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박서양 (醫師)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박서양 (醫師)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박서양, 1908年

박서양 (朴瑞陽, 1885年 9月 30日 ~ 1940年 12月 15日 黃海道 沿岸 出生)은 大韓帝國 의 外科 醫師, 化學者, 敎育者이자 日帝强占期 의 外科 醫師, 敎育者, 獨立運動家 이다. 本名은 蓬朮, 봉주리이다.

白丁 박성춘(朴成春)의 아들로 태어나 醫療宣敎師 에비슨 (Oliver R. Avison, 韓國이름 '어비신'(魚丕信))과 親分이 있던 아버지 박성춘을 통해 제중원의학교에 入學하여 1908年 第1回 卒業生이 되었다. 卒業 後 悟性學校 , 中央學校 , 휘문學校 等에서 化學과 物理 科目을 맡아 學生들을 가르쳤으며, 세브란스 醫學專門學校 와 세브란스 看護員養成所의 敎授로 在職했다. 1917年 滿洲 延吉 로 亡命, 舂精 에서 救世議員 을 運營하고 숭신小學校 를 세워 學生들을 가르치기도 했으며, 獨立運動에 投身하였다. 1935年 學校가 廢校當하자 歸國하여 醫療活動을 하였다. 者는 蓬朮이며, 뒤에 西洋으로 改名하였다.

박서양은 朝鮮 末期 西洋式 外科醫師 [1] 利子, 韓國 最初의 專門學校(專門大學) 敎授의 한 사람이었다. [1] 日本 이름은 우에노 즈이요(植野瑞陽)이다.

生涯 [ 編輯 ]

出生과 家計 [ 編輯 ]

1885年 9月 30日 漢城府 長通房 關自動界 關自動에서 白丁 박성춘과 그의 夫人 조氏(趙氏)의 아들로 태어나 1908年 제중원의학교 를 第1回로 卒業하였다. 그의 집안이 어떻게 朴氏 姓을 얻게 되었는가는 알려지지 않았다. 아버지 박성춘은 白丁 의 賤한 身分으로 태어났지만 基督敎 를 接하고 새로운 사람이 되겠다는 뜻에서 이름을 성춘이라 하였다. 아버지 박성춘은 그뒤 서재필 , 윤치호 , 박정양 , 유길준 , 이상재 等과 함께 獨立協會 萬民共同會 漢城府 地域 年事, 幹部로 活動하였다.

한便 黃海道 沿岸 出身이라는 說로 보아 그의 先代는 黃海道 沿岸에서 살았던 것으로 推定된다. 그의 집안은 白丁 의 집안으로 아버지 박성춘 亦是 1862年 鍾路房 冠者骨 或은 관철동에서 出生하였다. 그後 醫療 宣敎師 에비슨 (Oliver R. Avison, 韓國이름 '어비신'(魚丕信))과 親交를 맺고 基督敎 運動家로도 活動했고, 勝洞敎會 의 長老가 되었으며 나중에는 銀行家가 되었다. 어머니는 조氏로 星氏가 있는 것으로 보아 沒落한 兩班이나 平民層이었던 것으로 推定된다. 박서양 外에도 동생 또는 兄인 박대양 이 있었고, 女同生 박양빈 과 1名의 女同生이 더 있었다. 女同生 박양빈 (또는 박양무)은 예관 신규식 의 조카인 醫師 신필호 와 正式으로 結婚하였다. [2] 醫師이자 開化된 집안이었던 신필호 의 집안에서는 그의 집안이 白丁 家門인 것을 介意치 않았다고 한다.

어머니 조氏의 親庭 父母에 對해서는 알려지지 않았다. 뒤에 어머니 조氏가 死亡하자 아버지 박성춘은 이한갑(李漢甲)과 姜氏(姜氏)의 딸인 이신심(李信心, 1870年生)과 再婚하였다. 繼母에게서는 異腹 兄弟가 存在하는가 與否는 알려지지 않았다.

