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바라바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바라바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바라바 (아람어: ???-???? ?? 예수 바라바 , 英語: Barabbas, 버래버스 ) 또는 예수 바라바 (Jesus Barabbas, 예수 바라파스)는 新約聖書 에 言及된 人物로, 예수 와 同時代에 로마의 統治者에 對抗한 叛亂을 일으킨 者로서, 예루살렘 逾越節 ( 파스카 ) 祝祭에서 예수를 罪囚로 붙잡아두는 代身 釋放되었다. 共同飜譯聖書 에서는 바라빠, 改譯聖經 에서는 바라바로 飜譯했다. 바라파스, 바라빠, 예수 바라바로 불리기도 한다. [1]

"바라바를 풀어주시오",성서 이야기의 揷畵에서 拔萃,1910

聖書속의 言及 [ 編輯 ]

바라바(예수 바라파스)는 盜賊으로 描寫되어 있다. 新約聖書의 마태오 福音書 , 壘가 福音書 마르코 福音書 에서 바라바를 暴動 의 主謀者이자 殺人 字로 說明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바라바는 로마帝國 에 反對한 暴力鬪爭(아마도 熱心黨)의 指導者였던 것이 分明하다. 逾越節 以前에 유대의 聖所에서 로마인들이 市場을 연 것을 뒤엎는 場所에도 參與했다는 見解도 있다. 結局 로마의 權力에 依해 체포당한 그는 빌라도 의 玉에 收監되었다. 유대의 風俗 中 逾越節 ( 유대人 들이 이집트 의 壓制에서 解放된 날이다. 大韓民國의 光復節 에 該當하는 名節)에는 罪囚中 한 사람을 釋放하는 傳統에 따라 예수 그리스도와 같은 裁判長에 서게 되었다. 이때 民衆 들이 現實參與的인 그를 釋放해달라고 要請하여, 바라바는 釋放되고 예수 는 두 名의 强盜 와 같이 十字架刑을 當했다. 한가지 興味있는 點은 初期 交付 들에 依해 바라바는 예수 바라바로 解釋된 寫本이 있다는 것이다.

어원 [ 編輯 ]

바라바의 이름은 福音書의 그리스語 本文에서 'Βαρ-αββ??'( 바르-아빠스 )로 나타난다. 이는 窮極的으로 "아버지의 아들"이라는 뜻의 아람어人 '??-???'(바르-아빠)에서 由來하였다. 마태복음 27:16-17의 어떤 古代 寫本에는 바라바의 全體 이름이 "예수 바라빠"로 記錄되어 있는데, 이것이 아마도 本文에 記錄된 本來의 이름일 것으로 推定된다. [2] 招待 交付 오리겐 은 福音書 寫本들에서 바라빠의 이름이 "예수 바라빠"로 記錄된 事實에 對해 唐慌하였고, 그가 敢히 그런 거룩한 이름을 가질 수는 없기 때문에, "예수"라는 이름이 異端者에 依하여 바라바의 이름에 追加되었음이 분명하다고 主張하였다. [3] 後代의 必死者들이 메시아인 예수의 이름의 不名譽를 避하기 위하여 "예수 바라바"에서 "예수"를 지웠을 可能性이 있다. [4]

個人의 이름에서 '아빠'라는 表現은 기브옷 下-밉타르 (英文위키: Givat HaMivtar)의 1世紀 무덤에서 發見되며, AD 200-400年頃, 탈무드 게魔라 (英文위키: Gemara)절에서도 個人의 이름으로서 頻繁하게 나타난다.

學界의 다양한 觀點 [ 編輯 ]

유대人 歷史學者 막스 디몬트(Max Dimont) 에 따르면, 福音書과 關聯된 바라바의 이야기는, 壓倒的인 軍事力을 背後에 둔 로마 總督 본디오 빌라도 가 非武裝 市民의 小規模 群衆의 威脅 때문에 로마 帝國 에 對한 叛亂으로 死刑을 宣告 받은 罪囚를 풀어준다는 것은 로마의 立場에서 信憑性이 不足하다. 萬一 로마의 統治者가 그렇게 한다면, 그 自身이 死刑에 直面하게 되었을 것이다.

蓋然性 있는 比喩로서의 歷史 [ 編輯 ]

매기(Magee) 等은, 罪囚를 풀어주는 慣習이, 眞짜 "아버지의 아들"을 比喩的 形態로 大棗시키기를 願했던 福音史家 마르코에 依하여 文學的으로 創作된 要素 가운데 하나일 것이라고 主張한다. [5]

假說(主張) [ 編輯 ]

예수 아들설 [ 編輯 ]

性穴과 聖杯 等에 依하면 그는 예수 그리스도 마리아 막달레나 의 아들이라는 主張을 提示하고 있다. 바라빠가 盜賊(레스타이)로 바뀐 것은 敎會가 造作한 것이라는 主張이다 [ 出處 必要 ] . 마태복음서 27張 16節의 記錄에 依하면 바라빠는 빌라도에 依해 "예수 바라빠"라는 이름으로 불리고 있는데, 이 때문에 "바라빠"라는 말을 이름으로 보지 않고 다르게 解釋하고자 하는 主張이 있다. 그러나, 그러한 모든 主張은 全的으로 推測과 家庭에 根據할 수밖에 없는데, 이는 바라빠(barabbas)라는 말의 語源과 意味, 그리고 바라빠라는 人物의 身元이 現代에 確實하게 傳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한 主張들의 한 가지 例로서, "바라빠"라는 말은 "아빠의 아들 (Bar Abbas)", 或은 랍비의 아들(Bar Rabban, Bar Rabbi) 等으로 풀어서 맞출 수 있음을 들어 바라빠가 예수의 아들이었다는 主張도 있다.

