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트로이아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트로이아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트로이아
文明 미케네 文明
現 所在地 튀르키예의 기 튀르키예 의 트로아스 平野 히사를리크 언덕
建立 連帶 紀元前 3300年
建立者 미케네
發掘者 하인리히 슐리만

트로이아 ( 古代 그리스어 : Τρο?α , 라틴語 : Tr?ia )는 古代 그리스 文學에서 言及되는 地名이다. 호메로스 는 Τρω?α 外에 이오니아 方言 Τρω?η를 더러 쓰기도 하며 或은 시운 때문에 Τρωε?라고 쓰기도 한다. 호메로스는 자주 트로이아를 일리오스 (?λιο? 或은 드물게 ?λιον)라고 부르기도하며 라틴語 로는 一理룸 ( 라틴語 : Ilium )이라고 쓰인다. 英語 式 發音을 따서 트로이 (Troy)라고도 하며, 標準語 도 트로이로 登載되어 있다. [1] 트로이아 遺跡은 1998年 유네스코 世界 遺産에 登載되었다.

트로이아는 4000年 동안의 占領 期間 동안 反復的으로 破壞되고 再建되었다. 結果的으로 遺跡地는 9個의 考古學的 層으로 나뉘며, 各 層은 移轉 遺跡地 위에 建設된 都市에 該當한다. 考古學者들은 로마 數字를 使用하여 이 層을 指稱하는데, 트로이아 I이 가장 初期이고 트로이아 IX가 最新이다.

트로이아는 紀元前 3600年頃에 처음 定着했으며 紀元前 3000年頃(트로이아 1歲)에 작은 要塞 都市로 成長했다. 初期 層 中에서 트로이아 2世는 部와 印象的인 建築物로 有名하다. 後期 靑銅器 時代에 트로이아는 윌陋舍(Wilusa)라고 불렸고 히타이트 帝國의 屬國이었다. 마지막 層(트로이아 VIII-IX)은 神話的 傳統과의 聯關性으로 인해 觀光 名所와 宗敎 中心地 役割을 했던 그리스 및 로마 都市였다.

이 遺跡地는 1871年부터 하인리히 슐리만(Heinrich Schliemann)과 프랑크 칼베르(Frank Calvert)에 依해 發掘되었다. 그들은 古典 都市의 廢墟 아래에서 수많은 初期 定着地의 遺跡을 發見했다. 이러한 層 中 一部는 트로이아에 對한 文學的 描寫와 類似하여 一部 學者들은 傳說의 밑에 眞實의 核心이 있다고 結論을 내린다. 神話와 現實 사이의 正確한 關係는 如前히 不分明하고 그리스가 都市를 攻擊했다는 確實한 證據는 없지만 다른 사람들의 後續 發掘로 이 遺跡地에 對한 現代的인 理解가 强化되었다.

이름 [ 編輯 ]

Τρω?α가 古代 그리스어의 固有의 낱말인지에 關해서는 오래前부터 많이 이야기되었으나 오늘날까지 正確한 語源學的 說明은 아직 없다. 메소포타미아文明 의 北部 地方 (現在의 튀르키예)에 蕃盛하였던 히타이트文明 의 言語 Truisa, Wilusa 낱말에 트로이아의 뿌리가 있다는 說이 자주 擧論되고 있지만 이를 뒷받침하는 證據는 없다.

考古學에서 보는 트로이아 [ 編輯 ]

트로이아의 地理的 位置에 關해서 考古學 敵으로 關心이 일기 始作한 것은 19世紀 末에 考古學을 趣味로 하는 獨逸 하인리히 슐리만 이 亦是 考古學을 趣味로 일삼는 英國 프랭크 캘버트 가 내세운 主張에 따라 1871年 現在의 터키의 北東쪽 헬레스폰토스 海峽 히사를리크 (Hisarlik) 丘陵에서 놀라운 遺跡物을 發掘한 것에서 비롯된다.

階層 始作

BC

BC

트로이아 0 c. ?3600?3500 3000
트로이아 I 3000 2550
트로이아 II 2500 2300
트로이아 III 2300 2200
트로이아 IV 2200 2000
트로이아 V 2000 1750
트로이아 VI 1750 1300
트로이아 VIIa 1300 1180
트로이아 VIIb 1180 950
트로이아 VIII 950 85
트로이아 IX 85 500ce

호메로스의 트로이아 [ 編輯 ]

古代 그리스의 年代記 作家들은 트로이아 戰爭의 時期를 紀元前 12,13,14世紀로 다양하게 잡고 있다. 에라스土테네스 는 紀元前 1184年으로, 헤로도토스는 紀元前 1250年으로, 사모스의 두리스는 紀元前 1334年으로 잡고 있다. 현대 考古學者들은 호메로스 時代의 트로이아를 트로이아 7期 遺跡에 非情하고 있다.

일리아스에서 아카이아인들은 그들의 캠프를 (오늘날 카라멘데레스江으로 알려진)스카만더강 入口에 設置하고 타고온 배는 海邊에 올려놓았다. 트로이아 市는 트로이아 戰爭의 戰鬪가 일어난 스카만더강의 平原 건너便에 있는 언덕 위에 세워졌다. [2] [3] 이 古代 都市는 오늘날의 海岸線으로부터 5 km 떨어진 地點에 있지만 約 3000年 前의 古代 스카만더강 河口는 內陸 멀리 있는 큰 灣으로 흘러나갔다. 二 만은 天然 港口의 모습을 갖추었지만 只今은 古代 以來로 繼續된 堆積物로 인하여 막혀버렸다. 最近 地理學的 硏究結果를 土臺로 古代 트로이아의 海岸線이 元來 어떠했는지 再構成해 본 바, 호메로스가 描寫한 트로이아의 地形이 거의 正確했음이 確認되었다. [4]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國立國語院 標準國語大辭典 트로이
  2. Geography XIII, I, 36, Strabo, tr. H. L. Jones, Loeb Classical Library.
  3. Natural History, V,33, Pliny the Elder, tr. H. Rackham, W. S. Jones and D. E. Eichholz, Loeb Classical Library.
  4. Trojan battlefield reconstru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