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아 學派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스토아 哲學 에서 넘어옴)

스토아 學派 ( Stoicism )는 그리스 로마 哲學의 한 流派이다. 紀元前 313年 키프로스 出身의 제논 아테네 로 건너와 創始했다. 스토아 ( στο? )란 本來 建物 앞面은 기둥으로, 뒷面은 壁으로 이루어진 古代 그리스 의 公共 建築物을 뜻하는 말이다. 제논이 아테네에서 講演한 場所인 柱廊(柱廊, stoa)이었던 것에서 그 이름이 由來했다. [1]

歷史 [ 編輯 ]

키티온의 제논 .

스토아 學派는 紀元前 3世紀 를 고(古) 스토아 時期( 제논 , 클레안테스 , 크리시포스 ), 紀元前 2 ~ 1世紀 를 中企 스토아 時期( 파나이티오스 , 포세이道니오스 ), 1 ~ 2世紀 를 後記 스토아 時期( 세네카 , 에픽테토스 ,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로 總 3個의 時期로 區分한다.

高스토아 學派는 아테네 를 中心으로 展開되었으나, 中期 以後는 主로 로마 로 活動 舞臺를 옮겼다. 또 파나이티오스 를 除外하면 이 學派 學者들은 純粹 그리스人 이 거의 없고, 大部分 小아시아 의 新興 貿易 都市 出身 셈系 (系) 사람들이었다. 그들의 出身 階層과 職業도 商人의 自制, 苦學生, 奴隸, 皇帝 等 다양했다.

제논 等 初期 그리스의 스토아주의 著作은 거의 남아 있지 않다. 그들의 思想은 거의 後記 스토아 哲學者인 키케로, 세네카, 에픽테토스,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等의 著作에서 再構成한 것이다. [1]

史上 [ 編輯 ]

스토아는 하나의 核을 中心으로 形成·繼承되어 固定된 思想 體系는 아니다. 사람에 따라, 또 時代에 따라 그 思想에 相當한 差異가 있고 內容도 多樣하다.

스토아 學派는 學問을 自然學, 論理學, 倫理學의 세 가지로 分類한다. 그러나 이 세 學問은 獨立的으로 存在하는 것이 아니라 論理學을 媒介로 相互 連結되어 있다. 時期別로는 後記로 넘어가면서 漸次 自然學보다는 倫理學 쪽에 學者들 關心이 더 쏠리게 되었다.

스토아 學派는 倫理學의 側面에선 主로 키니코스 學派 의 系譜를 쫓고, 自然學 側面에서는 헤라클레이토스 의 影響을 받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全般的으로 여러 가지 要素가 折衷되어 있어 特定 學派와 너무 깊게 관련짓는 것은 妥當하지 않다.

自然學 [ 編輯 ]

스토아 學派는 全體論的 哲學을 展開했다. 좋은 삶을 營爲할 수 있는 方法을 宇宙의 物質的 構造에 對한 見解로부터 이끌어냈다. 自然學과 倫理學을 하나로 統合해서 思考한 것이다. [1]

그들은 이 世界(宇宙)에 存在하는 것은 모두 物體이고, 불과 같이 微細한 物質로 構成되어 있다고 보았다. 甚至於 그들은 神조차도 人間이나 自然과 마찬가지로 物質이라고 생각했다. 그들에 따르면, 世上 萬物은 이 根源으로부터 生成했다 回歸하는 過程을 反復하도록 되어 있다. 마치 꿀이 벌집 속으로 번져나가듯, 物體로서의 神이 宇宙 萬物을 貫徹하여 循環하는 것이 攝理이고, 이는 人間 側面에서 보면 運命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新·自然·運命·攝理는 同義語이다.

스토아 哲學에서는 宇宙가 神이고, 神이 宇宙이다. 宇宙 萬物은 하나의 物質로 이루어져 있고, 相互 密接하게 關聯되어 있다. 다만, 能動的으로 作用하는 것(新)과 受動的으로 作用받는 것(人間, 事物)의 差異가 있을 뿐이다. 人間 認識 作用의 源泉도 感覺(物體로부터 오는 刺戟과 그에 對한 反應)에서 求하고, 人間도 宇宙라는 큰 都市의 市民(코스모폴리티스)이라고 主張한다. 全體論的 觀點, 卽 唯物論 一元論 을 驅使하는 것이다.

스토아 哲學은 宇宙에서 作用하는 根源的 物體(新)을 프네우마(pneuma, 숨, 精神), 卽 天上의 불(불 같은 숨)이라고 했다. 이는 三段 論法으로 構成된다. (1) 숨은 生命에 本質的이다. 죽으면 숨쉬기를 멈추기 때문이다. (2) 숨이 生命의 原理이고, 生命의 根源이 신이라면, 신은 특별한 種類의 生命 原理일 것이다. (3) 불은 天上과 關聯이 있다. 따라서 신은 天上의 불 같은 숨이다. [1]

이러한 主張은 靈魂과 불을 連結하는 헤라클레이토스 哲學과 類似하다. 프네우마는 온 宇宙에서 事物과 뒤섞인다. 따라서 宇宙 萬物에는 神이 內在한다. 이는 一種의 汎神論 으로, 스토아 學派의 出發點인 唯物論 一元論 과 矛盾되는 側面이 있다. 後期로 접어들면서 스토아 哲學은 漸次 이런 唯心論 性向이 짙어진다.

