敎皇冠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三重館 에서 넘어옴)

敎皇冠을 쓴 敎皇 비오 10歲 의 寫眞

敎皇冠 (敎皇冠, 라틴語 : tiara , 이탈리아語 : tiara papale )은 三重館 (三重冠, 라틴語 : triregnum , 이탈리아語 : triregno ) 또는 三層館 (三層冠)이라고도 부르며, 基督敎 의 象徵物 中 하나이다. 로마 가톨릭교회 에서 敎皇 이 머리에 着用하는 敎皇 專用 裝飾館으로 敎皇의 職權을 象徵한다. 8世紀부터 20世紀 中盤까지 使用되었고, 敎皇 바오로 6歲가 在位 初期에 使用한 後 더 以上 使用하지 않았다. 앞이 뾰족한 原形에 꼭대기에 꽂힌 十字架를 頂點으로 寶石으로 裝飾한 세 個의 王冠을 層層으로 쌓아 올린 形象을 하고 있다. 오래前부터 聖 베드로의 交叉한 열쇠와 結合한 모습이 敎皇의 公式 紋章으로 使用되어 왔다.

1143年부터 1963年까지, 敎皇의 卽位式 때 敎皇의 머리 위에 敎皇冠을 씌워주는 盛大한 戴冠式을 擧行하였으나, 가톨릭 敎會의 簡素化, 儉素 傾向이 剛해진 後 더 以上은 잘 使用되지 않았다. 敎皇冠의 華麗한 外觀은 推測건대 東로마 帝國 페르시아 帝國 에서 使用했던 圓筒形의 管에서 由來한 듯하다.

由來 [ 編輯 ]

初期 基督敎 敎會 [ 編輯 ]

敎皇冠은 初期 基督敎 敎會에서 主로 쓰던 平凡한 帽子에서 由來했다. 이 帽子는 천을 머리 위에 뒤집어 씌운 模樣으로, 東유럽과 아나톨리아 半島 에서 主로 쓰던 것이었다. 敎皇冠과 主敎館, 이 둘다 모두 이 帽子에서 그 原形을 찾아볼 수 있다.

敎皇冠 [ 編輯 ]

리넨과 천으로 만들어졌던 敎皇冠은 漸次 金屬으로 된 王冠의 形式으로 바뀌어갔다. 1300年代 들어, 敎皇冠은 2個의 王冠을 겹쳐놓은 形式으로 만들어졌다. 첫 番째 王冠은 9世紀 頃, 敎皇領을 다스리게 되며 自身의 權力을 象徵하기 위해 寶石과 黃金으로 裝飾하여 만들어졌고, 두 番째 王冠은 敎皇이 世俗的, 靈的으로 모두 王들보다 上位에 位置해 있음을 알리기 위해 덧씌워졌다. 우리가 볼 수 있는 敎皇館에는 3個의 王冠이 겹쳐 있는데, 이 마지막 3番째 王冠은 敎皇 클레멘스 5世가 自身의 權威를 더더욱 높이기 위해 追加한 것이다. 이같은 三重 王冠은, 敎皇의 絶對性과 勸力을 높이기 위한 象徵的인 意圖가 매우 剛하게 作用하여 만들어졌다고 보아도 좋을 것이다. 參考로 主敎館처럼, 敎皇冠에는 2個의 긴 천이 附着되어 있어 머리 뒤로 길게 늘어뜨리게 되어 있다.

클레멘스 5歲가 아비뇽으로 敎皇廳을 옮긴 以後, 後代의 敎皇들 모두 다양하게 變形된 三重館 形式의 敎皇冠을 使用하였고, 이 傳統은 1963年 바오로 6歲까지 繼續 이어져 내려왔다.