처음 이름은 蓬朮 또는 鳳주리라 지었다가 成人이 된 뒤에 西洋으로 改名하였다. 그의 어린 時節에 對한 記錄은 未詳이다. 그러나 蓬朮이라는 어릴적 이름과 함께 白丁의 아들인데도 記憶力이 좋고 글工夫를 하려 하여 이를 딱하게 여긴 어느 선비가 自身의 私宿에 無料로 들게 하여 글과 性理學 學問을 가르쳤다 한다.

幼年 時節 [ 編輯 ]

1893年 (高宗 30年) 9月 高宗의 主治醫 에비슨 宣敎師가 장티푸스 에 걸린 아버지 박성춘을 살렸다. 이를 契機로 1894年 아버지 박성춘은 새뮤얼 F. 무어 (Samuel F. Moore, 韓國이름 '모삼율'(毛三栗, 1846∼1906)) 宣敎師를 만나 基督敎 로 改宗하였다. [3] 以後 무어 宣敎師는 白丁과 그 子女를 위한 宣敎, 敎育事業을 始作하였다. 그 結果, 1895年에는 6名의 白丁이 福音을 받아들였다고 한다. 박성춘은 1895年에 弘恩洞敎會 에서 正式으로 基督敎 洗禮를 받았고 1911年 12月에는 韓國 最初로 白丁 出身의 長老 가 되었다. 1894年 박서양은 무어 宣敎師가 設立, 運營하던 鯤당골 敎會 附屬 예수學堂에서 工夫하게 되었다. 이로서 新學問을 받아들이게 되었다. [3] 무어 宣敎師의 配慮로 그는 新學問을 배우고 새로운 世界의 存在를 接하게 되었다. 그 亦是 어려서 洗禮를 받고 基督敎 ( 北長老敎 )로 改宗하였다.

1896年 처음으로 戶籍에 오르게 되었다. 에비슨 等 宣敎師들의 持續的인 努力으로 1896年 2月 白丁(屠漢)들에게도 免賤(免賤)李 實質的으로 許容되어 平民들과 같이 갓[漆笠]을 着用할 수 있었으며, 1896年 9月 白丁들度 戶籍에 오를 수 있게 되었다. 그는 戶籍을 所重히 保管했고 이는 그의 아들과 孫子에게로 이어졌다가 後에 그의 孫子들이 戶籍과 資料들을 一部 公開하고, 延世大學校 에 寄附함으로써 그의 家計와 活動에 對한 것이 一部 알려지게 되었다. 한便 그는 1898年 醫療宣敎師 에비슨과 親分이 있던 아버지 박성춘을 통해 에비슨을 찾아갔고, 그 해부터 濟衆院 에서 허드렛일을 始作하였다.

醫學院 數學科 看護師 活動 [ 編輯 ]

1904年 에비슨 博士의 外科手術을 補助하는 박서양

1899年 (光武 2年) 3月 에비슨이 安息年을 맞아 故國으로 돌아갔고, 그는 그해 1月 京城學堂 에 入學하여 6月 14日 에 卒業하였다. 1899年 (光武 2年) 12月 조안義塾 의 敎師가 되었으며 1900年 9月 에비슨이 安息年을 마치고 歸國하였다. 1900年 아버지 박성춘의 懇曲한 付託으로 그해 10月 濟衆院 醫學校 (後의 세브란스 醫學專門學校 )에 入學하였다. 처음 허드렛일을 시켜 그의 됨됨이를 본 에비슨은 그를 醫學校에 입학시켰다. [4] 1904年 에비슨이 濟衆院 의 後身인 세브란스 病院 을 開業하자 박서양은 朝鮮人 病院 助手가 되어 낮에는 醫療活動을 돕고 밤에는 夜間班 學生이 되어 工夫하였다.

