을 통해 斟酌할 수 있다. 이러한 地名들의 特徵으로는 場所를 나타내는 接頭辭인 ay- “~議 場所”(예: Ayampuc, Ayarza), al- “~議 場所”(예: Alzatate), san- “~ 안”(예: Sansare, Sansur) 또는 接尾辭 -(a)gua 및 -hua “마을, 居住地” (예: Pasasagua, Jagua, Anchagua, Xagua, Eraxagua) 等이 있다.

Kaufman (1970:66)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마을에서 한때 싱카어가 使用되었다. [8]

Sachse (2010)는 植民 支配期의 資料를 引用하여 산타로사週 후티아파주 의 다음과 같은 마을에 스페인 植民 支配機 동안 싱카어 話者들이 살았다고 하였다.

音韻論 [ 編輯 ]

싱카語族 言語들은 音韻論的으로 若干의 差異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는 오늘날 남아 있는 두 言語의 준(準)화자들로부터 觀察한 音韻論에 差異가 있다는 點에서 알 수 있다. [9]

母音 [ 編輯 ]

學者들은 싱카語族 言語들에 6個의 母音이 있었다는 데 大體로 同意한다. [9]

傳說 中說 후설
高母音 i ? u
中古母音 e o
低母音 a

子音 [ 編輯 ]

싱카語族 言語들에 正確히 어떤 子音이 있었는지는 모른다. 다음 表는 最後의 준(準)화자들이 發火에 使用한 소리를 나타낸 것이다. [9]

兩脣音 齒莖音 後齒莖音 軟口蓋音 聲門音
基本 放出 基本 放出 설측 基本 放出
破裂音 p p? t t? k k? ?
摩擦音 s ? ? h
破擦音 t?s? t??
비음 m n
接近音 l ?
顫動音 r

보다 젊은 이들은 스페인語 의 影響을 더욱 크게 받아 /b, d, g, f, ŋ, ?/도 音素로 使用하였다. [9]

各州 [ 編輯 ]

  1. Hammarstrom, Harald; Forkel, Robert; Haspelmath, Martin; Bank, Sebastian, 編輯. (2023). 〈Xincan〉 . 《 Glottolog 4.8 》. Jena, Germany: Max Planck Institute for the Science of Human History.  
  2. Lyle Campbell, 1997. American Indian Languages: The Historical Linguistics of Native America
  3. Hammarstrom, Harald; Forkel, Robert; Haspelmath, Martin; Bank, Sebastian, 編輯. (2023). 〈Sinacantan〉 . 《 Glottolog 4.8 》. Jena, Germany: Max Planck Institute for the Science of Human History.  
  4. Mayan Loan Words in Xinca
  5. Xinca (2005). Keith Brown, 編輯. 《Encyclopedia of Language and Linguistics》 2板. Elsevier. ISBN   0-08-044299-4 .  
  6. “XI Censo Nacional de Poblacion y VI de Habitacion (Censo 2002) ? Pertenencia de grupo etnico” . Instituto Nacional de Estadistica. 2002. 2011年 2月 22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09年 12月 22日에 確認함 .  
  7. “XI Censo Nacional de Poblacion y VI de Habitacion (Censo 2002) ? Idioma o lengua en que aprendio a hablar” . Instituto Nacional de Estadistica. 2002. 2009年 12月 3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09年 12月 22日에 確認함 .  
  8. Kaufman, Terrence. 1970. Proyecto de alfabetos y ortografias para escribir las lenguas mayances . Antigua: Editorial Jose de Pineda Ibarra.
  9. Frauke, Sachse; Letteren, Faculteit der. “Reconstructive description of eighteenth-century Xinka grammar” . 《openaccess.leidenuniv.nl》 (英語) . 2018年 6月 22日에 確認함 .  

參考 文獻 [ 編輯 ]

  • Campbell, Lyle (1997). American Indian languages: The historical linguistics of Native America .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0-19-509427-1 .
  • Sachse, Frauke (2010). Reconstructive description of eighteenth-century Xinka grammar . Utrecht: Netherlands Graduate School of Linguistics. ISBN   9789460930294 .
  • Rogers, Chris Rogers. (2016) The Use and Development of the Xinkan Languages . University of Texas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