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氣候危機로 日常化된 災難… 行動하는 自願奉仕가 社會를 바꾼다|동아일보

氣候危機로 日常化된 災難… 行動하는 自願奉仕가 社會를 바꾼다

  • 東亞日報
  • 入力 2022年 11月 30日 03時 00分


코멘트

[나눔 다시 希望으로]
韓國中央自願奉仕센터
自願奉仕에 對한 炭素中立적 接近
업사이클링, 홈가드닝, 資源循環 等 日常-社會를 바꾸는 運動 자리매김

‘자원순환의 날’ 활동 기념촬영 중인 원더플. 자원봉사단체 원더플 제공
‘資源循環의 날’ 活動 記念撮影 中인 願더플. 自願奉仕團體 願더플 提供
大規模 災難災害 現場에는 언제나 自願奉仕者가 있다. 올해 發生한 山불 被害 現場과 水害 現場도 例外는 아니었다. 被害 住民의 옆을 지키며 食事와 生必品을 準備하는 것은 勿論이고 不安과 恐怖로 얼룩진 罹災民들의 마음을 보듬고 構造 및 復舊 人力들의 食事와 間食을 마련하는 것도 自願奉仕者였다. 氣候變化로 인한 災難災害가 더욱 頻繁하고 큰 規模로 發生하고 있다. 韓國 亦是 더 異常 氣候變化로부터 安全한 地域이 아니며, 그로 인해 發生 可能한 다양한 危機와 社會問題가 우리에게 當面했다.

氣候危機, 그리고 自願奉仕


초등학생 대상 환경교육 중인 봉사자. 김해시자원봉사센터 제공
初等學生 對象 環境敎育 中인 奉仕者. 金海市自願奉仕센터 提供
自願奉仕는 오랜 期間 互惠性에 基盤한 어려운 이웃을 돕는 善한 活動으로만 認識되어 왔다. 그런데 最近 自願奉仕가 日常과 社會를 바꾸는 ‘運動’으로 자리매김하면서 認識도 바뀌고 있다. 自願奉仕는 結局 共同體의 어려움을 解決하는 일이다. 스스로 問題를 認識하고 議題를 定해 行動함으로써 사람들은 자연스럽게 社會問題 解決의 過程에 參與하게 된다. 社會問題 解決의 主體로서 발돋움한 自願奉仕는 汎地球的 問題인 氣候危機에도 큰 關心을 두기 始作했다. 氣候變化로 인한 새로운 危險과 社會問題에 對處·豫防하기 爲해 全國의 自願奉仕센터와 수많은 自願奉仕者가 팔을 걷어붙이고 나선 것이다.

全國 自願奉仕센터, 炭素中立 實現에 앞장


도토리 묘목을 제출하는 봉사자. 경산시자원봉사센터 제공
도토리 苗木을 提出하는 奉仕者. 慶山市自願奉仕센터 提供
第51回 ‘地球의 날’을 맞아 全國 246個 自願奉仕센터는 氣候危機 對應 自願奉仕 캠페인 ‘안녕! 함께할게’를 선보였다. 캠페인의 主要 方向은 旣存 自願奉仕 領域에 對한 炭素中立적 觀點의 再構造化, 그리고 市民의 日常的 自願奉仕 參與를 통한 炭素中立 關聯 어젠다 形成과 社會變化였다. 이를 위해 自願奉仕센터에서는 炭素中立 自願奉仕活動에 關한 아이디어와 事例를 市民과 함께 共有하고, 自願奉仕活動 現場의 變化를 꾀했다. 自願奉仕의 傳統的 領域 中 하나인 도시락 配達 活動 等에 多回用器를 使用하고, 活動 過程에서 使用되는 一回用品 使用量을 줄여나가는 努力을 기울였다.

全國 156萬名… 炭素中立 自願奉仕 參與


韓國中央自願奉仕센터가 實施한 現況調査에 따르면 2021年 1月부터 2022年 10月 末까지 炭素中立 自願奉仕活動에 參與한 自願奉仕者의 數는 總 156萬 名으로 集計됐다. 特히 캠페인 初期 全體 活動 中 71%를 차지했던 環境淨化活動의 比重은 2022年 48%로 줄어든 反面 親環境 製品 普及, 資源循環, 植木·植栽, 環境敎育 等의 活動은 前年 對比 10% 內外로 늘어났다. 環境淨化와 保護 中心의 活動에서 溫室가스 減縮을 中心으로 한 活動 分野의 擴張이 일어난 것이다.

