大韓民國 아이스하키 國家代表팀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대한민국 大韓民國
協會 大韓아이스하키協會
監督 이창영
코치 손호승
오현호
主張 김상욱
最多 出戰者 김기성 (136)
最多 得點者 김기성 (71)
最多 포인트 김기성 (141)
IIHF 코드 KOR
IIHF 랭킹 19位
最高 IIHF 랭킹 16位 (2018年)
最低 IIHF 랭킹 33位 (2010年)
팀 컬러               
유니폼
Team colours
Team colours
Team colours
Team colours
Team colours
Team colours
Team colours
Team colours
遠征 컬러
첫 國際 競技
스페인 스페인 7?1 大韓民國 대한민국
( 1979年 3月 16日 - 스페인 바르셀로나 )
最多 點數次 勝利
대한민국 大韓民國 44?0 홍콩 홍콩
( 1987年 3月 14日 - 오스트레일리아 퍼스 )
最多 點數差 敗北
대한민국 大韓民國 0?27 라트비아 라트비아
( 1993年 3月 18日 - 슬로베니아 블레트 )
世界 選手權 大會
出戰 回數 26 ( 1979年 첫 出戰 )
最高 成跡 16位( 2018年 )
올림픽
出戰 回數 1 ( 2018年 첫 出戰 )
通算 戰績 (W?L?T)
94?166?14

大韓民國 아이스하키 國家代表팀 大韓民國 을 代表하는 아이스하키 國家代表팀으로 大韓아이스하키協會 에 依해 運營되고 있다. 世界 選手權 大會 에서는 2009年 디비전 2에서 優勝하여 2010年 以後 2部리그 格인 디비전 1에서 競技를 펼치고 있다.

2017年 4月 우크라이나 에서 열린 世界 選手權 大會 디비전1 A그룹에서 오스트리아에 이어 2位를 차지해 톱 디비전人 챔피언십으로 昇格하였다. 2018年 2月에는 史上 처음으로 平昌에서 열린 2018 冬季 올림픽 에 出戰하였다. 2018年 5月에는 덴마크 에서 열린 챔피언십에서 7戰 全敗로 最下位를 記錄하며 2部리그인 디비전1 A그룹으로 降等되었다.

歷史 [ 編輯 ]

韓國 에 아이스하키가 導入된 것은 1920年代 로 알려져 있으나, 世界 아이스하키 選手權 大會 에 正式으로 代表팀을 構成하여 처음 出戰한 것은 1970年代 이다. 1979年 스페인 에서 열린 世界 選手權 C풀(現 디비전 2) 大會에 參加하였고, 첫 競技 相對는 개최국 스페인 으로 7對 1로 졌다. 그러나 다음 競技 相對 英國 에는 9代 6으로 勝利를 거두었다. 이 大會에서 大韓民國 代表팀은 C풀에서 7位를 하였고, 世界 랭킹 은 25位로 記錄되었다. 以後 世界 랭킹 25位圈을 維持하다가, 1990年代 東유럽 舊蘇聯 地域의 國家가 늘어나면서 世界 랭킹 30位 內外를 오갔다. 世界 選手權에서는 2001年 3部리그 格인 디비전 2 大會에서 優勝하여 史上 처음으로 2部리그 格인 디비전 1로 昇格하였다. 그러나 다음해 2002年 디비전 1 大會에서 最下位로 밀려 다시 디비전 2로 降等당했다. 2009年 다시 디비전 2 大會에서 優勝하여, 디비전 1로 昇格하였고 2010年 디비전 1 大會 B組에서 5位를 하여 思想 처음으로 디비전 1에 繼續 殘留하게 되었다. 그러나 2010年 冬季 올림픽 豫選戰에 不參하여 올림픽 랭킹 點數를 獲得하지 못하여 2010年 世界 랭킹은 33位로 下落하였다. 2011年 에도 디비전 1大會 A組에서 3位로 디비전 1大會에 殘留했으며, 2012年 부터 國際 아이스하키 聯盟 이 世界選手權 等級을 再調整함에 따라 大韓民國 은 디비전1B 그룹에 屬했는데 여기서 폴란드 , 네덜란드 , 오스트레일리아 , 루마니아 , 리투아니아 를 모두 꺾고 5戰全勝으로 優勝을 차지해 上位段階人 디비전1A로 昇格되었다. 이로써 大韓民國은 다시 最上位디비전인 챔피언십에 바로 直行할 수 있는 機會를 얻게 되었다. 이에 따라 2013年 世界 아이스하키 選手權 大會 디비전1A에서 可能性은 稀薄하지만 準優勝 以上의 成跡을 거둘경우 日本 , 카자흐스탄 에 이어 아시아國家로는 세 番째로 챔피언십으로의 昇格度 可能할 수 있었다. 하지만 客觀的인 戰力上 當時 디비전1A 그룹에서 最下位 水準이었기에 一旦 最下位圈에서 脫皮하여 디비전1A 그룹 殘留가 目標였으며, 2013年 世界 아이스하키 選手權 大會 디비전1A 그룹에서 英國 , 헝가리 를 相對로 勝利를 거두고, 예전에는 壓倒的인 差異로 敗하는 境遇가 많았던 日本을 相對로는 1漸次로만 지는 等 過去에 비해 훨씬 進步된 成跡을 거두며 5位를 하여 디비전1A 그룹 殘留 目標를 達成했다. 그리고 2014年 冬季 올림픽 豫選戰에 參加하여, 英國, 루마니아, 日本과 한 組가 되어 競技를 펼쳤으며, 여기서 2位를 하여 올림픽 進出에는 失敗했으나, 올림픽 랭킹 포인트를 追加하였으며, 最終的으로 2014年 2月 世界랭킹은 歷代 最高인 23位까지 上昇하였다.