예수 아들설에 對한 反論 [ 編輯 ]

예수라는 이름은 新約聖書 에서 흔하게 登場한다. 例를 들면 使徒行傳 에는 바울 의 宣敎活動을 妨害한 魔術師 바예수(Bar Yeshu; 예수의 아들)의 이름에도 '예수'가 들어간다. [6] 卽, 新約聖書 時代에 예수는 철수와 영희처럼 아주 흔한 이름이었다고 理解할 수 있다. 따라서 바라빠가 예수의 아들이라는 뜻으로 解釋된다고 해도, 基督敎 에서 그리스도로 믿는 예수 의 아들이라고 斷定지을 수는 없다. 더구나 新約聖書를 韓國말로 옮긴 飜譯者들이 强度로 飜譯한 레스타이를 Joshepus사가는 神政政治에 對한 熱望을 갖고 로마帝國을 相對로 鬪爭하던 熱心黨 圓을 가리키는 말로 쓰고 있다. [7] 卽, 新約聖書 嚴密하게 말하면 요한福音書 18章 40節에서 바라바를 强度로 紹介하는 것은 그가 熱心黨員이었을 可能性을 보여줄 뿐이지, 敎會가 造作한 것은 아닌 것으로 생각된다.

文學的 對照人物로서의 創作說 [ 編輯 ]

빌라도의 裁判廷에 선 두 名의 예수(바라빠라 불리는 예수 vs 그리스도라 불리는 예수)는 事實은 나사렛 예수 한 사람 이고, 바라바(bar abba; 아버지의 아들)는 潔白한 예수와 大棗시키기 위한 設定으로서 [1] , 예수가 無罪한 自身을 罪人들을 爲해 내놓은 贖罪羊 또는 犧牲羊이 되었음을 强調하기 위해, 그리스도 예수의 그림자로서 [8] , 또는 유대敎 傳統의 犧牲祭祀 ( Yom Kipur )에서 모든 罪를 짊어지고 曠野에 풀어놓는 贖罪염소의 役割로 내세운 文學的 裝置라는 假說도 存在한다. [9] 적어도 初期 基督敎의 마태 共同體는 마태복음에서 예수의 發言을 引用하여 아람어 "abba"의 飜譯어로서의 rabbi 라는 呼稱(랍비, 先生, 아버지, 指導者)李 一般化되어 無分別하게 使用되는 것을 拒否했고, [10] "abba"라는 呼稱을 야훼와 예수에게로 限定짓고자 했다. 따라서, 이는 유대人들의 야훼 에 對한 呼稱은 一般的으로 阿道나이 또는 엘로힘 이지만 예수는 獨特하게도 abba 아버지 라는 呼稱으로 야훼 를 稱하였던 事實과 더불어, 基督敎 成立 以前부터 예수는 이미 "Yeshu bar Abba" 다시 말해 "하나님 아버지의 아들 예수(Jesus, the Son of the Father God)" 으로 불렸을 可能性이 높음을 示唆한다. [11] [12]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바라빠라는 예수냐? 그리스도라는 예수냐?' 하고 물었다." (共同飜譯本性서 마태오의 福音書 27張 16~17節)
  2. Evans, Craig A. (2012). 《Matthew》 .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1-139-80572-8 .  
  3. Dimont, Max I. (1999). 《Appointment in Jerusalem》 . [United States]: E-reads. ISBN   1-58586-546-X .  
  4. Ehrman, Bart D. (2011). 《The reliability of the New Testament》 . Minneapolis: Fortress Press. ISBN   978-0-8006-9773-0 .  
  5. “The Mystery of Barabbas” . 2015年 9月 23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9年 11月 26日에 確認함 .  
  6. 使徒行傳 13:6-9
  7. 《主要 主題를 통해서 본 福音書 神學》.김득중 지음/한들
  8. Stevan L. Davies, “Who is Called Bar Abbas?,” NTS 27 (1981).
  9. John Shelby Spong (2016). 《Biblical Literalism: A Gentile Heresy》.  
  10. 마태복음 23:8-10
  11. Benjamin Urrutia, "Pilgrimage," The Peaceable Table , October 2008.
  12. Dimont, Max I. (1992). 《Appointment in Jerusalem》. e-reads.com. ISBN   978-1585865468 .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