炭素中立을 위한 自願奉仕 現場의 努力


폐현수막 업사이클링 가방을 제작 중인 봉사자. 대구북구자원봉사센터 제공
肺懸垂幕 업사이클링 가방을 製作 中인 奉仕者. 大邱北歐自願奉仕센터 提供
自願奉仕團體 願더플이 再活用品과 化粧紙, 從量制封套를 交換해주는 活動을 통해 收去하는 종이팩은 한 週에 5000餘 個, 透明 페트甁은 500kg에 達한다. 이들이 收去한 資源은 부림製紙와 블랙야크를 통해 再生 化粧紙, 衣類로 生産된다. 團體 關係者는 “코로나19로 寂寞했던 마을이 資源循環 活動을 하며 서로의 安否를 묻는 等 活氣를 찾아가고 있다”며 “앞으로 冠岳區 모든 棟에서 施行하는 것을 目標로 하고 있다”고 傳했다.

慶山市自願奉仕센터는 大型山불로 인해 被害를 입은 地域의 山林을 復舊하기 위해 홈가드닝 캠페인을 進行했다. 發芽가 잘되는 도토리의 特性을 活用해 進行된 活動에는 慶山 市民뿐만 아니라 隣接 地域 市民들의 參與도 이어졌다. 센터 關係者는 “市民들의 손에서 5個月間 키워진 4000餘 本意 도토리 苗木은 自願奉仕센터에서 마련한 街式場에서 專門奉仕團의 管理下에 來年 봄, 山불 被害 地域으로 傳達될 豫定이다”고 말했다.

폐현수막 업사이클링 가방을 나눠주는 봉사자. 철원군자원봉사센터 제공
肺懸垂幕 업사이클링 가방을 나눠주는 奉仕者. 鐵原郡自願奉仕센터 提供
鐵原郡에서는 마스크 製作 活動에 參與했던 奉仕團이 才能을 살려 肺懸垂幕을 活用한 에코백 製作·普及 活動에 나섰다. 特히 업사이클링 製品이 一回性 使用에 그치지 않도록 傳統市場 商人會와 連繫, 場바구니 回收·備置함을 마련해 運營中이다. 活動에 參與한 奉仕者는 “市民들이 世上에 單 하나뿐인 디자인의 場바구니라며 좋아해주실 때, 그리고 우리가 만든 에코백이 市民들 손에 들려 있는 모습을 봤을 때 가슴이 벅차오르는 感情과 함께 기쁨을 느낀다”고 傳했다.

“社會的 變化는 個人의 連帶와 實踐에서 비롯”


권미영 韓國中央自願奉仕센터腸은 “社會的 變化는 늘 個人의 連帶와 實踐으로부터 비롯되었다”며 “炭素中立이라는 目標 亦是 自願奉仕者들의 行動을 통해 이룰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共同體의 安寧을 위해 나서주신 自願奉仕者들께 特別히 感謝드리며, 自願奉仕센터 亦是 奉仕者분들의 支援을 위해 最善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日常的 自願奉仕 參與 위한 汎國民 플로깅 캠페인 推進


올해 韓國中央自願奉仕센터는 市民들이 손쉽게 參與할 수 있는 汎國民 플로깅 캠페인의 推進을 宣言했다. 市民의 接近性을 높이기 위해 社團法人 利他서울에서 서비스 中인 ‘데이터플로깅 시스템’(eco1365.kr)을 利用하는 것은 勿論이고 地域別 觀光·歷史·文化 名所와 結合한 플로깅 코스를 開發해 運營中이다.

#저는 幸福을 줍는 사람입니다 / 최상규·釜山


플로깅 활동 중인 최상규 씨. 최상규 씨 제공
플로깅 活動 中인 최상규 氏. 최상규 氏 提供
“15年을 俳優가 되기 위해 달려오던 날, 삶이 더 以上 幸福하지 않단 생각이 들었어요. 人生의 새로운 方向을 苦悶하고 사람들과 함께 幸福해지고 싶단 생각이 들었을 때, 찾은 方法이 奉仕活動, 그리고 플로깅이었습니다. 總 두 番의 100日 플로깅 챌린지를 통해 500名의 사람들과 쓰레기를 주웠는데요. 그분들 中 한 분이 했던 말이 가장 記憶에 남아요. ‘우리는 쓰레기를 줍는 게 아니야, 남이 버린 幸福을 줍는 거지.’”

#釜山 갈매기 플로깅 코스 / 심승훈·釜山


“大韓民國 플로깅 코스 公募展에 參與하면서 單純히 플로깅을 통해 ‘내가 사는 洞네를 깨끗하게 만들자’라는 次元을 넘어서서 地域에 얽힌 歷史와 文化, 社會的 背景 等에 對해 仔細히 알아보게 되었습니다. 제가 出品한 釜山 갈매기 플로깅 코스에는 볼거리, 먹을거리, 치울거리가 한가득 담겨 있는데요. 제가 1年間 모은 데이터로 構成한 코스를 많은 분들이 經驗하며 즐거운 追憶과 함께 아름다운 自然을 지킨다는 自負心을 갖게 되길 바랍니다.”

태現地 記者 nadi11@donga.com
황효진 記者 herald99@donga.com
#나눔 다시 希望으로 #나눔 #寄附 #希望 #韓國中央自願奉仕센터 #自願奉仕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