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朝鮮신민당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朝鮮신민당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南朝鮮신민당 에서 넘어옴)

朝鮮신민당
朝鮮新民黨
理念 共産主義
마르크스-레닌주의
스펙트럼 極左
黨職者
主席 김두봉
副主席 최창익 , 寒貧
幹部 백남운 , 허정숙 , 박효삼
歷史
創黨 1925年 4月
解産 1946年 11月 23日
先行組織 朝鮮共産黨
後計定當 北朝鮮勞動黨
남조선로동당
外部 組織
國際組織 코민테른

朝鮮신민당 (朝鮮新民黨)은 조선독립동맹 (朝鮮獨立同盟)의 委員長 김두봉 이 1946年 2月 延安派 共産主義者들과 함께 創黨한 共産黨 이다. 主席은 김두봉. 副主席은 최창익 , 寒貧 이다. 主要 黨 幹部로는 백남운 , 허정숙 , 박효삼 等이 있었다. 1946年 北朝鮮勞動黨 남조선로동당 結成에 參與하였다.

朝鮮신민당의 創黨 [ 編輯 ]

朝鮮신민당이 創黨되기 以前, 김두봉은 조선민족혁명당 조선의용대 에서 活動하였다. 1937年 南京 이 日本軍에게 陷落되어 重慶 으로 移住한 民族革命黨은 大韓民國 臨時政府 와 合作하게 되었고, 그 渦中에 김두봉의 建議가 받아들여지지 않자 그는 民族革命黨을 떠나 1942年 4月, 華北 地方의 沿岸(延安) 에 定着하게 된다.

김두봉은 이곳에서 軍事 團體를 組織하여 朝鮮人 靑年들을 모았으며 이 過程에서 過去 民族革命黨에 함께 몸담았던 최창익 一派와 別途로 武裝 鬪爭을 벌이던 김무정 이 合流하게 된다. 김두봉은 같은해 7月 政治 組織으로 조선독립동맹을, 軍事 組織으로는 朝鮮義勇隊 華北地帶(華北支隊)를 改編한 朝鮮義勇軍(朝鮮義勇軍) 을 組織하게 된다.

1945年 日本이 敗亡하고 김두봉은 12月 13日 自身의 組織을 이끌고 朝鮮으로 歸還하였으나 蘇聯軍 金日成 에 依해 朝鮮義勇軍은 武裝 解除를 當한다. 김두봉의 조선독립동맹은 모스크바 3賞 會議 의 支持 聲明을 내며 朝鮮共産黨과 마찬가지로 饌卓을 決定했고 1946年 2月엔 南쪽에 組織을 派遣하여 백남운 을 委員長으로 하는 獨立同盟 京城特別委員會를 設置하는 等 軍定期 韓半島에서 政治的 基盤을 다지게 된다. [1]

1946年 2月 8日 北朝鮮 臨時人民委員會의 副委員長으로 選出된 김두봉은 1週日 뒤인 16日 조선독립동맹을 바탕으로 沿岸에서 만난 共産主義者들과 함께 마오쩌둥 新民主主義 (新民主主義) 思想에서 이름을 따 朝鮮신민당을 創黨하기에 이른다.

朝鮮신민당의 合黨과 消滅 [ 編輯 ]

主席은 김두봉. 副主席은 최창익 , 寒貧 이다. 主要 黨 幹部로는 백남운 , 허정숙 , 박효삼 等이 있었다. 朝鮮신민당의 存在는 當時 가장 큰 勢를 가지고 있던 朝鮮共産黨과 그들의 뒤에 있던 蘇聯에게 있어 달가운 存在가 아니었다. 結局 蘇聯의 壓力으로 朝鮮신민당은 金日成 이 이끌던 朝鮮共産黨 北朝鮮分局과의 合黨을 조용히 推進하게 되었다. [1]

朝鮮신민당이 朝鮮共産黨 北朝鮮分局과 合黨을 推進하게 되면서 朝鮮신민당은 백남운이 이끌던 京城特別委員會를 그 해 7月 13日 南朝鮮신민당 中央委員會로 名稱을 變更하고 독립시킨다.

朝鮮신민당은 創黨 後 不過 6個月 만인 1946年 8月 朝鮮共産黨 北朝鮮分局과 合黨하여 北朝鮮勞動黨 이 되었다. [2]

北朝鮮勞動黨의 出帆으로 南쪽의 共産主義者들 間에도 合當하자는 輿論이 形成되었다. 朝鮮신민당에 依해 獨立된 南朝鮮신민당은 南쪽의 朝鮮共産黨 , 조선인민당 과 함께 社會勞動黨 이라는 이름으로 合黨을 決意한다.

그러나, 그해 11月 朝鮮共産黨 幹部派 系列인 박헌영 남로당 을 創黨하면서 南朝鮮신민당은 남로당에 加擔할지를 놓고 內部 分裂이 發生하고 만다. 結局, 中央幹部파는 남로당에 吸收되었으며 反(反)幹部派는 朝鮮共産黨 大會派, 조선인민당 31人波와 함께 社會勞動黨을 結成하면서 南朝鮮신민당度 消滅하였다.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