1905年 박성춘과 박서양은 무어를 만나 鯤당골敎會 에 나갔다. [5]

1906年 濟衆院 醫學校 在學 中 홍석후 , 李承晩 , 김규식 , 이교승 等과 함께 황성基督靑年會 에 나가 學生들의 敎育을 맡았다. 特別히 그는 YMCA 學堂의 不學監(副交感)을 맡아보기도 했다. 또한 濟衆院 醫學校 在學 中 윤치오 , 유길준 等의 中央學校 에 招聘되어 化學을 가르쳤으며 以後 낮에는 小學校 敎師로 밤에는 醫學部 學生으로 다녔다. 또한 濟衆院 의 醫師 助手로 活動하면서 醫師의 手術을 補助하였다.

그의 이름은 大韓每日申報(1907年 10月 23日)의 記事에도 나오는데, "難産(難産)의 苦痛을 겪고 있던 서울 合同의 김부인을 濟衆院 醫師 허스터 氏와 醫學生 박서양氏가 소생시켰다"는 것이다. [4]

卒業과 敎師 生活 [ 編輯 ]

파일:1908年 제중원의학교 卒業寫眞.jpg
1908年 6月 13日 濟衆院 醫學校 卒業寫眞의 한 張
(가운데 오른쪽이 박서양)
박서양, 신창희 外 5名에게 醫師免許 授與를 報道한 記事, <皇城新聞> 1908年 6月 7日子

最初로 英語를 배웠으나 英語가 어려웠고, 그의 動機 여섯 名 中에서 세 名이 中間에 自退한 뒤에도 그는 끝까지 남아 있었다고 한다. 1908年 (隆熙 2年) 6月 3日 濟衆院 醫學校 를 卒業하여 第1回 卒業生이 되고 6月 4日 醫師 免許를 받았다.

세브란스 가 처음 제대로 訓鍊받은 醫師를 졸업시킨 것은 1908年 6月 3日이었는데, 첫 卒業式에서는 7名이 卒業했다. 김필순 , 신창희 , 김희영 , 홍종은 , 홍석후 , 駐舷側, 박서양 等 7名이다. [6] 卒業 直後 박서양은 旣存에 出講하던 中央學校 外에 悟性學校 , 中央學校 , 휘문學校 等에서 化學과 物理를 가르쳤으며, 세브란스 醫學專門學校 敎授와 세브란스 看護員養成所 의 敎授로도 在職했다.

韓國 初期 醫師였던 그는 高宗 皇帝의 診療를 보기도 했다. [7] 篤實한 長老敎 信仰人이었던 그는 敎會 일에도 積極的으로 參與하였다. 한便 그가 다니던 弘恩洞敎會 內에서 白丁 出身인 박성춘과 박서양 富者의 役割이 커지자 兩班들과의 葛藤으로 敎會가 分裂되는 어려움을 겪는 原因이 되기도 하였다. [7]

그는 大韓帝國期 朝鮮 初期 外科醫師와 化學敎師였다. [1] 그는 卒業 後 母校에서 解剖學을 가르쳤다. 또한 서울 勝洞敎會 에서 設立한 勝洞學校 에 化學敎師로도 出講하였다. 그는 直接 學生들을 相對로 酸素와 水素를 利用한 公開 化學實驗을 선보이기도 했다. [4] 그러나 學生들은 박서양이 白丁 出身이라는 點을 들어 敎師인 그를 無視했다. 學生들이 그의 身分을 問題 삼아 賤視한 적이 있다. [4] 그러자 그는 나는 白丁이다 라며 내 身分보다 나의 技術을 볼 것을 呼訴했다. 그는 "내 속에 있는 五百年 묵은 白丁의 피를 보지 말고 科學의 피를 보고 배우라"고 했다고 한다. [4]

醫療, 敎育活動과 獨立運動 [ 編輯 ]

1909年 2月 勝洞學校 에 音樂學科를 設置되자 音樂學과 學科長이 되었다. 1909年 9月 콜레라 가 猖獗하자 김필순 , 김희영 , 안상호 , 이석준 , 박용남 , 장기무 , 한경교 , 정윤해 等과 함께 自發的으로 防疫 活動을 하기도 했다. 1910年 (隆熙 4年) 세브란스醫學校 의 化學 擔當 講師가 되어 2學年 化學을 한 週에 6時間 講義하였다.

