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洞네]評論家 金允植敎授 告別講演錄 專門 -3|東亞日報

[글洞네]評論家 金允植敎授 告別講演錄 專門 -3

  • 入力 2001年 9月 13日 16時 59分


5. 硏究者의 자리와 표현자의 思想 20世紀가 저물어가는 마지막 해인 1999年 저는 한 卷의, 제겐 제법 뜻깊은 冊을 낸 바 있습니다. 『韓國近代文學硏究方法入門』(서울대학교출판부)李 그것. 제 專攻이 <한국 근대문학="">인 만큼 그것에 對한 硏究方法 入門이기에, 境遇에 따라서는 第 出發點인 『한국근대문예비평사연구』 以來의 總決算이라 할 만한 것입니다. 며칠 밤을 새워가며 이 冊의 머리말을 [現場性으로서의 方法]이라 하여 썼는데, 그 內容은 大綱 이러합니다. "『發見으로서의 한국현대문학사』(서울대출판부, 1997)는 90年度 以來 제가 大學院에서 講義한 內容을 나름대로 整理한 것입니다. <역사의 끝장="">을 보아 버린 場面에서 再正立해야 하는 마당이기에 무엇보다 제 自身이 不安하고도 虛荒해진 느낌을 감추기 어려웠지요. 土臺 還元主義(마르크스주의 方法論)를 비롯, 無數한 還元主義式 方法論이 世界 認識의 基礎로 되어 있던 狀況에 그 동안 익숙해졌던 제 自身의 굳은 體質이 더 以上 堪當할 수 없는 地境에 이르렀던 만큼 이 事實을 나름대로 드러낼 必要가 있었던 것입니다. <발견>이라는 말이 지닌 특별한 意味가 주어진 것은 이러한 事情에서 말미암았던 것입니다. 그렇지만 <발견>만 해 놓으면 그만인가 하는 剛한 울림이 이番엔 제 內面에서 움트기 始作하지 않겠습니까. 이 울림은 제가 堪當하기엔 한層 아득한 것이었지요. 外部에서 주어진 것으로서의 <역사의 끝장=""> 儀式을 대면하고 唐慌하긴 했지만 거기에는 나름대로 對應할 수 있었는데 <외부에는 외부의="" 것으로="">의 方法이 그것입니다. 그러나 이番의 唐慌함은 이와 性格이 다른 것이었습니다. 內部의 목소리에 對應해야 함이란 實로 아득했는데, 왜냐하면 內部의 목소리란 그에 對應되는 外部가 없기 때문이지요. 文字를 쓰자면 <비대칭성>의 狀況이었던 것. 內部란 그러니까 內部로 突破할 수밖에 없는 것. 話頭(話頭)일 수밖에 없는 理由가 이로써 말미암습니다. 90年度 以來 제가 그동안 堪當해 온 이런 저런 <발견>이란, 다시 말해 <발견으로서의 한국현대문학사="">란, 實狀은 <방법으로서의 한국현대문학사="">였던 것입니다. 여기서 제가 말하는 <방법>이란 內面에서 움트는 그 무엇이지요. 제가 人間 人間의 圖式을 내세우기도 하고, 作品論 → 作家論 → 文學史 → 作品論 → 作家論 → 文學史의 圓環 運動을 問題삼기도 했던 것은 方法의 摸索에 다름 아니었습니다. 이 內面의 課題를 方法이라 했을 때 이番엔 이를 조금 具體化시킬 必要가 있었습니다. 話頭 속의 課題로 處理해 버린다면 方法 自體가 無意味해지기에 氣를 쓰고 여기에서 한 발자국 물러서지 않으면 안되었던 것. 硏究者인 저로서는 이 대목이 絶體絶命의 境地라고나 할까요. 方法이 그냥 方法일 수 없고, 뭔가 토가 달린 方法이어야 했던 것이지요. 方法論이 아니라 그냥 方法이라 한 것은 이와 無關하지 않습니다. 곧 方法이란 <현장성>利子 <사건성>이었던 것. 굳이 이를 現場性 (1)·(2)·(3)으로 나눈 것은 內面에 陷沒되기 直前에서 몸을 건져 올리기 위한 몸부림의 一種이었지요. 作品論/作家論/文學史에 各各 現場性을 對應시키는 일의 無意味함을 부추기는 것도 內面의 목소리였고, 거기서 脫出하라고 외치는 것도 內面의 목소리였던 것. 話頭이되 話頭일 수 없음, 이를 方法이라 부르겠습니다. 표현자의 話頭와 硏究者의 話頭가 各各 다르면서도 불이(不二)라는 認識의 場(場)의 摸索, 바로 여기에 제가 가까스로 이르고 있습니다." 只今 다시 읽어보니, 아직 덜 익은 데가 눈에 띄긴 하나, 제 率直한 心境만은 그대로 보입니다. 