敎皇冠 廢止 [ 編輯 ]

敎皇冠은 1300年代부터 1960年代까지 거의 600年 넘게 그 傳統을 이어왔다. 敎皇 바오로 6歲 가 卽位式에서 寶石과 黃金 裝飾이 달려있지 않은, 그저 單純한 模樣의 敎皇冠을 着用하며 敎皇冠의 簡素化를 推進했다. 結局 第2次 바티칸 公議會 가 閉會할 때, 敎皇이 直接 그의 棺을 벗어 祭壇 앞에 내려놓은 後, 自身의 敎皇冠을 競賣에 내놓아 그 돈을 가난한 者들에게 寄附하겠다는 뜻을 밝힘으로써 敎皇官은 歷史 속으로 사라지게 되었다. 參考로 바오로 6歲의 敎皇冠은 1968年 美國 워싱턴 D.C. 에 있는 原罪 없이 孕胎되신 聖母 國立 大聖堂 에 寄贈되었다. 그렇지만 바오로 6歲가 1975年에 制定한 使徒憲章 《로마 敎皇 選出》(Romano Pontifici Eligendo)의 敎皇 選出方式에 따르면, 敎皇冠을 完全히 廢止한 것은 아니기 때문에 後任者가 願한다면 언제든지 敎皇冠을 다시 使用할 수 있다고 明示되어 있다. 몇몇 保守的인 基督敎人들은 敎皇의 象徵인 敎皇冠을 스스로 내려놓은 者는 더 以上 敎皇으로 불릴 수 없다며 反撥하고 있지만, 많은 大衆들은 敎會의 裝飾的인 側面을 解消하려 했다는 點에서 바오로 6歲의 行動을 높이 評價하고 있다.

바오로 6歲의 後任者인 요한 바오로 1歲 가 華麗한 戴冠式을 拒否하고 敎會의 虛禮虛飾들을 몰아내고자 하며, 全代 敎皇을 본받아 敎皇冠을 使用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또한 요한 바오로 1世가 얼마 지나지 않아 臨終하고, 그의 뒤를 이은 요한 바오로 2歲 는 '只今은 敎皇의 世俗的인 權力의 象徵物들을 다시 가져올 時代가 아니다'라고 밝히며 그 또한 敎皇管을 着用하지 않았다.

敎皇들이 直接 敎皇管을 쓰진 않지만, 敎皇官은 如前히 바티칸과 敎皇의 公式 文章에 登場한다. 그리고 只今은 아니지만, 敎皇의 個인 文章에도 敎皇管을 위쪽에 얹어 裝飾함으로써 술이 달린 帽子를 添附한 다른 高位 聖職者들의 文章과 差別性을 두었는데 베네딕토 16歲 때부터 이러한 傳統이 깨져 敎皇 文章에서 敎皇官은 사라지고 主敎館 이 그 자리를 代身 차지하였다. 하지만 敎皇의 文章임을 나타내기 위해 主敎館에 三層管을 象徵하는 세 個의 金色 줄무늬를 집어넣어 다른 主敎館과 區別하도록 하였다. 그래도 성좌 바티칸 時局 의 文章만큼은 如前히 主敎館으로 바꾸지 않고 敎皇冠의 使用을 繼續 保存하고 있다.

디자인 [ 編輯 ]

敎皇冠의 모습 [ 編輯 ]

敎皇冠은 時間이 지나며 掠奪되거나 녹여진 게 많아, 現在 남아있는 것은 總 22個에 不過하다. 銀빛의 圓筒形 棺 위에 寶石과 黃金으로 華麗하게 裝飾된 模樣을 大體로 띠고 있으며, 세 個의 王冠이 十字架 或은 나뭇잎 模樣을 하여 그 위에 얹혀져 있다. 그리고 大部分의 境遇 敎皇冠의 맨 위에 그리스도의 普遍性과 偉大함을 象徵하는 十字架가 꽂혀 있다.

또한 敎皇冠의 뒤에는 2個의 긴 천을 늘어뜨렸는데, 이 천을 황금실로 裝飾하고 敎皇의 文章을 박아넣었다.