1913年 세브란스醫學專門學校 의 助敎授로 任命되었다. [1] 이로서 韓國人 最初의 專門學校 敎授의 한 사람이 되었다. [1] 1913年부터는 外科學 敎室의 助敎授와 副敎授 歷任하면서 病院 外科 患者를 진료하였다.

以後 1917年 滿洲 吉林省 延吉 舂精 (龍井)으로 移住해 救世議員(救世醫院) 을 開業하여 醫療 活動을 하고, 敎會를 設立하였다. 이어 그해 6月 30日 숭신小學校 (崇信小學校)를 세워 校長이 되고, 直接 한 班을 맡아 學生들을 敎育했다. 그는 敎師 5名을 招聘하여 첫 半 28名의 學生들을 가르쳤고, 以後 연길현 27個 學校의 聯合運動回에도 積極 參與하였다. 그는 小學校 를 세워 아이들을 가르쳤을 뿐 아니라 獨立軍 들의 醫療도 도맡아 하였다고 한다. 그는 自身의 學校에 身分, 班常의 差別을 받지 않고 學生들을 받아들여 無料로 가르쳤으며 實力이 優秀한 學生들의 中學校, 高等普通學校 進學을 周旋해 주기도 했다.

그러나 1919年 3月 숭신小學校 學生들이 萬歲運動 에 參加했다가 一齊 에 依해 一時 廢校當下期度 했다. 以後에는 獨立運動 團體였던 大韓國民會 에 加入하여 獨立運動에 뛰어들었으며, 大韓國民會 軍司令部에서 軍醫官을 맡기도 했다. 1919年 大韓國民會 군의가 되었고, 1920年 5月 大韓國民會 洪範圖의 大韓獨立軍, 崔振東의 北路獨軍部 等과 聯合 政策 展開함에 따라 滿洲에서 벌어진 義兵 戰鬪에도 從軍하였다. 1921年 숭신小學校의 學級을 增設, 4學級에 男子 25名, 女子 15名의 學生을 追加로 받아들이고 敎師 5名을 더 充員하였다. 1923年 첫 卒業生 28名을 輩出하였다.

1923年 8月 21日 숭신學校 에서 間島 地域의 朝鮮人學校 運營者들과 間島敎育協會 의 組織에 參與하였다. 박서양은 執行委員의 한 사람이 되었고 김영학 을 會長으로 選出하였다. 한便 1924年 2月 金性洙 , 송진우 等의 付託으로 東亞日報 間島支局의 總務 兼 特派 記者 일을 맡아보기도 했다. 1924年 6月 聯合 運動會에 間島 全體 48個 學校가 參與하였고 숭신小學校 에서 이를 主管하였다. 그러나 이때 肝도 總領事가 숭신學校 를 不逞鮮人이 建立한 排日學校라 報告하여 이를 解明, 廢校 危機를 겨우 謀免하기도 했다.

1924年 12月 救世議員 에서 無料 患者 3,315名, 有料 患者 6,416名을 진료하였다. 1927年 學校 維持를 위해 積極 努力하였으나 肝도 日本領事館의 彈壓을 받았고, 1929年에는 學校 存廢 問題로 基金을 마련 숭신小學校 유지회 組織하였다. 그러나 1929年 숭신小學校 學生들도 光州學生運動 에 參與하였다.

歸國과 最後 [ 編輯 ]

1930年 2月 19日 그의 숭신小學校 學生 120餘 名도 光州學生運動 第2次 서울萬歲運動 에 呼應하여 延吉 市內 中心街에서 萬歲를 부르며 示威를 벌이다가 20餘 名이 逮捕되어 連行되었다. 한便 1931年 滿洲事變 發生하고 박서양의 동생 박대양 세브란스聯合醫學專門學校 를 卒業하였다.