倫理學 [ 編輯 ]

스토아 學派는 이러한 自然學을 倫理學과 連結하려 했다. 좋은 삶이 무엇인지, 어떻게 해야 좋은 삶을 營爲할 수 있는지를 實際로 보여주려고 했다. 全般的으로 이들은 外的 權威나 世俗的인 것을 拒否하고 禁慾과 克己의 態度를 얻으려 했다는 共通點이 있다.

倫理를 重視하는 스토아 學派의 特徵엔 時代的 影響이 스며 있다. 이들은 폴리스 가 아니라 알렉산드로스 王 이 東西洋에 걸쳐 建設한 巨大 帝國이나 로마 帝國에서 살았다. 좁은 都市 國家에서 巨大 帝國은 生活 空間이 擴大된 것이다. 이런 時代에 個人은 生存 根據를 實感이 닿지 않는 抽象的 公論이나 政治的, 社會的 現實보다 自己 意志나 感覺을 통해 얻는 事實에서 찾을 수밖에 없었다.

스토아 學派에 따르면, 신은 異性 敵(logos)이다. 理性은 人間이 念願할 수 있는 最高의 能力이기 때문이다. 神은 宇宙 어디에나 存在하므로, 宇宙 亦是 理性的이어야 했다. 우리 靈魂에도 神(프네우마)李 깃들어 있다. 따라서 우리 안에 있는 神的인 힘, 卽 理性을 活用해 우리 靈魂을 最大限 神聖에 가깝게 할 때, 人間은 窮極의 幸福에 이를 수 있다. [1]

하지만 人間은 自己 안에 있는 神聖(프네우마)를 活用하기보다 非理性的 要素들에 휘둘린다. 스토아 學派는 그 原因을 統制力에서 찾는다. 걷는 사람은 自己 意志에 따라 멈출 수도 있고, 方向을 바꿀 수도 있고, 뒤돌아설 수도 있지만, 뛰는 사람은 걷는 사람에 비해 自己 行動에 對한 統制力이 弱하다. 이처럼 理性은 가장 健康한 狀態와 병든 狀態 사이에서 다양한 모습을 띨 수 있다. 우리는 神聖한 自然 世界와 조화로운 삶을 擇해 理性的으로 幸福하게 살 수도 있고, 그 反對를 選擇할 수도 있다. 한마디로, 우리 삶에 對한 責任은 全的으로 삶의 瞬間瞬間 決定을 내리는 우리 自身에게 달려 있다. [1]

우리에게 매달린 실을 잡아당기는 힘이 우리 內面에 있음을 記憶하라. 그것이 우리 行動과 우리 삶의 源泉임을, 다시 말해 自己 自身임을 記憶하라.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우리의 모든 것이 우리 自身에게 달려 있다면, 自己 點檢, 自己 配慮는 必須的이다. 우리는 스스로 幸福한지, 제대로 作動하는 쓸모 있는 人間인지를 끊임없이 省察해야 한다. 財産, 權力, 出身, 身分 等 外部 狀況은 우리 마음대로 되는 게 아니므로, 우리 뜻대로 할 수 있는 것, 卽 우리 自身의 머릿속에서 벌어지는 일에 集中해야 좋은 삶을 살 수 있다. 幸福해지고 싶다면 自己 自身을 알아서 마음을 더 生産的이고 쓸모 있는 方式으로 使用해야 한다. [1] 따라서 스토아 學派는 自己 節制(禁慾主義)를 强調한다.

問題는 神의 攝理(宇宙 法則)와 人間 選擇이 衝突한다는 點이다. 스토아 學派에 따르면, 神은 宇宙 萬物에 스며든 프네우마이다. 따라서 神의 法則, 卽 運命을 벗어날 수 있는 건 아무것도 없다. 이는 自然스레 目的論的, 決定論的 世界觀과 連結된다. 그런데 宇宙를 支配하는 必然이 있다면, 人間이 어떻게 自由로울 수 있고, 모든 것이 우리 責任일 수 있을까. 스토아 學派에서는 比喩로 이를 說明한다. [1]

긴 줄로 수레에 묶인 個가 있다. 이 개는 A地點에서 B地點으로 수레와 함께 移動할 運命에 處해 있다. 하지만 이 개는 異性에 調和롭게 기꺼이 移動할 수도 있고, 異性에 抵抗하며 몸부림치면서 괴롭게 移動할 수도 있다. 選擇은 個에 달려 있다. 좋은 삶이란 理性(운명, 攝理, 神)과 調和를 이루면서 理性的으로(윤리적으로) 살아서 올바른 사람이 되는 데 달려 있다. 宇宙의 큰 흐름에 順應하여 조화롭게 살고자 主體的·積極的 態度로 努力하는 사람, 卽 德 있는 사람이 되어야 하는 것이다. [1]