아직 올림픽에는 出戰한적이 없고 2018年 平昌 冬季 올림픽 進出을 노리고 있는데 2006年 토리노 冬季 올림픽 을 마지막으로 개최국에 對한 自動出戰權이 廢止되어 開催國道 豫選을 거쳐 本選에 오르도록 하고 있다. 캐나다 러시아 의 境遇 챔피언십에서도 上位圈에 屬하는 强豪들이라 아이스하키 種目 出戰에 問題가 없었지만 大韓民國의 境遇 12個팀에만 주어지는 本選티켓을 獲得하는 것이 쉽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大韓아이스하키協會 大韓體育會 國際 아이스하키 聯盟 에 개최국으로서의 當爲性을 力說했고, 이에 國際 아이스하키 聯盟 에서는 大韓民國이 2017年까지 世界랭킹 18位以內에 들境遇 特別케이스를 適用해 개최국資格으로 本選티켓을 주겠다고 約束했다. 大韓民國 代表팀은 最近 外國人 選手들의 歸化 , 大韓民國 選手의 外國 리그 進出 等을 통해 世界랭킹을 急激히 상승시키기 爲한 努力을 하고 있다.

大會 記錄 [ 編輯 ]

올림픽 [ 編輯 ]

  • 벨기에 1920 — 國家代表팀 創設 以前
  • 프랑스 1924 — 國家代表팀 創設 以前
  • 스위스 1928 — 國家代表팀 創設 以前
  • 미국 1932 — 國家代表팀 創設 以前
  • 독일 1936 — 國家代表팀 創設 以前
  • 스위스 1948 — 國家代表팀 創設 以前
  • 노르웨이 1952 — 國家代表팀 創設 以前
  • 이탈리아 1956 — 國家代表팀 創設 以前
  • 미국 1960 — 國家代表팀 創設 以前
  • 오스트리아 1964 — 國家代表팀 創設 以前
  • 프랑스 1968 — 國家代表팀 創設 以前
  • 일본 1972 — 國家代表팀 創設 以前
  • 오스트리아 1976 — 國家代表팀 創設 以前
  • 미국 1980 — 豫選 脫落
  •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1984 — 豫選 脫落
  • 캐나다 1988 — 豫選 脫落
  • 프랑스 1992 — 豫選 脫落
  • 노르웨이 1994 — 豫選 脫落
  • 일본 1998 — 豫選 脫落
  • 미국 2002 — 豫選 脫落
  • 이탈리아 2006 — 豫選 脫落
  • 캐나다 2010 — 豫選 脫落
  • 러시아 2014 — 豫選 脫落
  • 대한민국 2018 — 12位
  • 중화인민공화국 2022 — 豫選 脫落