1932年 6月 尹奉吉 義擧 事件 直後 그의 숭신小學校 는 不穩思想을 鼓吹한다는 理由로 日本 領事館 警察에 依해 臨時로 廢校당했다가 다시 復校되었으나 1935年 最終 廢校당하고 만다.

日帝의 彈壓으로 숭신學校 가 廢校되고 獨立運動 基盤이 무너지자 1936年 歸國하여 故鄕인 黃海道 沿岸에서 個人 病院을 運營하다가 1940年 持病으로 因해 12月 15日 午前 6時 高陽郡 恩平面 搜索리 165番地 自宅에서 55歲의 나이로 死亡했다.

1940年 創氏改名 이 强要되자 그해 8月 1日 性을 우에노(植野)로 改名하였다. [8]

事後 [ 編輯 ]

事後 恩平面 搜索리(現 서울特別市 恩平區 수색동)의 野山에 安葬되었다가 1960年代 京畿道 高陽郡 都市 開發과 함께 어디론가 移葬하였으나 이장지가 알려지지 않아 結局 實戰되었다.

동생(또는 刑) 박대양 과 그의 아들 두 名도 모두 세브란스 醫學專門學校 에서 受學하였으나 그의 큰아들은 1學年 在學 中 自退하였다. 딸 박인애 는 에비슨 博士의 夫人이 南大門에 세운 세브란스 幼稚園 의 敎師로 推薦되어 1922年 11月 부터 세브란스 幼稚園 의 敎師로 勤務했다.

다른 아들 박경철은 배재고등학교 에서 英語 敎師였고, 曾孫子 박종범 칠레 데사로스 大學 經營學 科 敎授로 活動하였다. 6.25 戰爭 때 그의 家族은 뿔뿔이 흩어졌으나 孫子 박연수 칠레 로 移住하여 定着하였다.

2008年 8月 15日 獨立 運動의 功勞로 大韓民國 政府로부터 建國褒章 이 追敍되었다.

其他 活動 [ 編輯 ]

學生들의 無視와 冷待 [ 編輯 ]

그는 1906年 濟衆院 醫學校 在學 中 황성基督靑年會 의 化學 講師였고, 또한 中央學校 에 招聘되어 化學을 가르쳤으며 낮에는 小學校 敎師로 밤에는 夜間班 學生이었다. 1908年 (隆熙 2年) 6月 3日 濟衆院 醫學校 卒業 後에는 悟性學校 , 中央學校 , 휘문學校 等에서 化學과 物理를 가르쳤으며, 세브란스 醫學專門學校 敎授와 세브란스 看護員養成所 의 敎授로도 在職했다.

1909年 2月 勝洞學校 에 音樂學科를 設置되자 音樂과의 課長이고 1910年 (隆熙 4年) 세브란스醫學校 의 化學 擔當 講師였으며 1913年 세브란스醫學專門學校 의 助敎授로 任命되었다. [1]

그러나 學生들은 박서양이 白丁 出身이라는 點을 들어 敎師인 그를 無視했다. 學生들이 그의 身分을 問題 삼아 賤視한 적이 있다. [4] 그러자 그는 나는 白丁이다 라며 내 身分보다 나의 技術을 볼 것을 呼訴했다. 그는 "내 속에 있는 五百年 묵은 白丁의 피를 보지 말고 科學의 피를 보고 배우라"고 했다고 한다. [4] 敎育者로 活動했지만 平民 出身과 兩班 出身 學生들의 無視와 冷待, 嘲弄은 그를 오래도록 괴롭혔다.