當身은 演劇 속 配役을 作家가 願하는 대로 演技한다는 것을 記憶하라. 作家가 그 配役이 短命하기를 願하면 短命할 것이고, 長壽하길 願하면 長壽할 것이다. 作家가 當身에게 준 配役이 貧者든 障礙人이든 公認이든 死因이든 當身은 마음을 다해 주어진 配役을 能熟하게 延期하라. 當身이 할 일은 自身에게 주어진 配役을 잘 演技하는 것이지 다른 配役을 고르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에픽테토스)

스토아 學派에서 德은 오이케이오시스 (oikeiosis, 專有)를 통해 길러진다. 오이케이오시스란 自己 바깥에 있는 어떤 것을 自己 것으로 삼는 일이다. 사람은 自己 바깥에 있는 事物 또는 일에 對해 이로운 것과 해로운 것을 分別하고 選擇해서 自己 것으로 삼는다. 이때 選擇해야 할 것은 健康, 財産, 地位, 評判 等이 아니라 窮極的이고 絶對的인 線이다. 그 絶對的 線에 實際로 到達했느냐는 重要하지 않았다. 重要한 것은 目標로 삼은 것이 올바르냐 그르냐 하는 事實 그 自體였다. [1] 假令, 불이 난 집에서 아이를 救出하려 한다고 하자. 이때 아이를 求하는 건 그 아이를 위해서가 아니다. 그러는 것이 德 있는 行動이기 때문이다. 아이를 求하면 더 좋겠지만, 實際 아이를 求했느냐는 窮極的 觀點에선 別로 重要하지 않다. 무엇을 選擇했느냐가 더 重要하다.

그러나 스토아 學派가 自己 幸福에만 關心이 있었던 건 아니다. 그들은 神的 攝理의 普遍性을 믿었다. 萬物이 프네우마를 共有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들은 自己 子息, 家族, 親舊만을 이롭게 하려는 우리의 本能的 性向은 自然스레 人類 全體를 이롭게 하려는 더 큰 所望으로 發展한다고 생각했다. 世界가 한 家族이라는 생각, 이러한 世界 家族의 幸福을 增進하는 일이 萬人의 義務라는 생각은 後代에 世界 市民 意識 萬民法 思想으로 發展했다. [1] 스토아 學派에 影響을 받아 로마인들은 넓어지는 領土에 比例해서 市民權 適用 範圍를 漸次 넓혀갔고, 마침내 西紀 3世紀 카라칼라 皇帝 땐는 모든 自由人에게 市民權을 附與했다.

影響 [ 編輯 ]

스토아 學派는 古代 末期에서 現代에 이르기까지 哲學·宗敎·文學 分野에서 커다란 影響을 끼쳤다.

플로티노스 는 플라톤을 스토아 學派 觀點에서 解釋함으로써 이른바 신플라톤주의 의 基礎를 確立했다. 靈魂은 超越的 成長을 통해 神을 認識할 수 있다는 觀點을 받아들인 것이다.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스 오리게네스 는 基督敎 神學으로 體系化하는 데 스토아 學派의 立場을 援用했다. 基督敎 思想家들은 스토아 學派의 唯物論的 觀點을 否定했으나, 宇宙는 物質과 靈魂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二元論 , 宇宙에 神聖이 스며 있다는 생각, 人間은 德을 쌓아 神과 하나가 되기 위해 努力해야 한다는 믿음은 相當 部分 받아들였다. 또한 '神은 선한데, 왜 世上에는 惡이 存在하는가'라는 質問에 關한 對答, 卽 스토아 學派의 神正論 (神正論)에 깊은 關心을 보였다. [1]

自然 思想의 成立이나 조르다노 브루노 , 스피노자 의 死傷 等 近世에서도 神과 自然을 同一視하려는 스토아 學派의 觀點은 큰 役割을 遂行했다. 後記 스토아 學派의 倫理 思想은 몽테뉴 等의 모랄리스트 들에게 一種의 處世訓으로 愛讀됐다.

現代에는 論理學 分野에서 말과 말의 關係가 아니라 命題 相互 間의 關係를 問題 삼는 스토아 學派의 論理學이 再評價되고 있다. 心理學에서는 認知 行動 治療 가 스토아 學派의 影響을 받았다. 모든 決定이 自己 自身에게 달려 있다는 스토아 學派의 가르침에 따라, 認知 行動 治療에서는 患者가 自身의 생각, 느낌, 行動 中에서 自身에게 도움 되는 것과 도움 되지 않는 것을 區別하게 한 後, 도움 되는 것들에 集中하고 이를 實踐에 옮기도록 돕는다. [1]

같이 보기 [ 編輯 ]

參考 文獻 [ 編輯 ]

各州 [ 編輯 ]

  1. 피터 존스 (2022). 《복스 抛풀리》. 敎諭書가.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