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안대군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무안대군
撫安大君
朝鮮 太祖의 王子
이름
이방번(李芳蕃)
시호 장혜(章惠)
爵號 秋成功(楸城公)
軍號 務安郡(撫安君) · 恭順群(恭順君)
身上情報
出生日 1381年
出生地 高麗 開京
死亡日 1398年 10月 14日 (陽曆)
死亡地 朝鮮 漢城府
父親 朝鮮 太祖
母親 신덕왕후 姜氏
配偶者 삼한국大夫人 開城 王氏
子女 風眼群 이효손 (量子) [1]

무안대군 방번 (撫安大君 芳蕃, 1381年 ~ 1398年 10月 14日 ( 陰曆 8月 26日 ))은 太祖 李成桂 의 일곱째 아들이며 어머니는 신덕왕후 姜氏이다. 第1次 王子의 亂 當時 이福 兄인 정안대군 방원에 依해 殺害되었다.

本貫은 全州 (全州)이다. 作爲 秋成功 (楸城公)· 務安郡 (撫安君), 諡號는 腸惠空 (章惠公)· 恭順群 (恭順君)이다.

生涯 [ 編輯 ]

吏房番은 太祖 李成桂 의 일곱째 王子로 太祖 繼妃 신덕王后 姜氏 (神德王后 康氏) 所生으로 出生했으며, 1387年 어린 나이 時節 歸依軍(政兩軍) 왕우 의 딸과 結婚에 이어 [2] 1390年 妻叔父 高麗 恭讓王 (高麗 恭讓王)의 治世 時期에 아버지 李成桂 의 支援에 依해 高麗 王朝로부터 高空 佐郞 의 職位를 받았으며, 1392年 (朝鮮 太祖 1) 7月 朝鮮 開國 後에는 務安郡에 冊封되어 의홍親軍衛節制使에 任命되었다.

太祖 2年 (1393)에 13歲의 나이로 左軍節制使로 任命되었으며 한때 아버지 太祖 李成桂 와 어머니 中殿 姜氏 의 推薦으로 世子로써 內定되기도 했으나 照準 (趙浚), 정도전 (鄭道傳) 等 重臣들은 그를 "性格이 光網하고 輕率하다."라고 反對하여 冬服 아우 이방석 에게 世子 자리를 빼앗겼다. 그리고 務安郡에 封爵되었다.

太祖 7年 (1398)에 이福 兄 李芳遠 이 主動이 된 ' 第1次 王子의 亂 '이 일어났다. 李芳遠이 방번에게도 亂에 同參할 것을 勸誘했으나 방번은 應하지 않았다. 그러나 아버지 등에게 알려주지도 않았다. 以後 亂이 끝나자 城門 밖으로 쫓겨났고, 中途에 殺害되었다. 이때 그의 나이 18歲였다.

屍身은 京畿道 廣州郡에 安葬되었고, 바로 秋成功(楸城公)의 作爲에 追贈되었다. 太宗 卽位後 그의 抑鬱한 죽음에 恤典(恤典, 救濟支援金)李 秋去(追擧)되고 功巡軍의 諡號를 追贈하였으며, 後날 世宗 19年 (1437) 世宗의 5王子 광평대군 이 그의 後嗣로 定해졌다. 1680年 (肅宗 6) 大軍의 爵位를 追贈받았다. [3]

家族 關係 [ 編輯 ]

무안대군이 登場한 作品 [ 編輯 ]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異腹 叔父 의안대군 이화 의 孫子이며 生父는 四寸 兄 永川郡 이담 (寧川君 李湛).
  2. 이방번 공이 原州 卞氏 時調 便안렬의 사위라는 事實이 原州 元氏와 原州 卞氏 族譜에 記載되어 있는데 朝鮮初 왕우 집안과 便안렬 집안의 社會的 身分으로 보아 史學者들은 왕우의 딸을 두 番째 夫人(當時에는 側室이나 後妻, 妾의 槪念없이 모두 情實이다.)으로 整理하고 있다.
  3. 朝鮮 初 開城 王氏들을 滅族하는 雰圍氣 속에서도, 이방번의 丈人이 된 왕우만은 先祖의 祭祀를 지내도록 살려두었음이 實錄에 나와 있다.
  4. *경녕翁主(? - 1449年 陰曆 7月 19日 /陽曆 8月 7日), 歸依軍 왕우 (歸義君 王瑀)의 딸
  5. 生涯 便宜 脚註를 參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