記錄 實戰과 事後 再照明 [ 編輯 ]

박서양의 記錄과 資料는 大部分 사라지거나 流失, 湮滅되었다. 韓日合邦 이 된 後 1917年 突然 滿洲 로 떠나면서 그는 國內에선 잊혀졌다. [4] 그는 延吉에서 구세(救世)病院 을 세우고 숭신(崇信)學校 를 지었다. 韓國人을 위한 診療와 敎育 活動을 했다. 滿洲 地域의 獨立武裝鬪爭團體인 大韓國民會 軍司令部의 軍의(軍醫)로 任命돼 活動하기도 했다. [4]

中國 에서 獨立運動을 한 것은 그의 卒業 動機인 김필순 이나 駐舷側 , 신창희 도 마찬가지였다. 그러나 그가 滿洲 로 떠난 뒤 그의 行跡은 但只 日帝가 남긴 軍(軍) 機密書類에만 남아 있었다. [4] 잊혀졌던 박서양의 獨立運動 記錄은 박형우 延世大學校 醫大 敎授가 發掘했다. 이 記錄으로 그는 숨진 지 68年이 지난 2008年에 政府로부터 ' 建國褒章 '을 받았다. 그의 뒷얘기는 칠레 로 移民 간 그의 孫子(74)가 2005年 歸國하면서 알려졌다. [4] 박서양에 對한 資料와 記錄들은 2005年 2008年 以後 그의 孫子들과 後孫들이 一部 公開함으로써 비로소 다시 알려지게 되었다.

家族 關係 [ 編輯 ]

박서양은 3男 3女를 두었다. 그의 누이 박양빈 (또는 박양무)은 丹齋 신채호 의 一族이자 예관 신규식 의 조카인 醫師 신필호 와 結婚하였다. [9] 신필호 亦是 세브란스醫學專門學校 出身으로 그의 제중원의학교 ( 세브란스醫學專門學校 로 改名되었다.)의 後輩였다. 박서양은 1897年 警 慶州 李氏인 이성옥 의 딸과 結婚하여 3男 3女를 두었다.

박서양이 登場하는 作品 [ 編輯 ]

그를 모델로 한 2010年 SBS 드라마 濟衆院 이 放送되었다. [11] 2013年 5月 31日 KBS 1TV KBS 파노라마에서 다루었다.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민경배, 《韓國敎會의 社會史》 (연세대학교 出版部, 2008) 126페이지
  2. 신필호 는 그의 學校 後輩로 세브란스 醫學 專門學校 第4回 卒業生이기도 했다.
  3. (43) 基督敎와 社會變化 <4>身分打破
  4. [김동섭의 X코리언] 朝鮮 첫 西洋式 病院 '濟衆院' 醫師 된 박서양 朝鮮日報 2010.02.16
  5. 박은배, 《하나님의 呼吸》 (새로운사람들, 2009) 105페이지
  6. 박성래 , 《人物科學史》 (冊과함께, 2011) 228페이지
  7. 박은배, 《하나님의 呼吸》 (새로운사람들, 2009) 146페이지
  8. 大韓醫師學會, 《의사학 第15卷 第2號:通卷 第29號 (2006年 12月號》 (大韓醫師學會, 2006) 248페이지
  9. "失敗한 人間...아무도 내 祭祀 지내지 말라" : 獨立基地 建設者-臨時政府 '創業者'의 最後
  10. 서울 中區 인현동에서 死亡
  11. 濟衆院 ‘皇政’의 實存人物 ‘박서양’을 아십니까? 週刊東亞 2010年 1月 27日

參考資料 [ 編輯 ]

關聯書籍 [ 編輯 ]

  • 박형우, 《韓國近代 西洋醫學 敎育史》(청년의사, 2008)
  • 박은배, 《하나님의 呼吸》 (새로운사람들, 2009)
  • 민경배, 《韓國敎會의 社會史》 (연세대학교 出版部, 2008)
  • 김학은, 《루이스 헨리 세브란스 그의 生涯와 時代》 (연세대학교 出版部, 2008)
  • 서정민, 《濟衆院과 初期 韓國基督敎》 (연세대학교 出版部, 2003)
  • 박연아, 《濟衆院》 (圖書出版 자람,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