世界 選手權 大會 [ 編輯 ]

  • 2014年 世界 아이스하키 選手權 大會 디비전 I A - 6位 (5戰 全敗) - 디비전 I B그룹으로 降等
  • 2015年 世界 아이스하키 選手權 大會 디비전 I B - 1位 (4勝 1敗) - 디비전 I A그룹으로 昇格
  • 2016年 世界 아이스하키 選手權 大會 디비전 I A - 4位 (2勝 3敗 1延長牌) - 디비전 I A그룹 殘留
  • 2017年 世界 아이스하키 選手權 大會 디비전 I A - 2位 (4勝 1敗 1延長勝) - 톱 디비전( 월드 챔피언십 )으로 昇格
  • 2018年 世界 아이스하키 選手權 大會 - 챔피언십 - 그룹 B 8位 (7戰 全敗) - 디비전 I A 그룹으로 降等
  • 2019年 世界 아이스하키 選手權 大會 - 디비전 I A - 3位 (3勝 2敗) - 디비전 I A 그룹 殘留
  • 2022年 世界 아이스하키 選手權 大會 - 디비전 I A - 4位 (1勝 3敗) - 디비전 I A 그룹 殘留
  • 2023年 世界 아이스하키 選手權 大會 - 디비전 I A - 4位 (2勝 3敗) - 디비전 I A 그룹 殘留
  • 2024年 世界 아이스하키 選手權 大會 - 디비전 I A - 6位 (1勝 4敗) - 디비전 I B 그룹으로 降等

아시안 게임 [ 編輯 ]

아시안 게임 記錄
鳶島 結果 順位 京畿 GF GA
일본 1986年 銅메달 3位 6 2 4 11 49
일본 1990年 銅메달 3位 3 1 2 15 23
중국 1996年 4位 4位 3 0 3 4 21
대한민국 1999年 4位 4位 4 1 3 18 33
일본 2003年 4位 4位 4 1 3 28 29
중국 2007年 銅메달 3位 5 3 2 31 15
카자흐스탄 2011年 銅메달 3位 4 2 2 35 16
일본 2017年 銀메달 2位 3 2 1 14 5
合計 8回 出戰 (7/8) 33 12 20 156 191

選手 記錄 [ 編輯 ]

最多 出戰 記錄
# 聲明 鳶島 出張 어시스트 포인트
1 김기성 2005? 133 71 40 141
2 이돈구 2009? 130 14 25 39
3 김원중 2008?2019 121 24 17 41
4 김상욱 2011? 119 24 70 94
5 조민호 2008?2021 117 19 33 52
6 박우상 2005?2018 112 19 27 46
7 신상우 2008? 102 18 21 39
8 신상훈 2013? 99 32 27 49
9 서상원 1991?2004 86 30 14 44
10 심의식 1990?2004 83 38 25 63
最多 골 記錄
# 聲明 鳶島 出張 어시스트 포인트
1 김기성 2005? 133 71 40 141
2 심의식 1990?2004 83 38 25 63
3 송동환 1999?2011 46 32 24 56
신상훈 2013? 99 32 27 49
5 서상원 1991?2004 86 30 14 44
6 마이클 스위프트 2014?2018 73 28 19 47
7 김상욱 2011? 119 24 70 94
김원중 2008?2019 121 24 17 41
9 신우삼 1991?2002 70 23 15 38
10 윤성엽 1986?1990 22 21 22 43
김한성 2001?2010 44 21 11 32
한중현 1986?1990 15 21 9 30
最多 포인트 記錄
# 聲明 鳶島 出張 어시스트 포인트
1 김기성 2005? 133 71 40 141
2 김상욱 2011? 119 24 70 94
3 심의식 1990?2004 83 38 25 63
4 송동환 1999?2011 46 32 24 56
5 조민호 2008?2021 117 19 33 52
6 신상훈 2013? 99 32 27 49
7 마이클 스위프트 2014?2018 73 28 19 47
8 박우상 2005?2018 112 19 27 46
9 서상원 1991?2004 86 30 14 44
10 윤성엽 1986?1990 22 21 22 43

같이 보기 [ 編輯 ]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