要컨대 硏究者의 處地가 이를 수 있는 窮極的인 자리를 엿보고자 한 셈입니다. 多少 어수선하긴 하나, 이 冊에서 제가 내세우고자 한 것은 다음 세 가지 範疇에 對한 울타리稚氣와 同時에 墓지기에서의 脫出 意志의 表明 및 方法에 關해서였지요. 세 가지 範疇란 무엇인가. 여기에는 조금 說明이 없을 수 없습니다. 제겐 매우 重要한 問題이니까요. 書頭에서 暫時 말씀 드렸듯, 第 出發點은 『한국근대문예비평사연구』였는 바, 이는 近代 文學에 對한 學問的 領域이지요. 學問(Wissenschaft, science)이란 무엇인가를 묻고, 이를 國文學에서 自意識의 一種으로 받아들인 最初의 韓國人이 陶南(趙潤濟) 先生임은 모두가 아는 事實. 學問이란 近代的 學問이라 믿고, 韓國 文學을 이로써 把握하고자 한 陶南의 基本 立場은 <국민국가>의 理念이었던 것. <국어(국가어)>만이 自國 文學이라는 基本項에서 出發, 文學을 <정신과학>(오늘의 解析學)의 一種으로 設定함으로써 陶南은 學問(科學)에 基礎를 놓았지요. 漠然한 方法 以前의 民族主義와는 다른, 新民族主義로서의 國文學의 近代的 學問火가 그 기틀을 세운 셈. 資本制 生産樣式이라는, 近代의 또다른 側面인 階級 思想이 近代的 學問의 하나임도 모두가 아는 일. 카프 文學이 이에 該當되는 것. 그 어느 쪽이든 近代的 學問으로 成立되기 위한 基本項은 客觀性이겠지요. 그것은 적어도 嚴密한 資料 檢討에서 決코 벗어날 수 없는 領域입니다. 제가 오랫동안 이 쪽에 몸을 담고 努力이랍시고 해왔지요. 若干의 열매로 『廉想涉 硏究』(1987), 『李箱文學 텍스트 硏究』(1998) 等을 들 수 있을지 모릅니다. 두 番째 제 領域은, 앞에서도 말했듯, 歷史의 끝장 以後의 課題에 關해서입니다. 徵候 批評이 그것인데, 이는 墓지기의 身世에서 決코 벗어날 수 없었지요. 學問 亦是 그러하긴 해도 徵候 批評은 그 强度랄까, 純度(純度)가 極端的이었던 까닭입니다. 잘 說明할 수는 없으나, 숨이 막힐 地境이었다고나 할까요. 이런 저를 어떤 文學者는 嘲弄이라도 하듯, 惡魔 메피스토펠레스의 입을 빌어 <모든 이론은="" 회색이고="" 생명의="" 황금="" 나무만이="" 녹색이다="">(『파우스트』)라고 하지 않았겠는가. 이에 한술 더 뜨듯, 『法哲學 序說』의 著者 헤겔은 이렇게 說破해 놓지 않았던가. <회색에 회색을="" 거듭="" 칠해도="" 생명의="" 녹색은="" 되살아나지="" 않으며="" 단지="" 사변적으로="" 될="" 뿐="">이라고. 이 늪에서 벗어나는 方道는 果然 없는 것일까. 墓지기에서 벗어나기, 미라에게 내몸을 빌어주기에서 벗어나, 내 피와 숨결, 몸냄새를 그대로 드러낼 수 있는 <나만의 것="">의 領域 開拓은 果然 不可能한가. 『韓國近代文學 硏究方法論 入門』은 바로 이 물음에 對한 나름대로의 解答 찾기에 더도 덜도 아니었던 것. <비평가>와 <문학사가>의 對談으로 一貫된 이 冊의 마지막腸이 [話頭로서의 표현자와 硏究者]로 되어 있거니와 硏究者의 몫과 批評家의 몫을 條目條目 따져가다 보면 學問으로서의 生命인 論理에서 벗어난 部分이 있을 수 있다는 것. 徵候 探索 및 그 保存으로서의 徵候(現場) 批評에서도, 그 徵候에서 벗어난 剩餘 部分이 있을 수 있다는 것. 이 두 剩餘 部分의 發見이야말로 墓지기에서 벗어나는 한 가지 길이 아닐 것인가. 제가 이를 두고 이름붙인 것이 바로 硏究者와 나란히 선 <표현자>의 槪念입니다. 그것은 窮極的으로는 硏究 및 批評의 自立的 根據를 묻는 것이지요. <소멸의 장소=""> 찾기라고나 할까요. 이를 조금 그대로 따오면 안될까요. 紀行文을 僞裝한 『머나먼 울림, 鮮姸한 헛것』(2001)의 世界 꿈꾸기가 그것. 이 둘이 마주쳐 公明하기가 그것. <울림>과 <헛것>이 서로 스며들기가 그것. 이 <소멸의 장소="">에 이르기가 그것. 이를 조금 옮겨다 놓고 싶습니다. "批評家: 先生의 話頭란, 표현자의 그것이자 硏究者의 그것이 아닐 수 없지요. 