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두꺼비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두꺼비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두꺼비

生物 分類 ??
界: 動物界
文: 척삭動物門
江: 兩棲綱
목: 개구리目
亞目: 新瓦亞目
과: 두꺼비과
속: 두꺼비속
種: 두꺼비
學名
Bufo gargarizans
Cantor, 1842
香名
保全狀態

最小關心(LC): 絶滅威脅 條件 滿足하지 않음
評價機關: IUCN 赤色 目錄 3.1 [4]


指定解除: 個體數 增加로 더 以上 滅種危機 아님
評價機關: 大韓民國 環境部 [5]

두꺼비 ( 學名 Bufo gargarizans )는 개구리目 두꺼비과 에 屬하는 兩棲類 아시아두꺼비 라고도 일컫는다. 韓半島 에서 分布하는 개구리目 生物 가운데 最大種이며, 韓半島 外에도 中國 · 몽골 · 사할린 · 日本 미야코 制度 等地에 分布한다. 本來는 東아시아 유럽두꺼비 亞種 으로 分類하고 있었으나, 硏究 以後 다른 종이란 것이 밝혀졌다.

생김새 [ 編輯 ]

개구리 보다는 몸집이 크다. 몸 길이는 約 80∼110 mm로 개구리 가운데에서 가장 크다. 머리는 幅이 길고 주둥이는 둥글다. 등에는 奧密稠密하고 不規則한 突起가 많이 나 있으며 突起의 끝은 黑色이다. 몸통과 네 다리의 등面에는 不規則한 黑褐色 또는 赤褐色 무늬가 있다. 背面은 暗褐色의 작은 무늬들이 있다. 발가락은 앞발가락 4個, 뒷발가락은 5個이다. 다른 개구리 와 달리 잘 뛰지 못하며 普通 엉금엉금 기어다닌다.

皮膚에 부포톡신이라는 毒이 있는 物質을 내뿜는데 이 때문에 다른 兩棲類에 비해 天敵이 적으며 特히 種類한테 이 毒性이 매우 效果的이다. [6]

그러나 天敵이 아주 없는 것은 아닌데 聖體의 境遇, 유혈목이 , 능구렁이 等의 두꺼비 독에 免疫이 있는 이 特히 무서운 天敵이며 몸집이 큰 같은 齧齒類, 때까치 , 들 고양이 , 들 等도 天敵이다. 어린 올챙이나 올챙이에서 갓 자란 새끼의 境遇에는 물방개 , 물將軍 , 사마귀 等도 天敵이 될 수 있다. 두꺼비의 알은 둥글둥글한 알을 낳는 다른 개구리 種類와 달리 긴 끈 模樣으로 되어 있다.

文化에서의 두꺼비 [ 編輯 ]

韓國 의 民譚과 傳說에서는 두꺼비가 자주 登場하며, 콩쥐팥쥐전 舌禍 속에서 人間 을 돕는 存在로 描寫될 程度로 親近한 動物 로 여기기도 한다. 韓國에서는 ' 지네場터舌禍 ' 또는 '콩쥐팥쥐舌禍' 等에 登場한다. 지네場터 說話에 依하면 다 죽어가는 두꺼비를 救한 少女가 마을의 지네 의 祭物로 바쳐지게 되자 두꺼비가 어느날 저녁에 지네窟로 가서 지네 를 죽이고 犧牲하여 恩惠를 갚는다는 것이다. 콩쥐팥쥐전의 두꺼비는 自身을 救한 콩쥐를 위해 繼母가 깨어진 缸아리에 물담기를 시킬 때 代身 缸아리를 메꾸어 주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脈絡의 說話는 ' 恩惠 갚은 두꺼비 ' 플롯의 說話로 다루어 진다. 또, 두꺼비는 福을 준다고 옛날 사람들은 믿었다. 그림으로는 유현영 (劉玄英, 해섬자海蟾子)李 登場하는 심사정 의 < 하마先人도 >(蝦?仙人圖), <線印度해도>(仙人渡海圖) 그리고 李霆 의 <두꺼비를 탄 新鮮>(基섬도騎蟾圖)이라는 作品도 有名하다.

황소개구리와의 關係 [ 編輯 ]

한때 두꺼비가 황소개구리 의 天敵인 것으로 알려졌으나, 이는 짝짓기 철에 짝을 찾지 못한 수컷 두꺼비가 황소개구리를 암컷으로 誤解하여 껴안아 窒息死시키는 것으로 確認되었다. 황소개구리 가 小型 두꺼비를 먹이로 알고 먹었다가 그 毒性 때문에 죽는 境遇도 있다.

寫眞 [ 編輯 ]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國立生物資源館 . “두꺼비” . 《韓半島의 生物多樣性》. 大韓民國 環境部 .  
  2. Ананьева Н. Б., Боркин Л. Я., Даревский И. С., Орлов Н. Л. Пятиязычный словарь названий животных. Амфибии и рептилии. Латинский, русский, английский, немецкий, французский. / под общ. ред. акад. В. Е. Соколова. ? М.: Рус. яз., 1988. ? С. 37. ? 10 500 экз. ? ISBN 5-200-00232-X .
  3. Кузьмин С. Л. Земноводные бывшего СССР. ? М.: Товарищество научных изданий КМК, 2012. ? 2-е изд. ? С. 141. ? 370 с. ? ISBN 978-5-87317-871-1
  4. Kuzmin, S.; Wang, Y.; Matsui, M.; Kaneko, Y. & Maslova, I. (2004). Bufo gargarizans . 《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 ( IUCN ) 2004 : e.T54647A11180910. doi : 10.2305/IUCN.UK.2004.RLTS.T54647A11180910.en . 2015年 9月 15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8年 1月 13日에 確認함 .  
  5. https://species.nibr.go.kr/endangeredspecies/rehome/exlist/exlist.jsp?1=1&sch_gbn=cl&middle=3&minor=3&page_count=3
  6. “A novel antimicrobial peptide isolated from Bufo bufo gargarizans ,” . 2007年 6月 3日에 確認함 .   [ 깨진 링크 ( 過去 內容 찾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