敎皇冠의 무게 [ 編輯 ]

現存하는 敎皇冠 中 가장 가벼운 것은 1959年 요한 23歲를 위해 만들어진 敎皇冠으로, 約 0.9kg이다. 反面 敎皇 바오로 6歲의 敎皇冠은 無慮 4.5kg이나 되며, 가장 무거운 것은 나폴레옹의 戴冠式 때 使用한 敎皇冠으로 그 무게가 8.2kg이나 된다.

20世紀 들어 技術이 發達하며, 새로운 方式으로 敎皇管을 만들어내기 始作하였으며, 그 무게도 減少하여 900g에 이르게 되었다.

使用 [ 編輯 ]

敎皇冠은 그 무게도 매우 무겁고, 워낙 華麗했기 때문에 웬만한 行事가 아니면 잘 着用하지 않았다. 보통의 行事에서 敎皇은 다른 主敎들처럼 主敎館을 썼다.

戴冠式 [ 編輯 ]

敎皇觀이 主로 登場하는 禮式은 敎皇 戴冠式이었다. 無慮 6時間에 達하는 이 어마어마한 禮式은 豪華스럽게 치루어졌으며, 中世 때부터 내려온 敎皇의 權威를 象徵하는 가장 代表的인 禮式이었다. 敎皇 戴冠式 때 敎皇의 兩 옆에서 司祭들이 駝鳥 깃털로 된 부채를 들고 그의 옆을 지켰으며, 主로 聖 베드로 大聖堂에서 치루어졌다.

바오로 6世는 이 禮式을 簡素化했으며, 요한 바오로 1世는 完全히 없애버렸다. 이 禮式은 純全히 象徵的인 것이었고, 콘클라베에서 뽑힌 選出者가 이 戴冠式에서 敎皇職을 받아들이면, 베드로의 代理人과 로마 主敎의 權限을 受諾하는 形式이었다. 現在는 戴冠式이 사라지고, 前例 미사로 이를 代替하였다.

三層館의 象徵 [ 編輯 ]

只今까지 三層觀이 內包한 意味가 무엇인지에 對한 說明이 無數히 많았지만 그 가운데 어느 것 하나 確實한 것은 없다. 一般的으로 神品權(1層), 敎導權(2層), 司牧權(3層) 等 敎皇이 最高私製長으로서 지닌 세 가지 職務를 뜻한다고 보는 意見이 支配的이긴 하지만, ‘君主들의 아버지, 世界의 統治者, 우리의 救世主 예수 그리스도 의 代理者’로 解釋하는 이들도 있다. 過去 對官미사에서 首席 樞機卿이 敎皇의 머리 위에 三層管을 씌워주는 儀式을 擧行할 때 다음과 같이 말하기도 하였다:

Accipe thiaram tribus coronis ornatam, et scias te esse Patrem Principum et Regum, Rectorem Orbis, in terra Vicarium Salvatoris Nostri Jesu Christi, cui est honor et gloria in sæcula sæculorum.
(세 個의 管으로 裝飾한 이 敎皇管을 쓰는 當身은 임금들의 아버지면서 世界의 길잡이며 끝없이 언제나 榮譽와 榮光을 받으실 우리의 救世主 예수 그리스도의 地上 代理人이라는 것을 銘心하십시오.)

또한 요한 바오로 2世가 自身의 卽位 미사 說敎에서 모든 信者들이 洗禮를 통해 그리스도로부터 받은 세 가지 職務로 言及한 ‘司祭職, 豫言職, 왕직’ 또는 ‘敎師, 立法者, 裁判官’이라는 主張도 있다. 이 밖에도 ‘地上의 戰鬪的인 敎會’, ‘하늘나라에 가기 前에 殉敎의 苦難을 겪는 敎會’ 그리고 ‘永遠한 補償을 받아 勝利를 얻은 敎會’라는 主張과 한발 더 나아가 天上과 人間과 地上을 連結하는 敎皇의 任務를 象徵한다는 主張이 있다.

이미지 [ 編輯 ]

같이 보기 [ 編輯 ]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