生뜨 빗토와르 山기슭에 오두幕을 짓고, 광주리 속의 謝過를 들여다 보며 <사과가 되라!="">고 無數히 외치며 캔버스 앞에 앉아 있던 초라한 畫家 세잔느模樣 네모진 冊床 앞에 앉아 서울運動場보다 넓고 아득한 原稿紙를 向해 <표현자가 되자!="">고 無數히 외치고 있는 先生의 목소리가 鮮然합니다. 文學史가: 話頭라? 그 쪽에서 제 內面의 목소리까지 듣고 있는 마당이기에 이젠 어떤 巧妙한 辨明도 別 所用이 없겠네요. 話頭이기에 그러합니다. 紅燐(弘忍)의 首弟子 身數(神秀)와 육조 慧能(慧能) 사이에 벌어진 禪問答에 어찌 이르겠습니까. 돈法(頓法)이냐 點法(漸法)이냐를 問題삼기에 어찌 이르겠습니까. 話頭란, <점돈(漸頓)>을 함께 넘어서는 것인지도 모르니까. 저 같은 硏究者에 있어 話頭란 實狀 따로 있습니다. [廣場](1960)의 作家 최인훈의 『話頭』(1994)가 그것이지요. '이 小說의 部分들은 大部分 事實에 根據하지만 그 部分들의 元來의 時間的·空間的 位置는 小說 속에서는 반드시 原形과 一致하지 않는다. 卽 이 小說은 小說이다.'([독자에게])이렇게 宣言한 代作 아닙니까. 10年 沈默 끝에 솟아오른 것. 어째서 題目을 <화두>라 했을까. 표현자로서의 최인훈의 現場性(1)·(2)·(3)이라는 뜻이 아닐 수 없지요. <갈 데까지="" 간="" 경지="">를 두고 話頭라 부르는 것. 그것은 漸進的 깨침일 수도 있지만 한 瞬間의 到達點이기도 한 것. 身手와 慧能이 한 자리에 서는 境地라고나 할까. 批評家 : ……. 文學史가 : 먼저 최인훈式의 現場性 (3)을 暫時 엿볼까요. [小說家 구보氏의 一日](1970∼71) 聯作을 쓴 理由를 이렇게 밝히고 있는 대목. '朴泰遠은 이 題目으로 한 篇을 썼지만 나는 그 雰圍氣가 그렇게 끝나기에는 아까운 形式으로 보였다. 그가 北쪽에서 이 題目을 다시 使用할 可能性은 없다고 나는 判斷했다. 假令 使用해서 그의 손에서 第2, 第3의 [구보氏 ……] 續篇이 나온다고 해도 南쪽의 우리 눈에 띄지는 못할 것이었다. 마지막으로 解放 前의 그의 原電 [구보氏……]도 가까운 將來에 南쪽에서 햇빛을 볼 可能性에 對한 期待는 1970年 現在에서는 幻想으로 보였다. 그러니까 70年 現在에서 볼 때 [구보氏……]는 過去에도, 現在에도, 未來에도(물론 首肯할 만한 未來 말이다) 우리 文學史에는 없는 存在라는 現實에서 우리는 살고 있기 때문에 [구보氏……]라는 이름으로 模作을 씀으로써 나는 우리 文學의 連續性의 斷絶에 抗議하고 <민족의 연속성="">을 지킨다는 歷史意識을, 文學史의 文脈에서 實踐하고 싶었다. 그것이 나의 具體的인 歷史意識이었.'(민음사판, 第2部, pp.50-51) 文學史의 視線, 그러니까 現場性 (3)의 場面입니다. 70年도 現在의 歷史意識이 실로 具體性을 띠고 있지 않습니까. 批評家 : 그 歷史意識이 오늘의 處地에서 보면 얼마나 초라한가. 차라리 幻想的이기까지 하다는 點을 先生은 指摘하고 있군요. <역사의 끝장=""> 以後의 世界에서는 朴泰遠의 福券은 勿論 無數한 박태원들과 그 論議들이 득실거리고 있는 形便 아닙니까. 文學史家 : 現場性 (3)李 지닌 이러한 相對化야말로 作品이 지닌 <덧없음>이 아닐 것인가. 實狀 위의 場面에서 作家 최인훈이 暗示하고 싶은 것은 歷史意識의 날카로움(구체성)보다는 그 덧없음에 있지 않았을까. 왜냐하면 正말 최인훈이 『話頭』에서 問題삼은 것은 따로 있었으니까. 그것은 물을 것도 없이 現場性 (1)이지요. 다음 대목에서도 이 點이 確認됩니다. '解放前, H에서 살던 때 일이다. 어느 해 여름에 어머니는 나를 데리고 親庭에 가신 적이 있었다. 어머니의 親庭은 작은 邑이었는데, 무슨 일로 두 사람은 거기서도 더 들어가야 하는 곳으로 다녀와야 할 일이 생겼다. 어머니와 나는 시골길을 걸어갔다. 날씨는 덥고 다리가 아팠다. 그렇다고 國民學校 3學年쯤이었던 나는 이미 업혀 가겠다고 할 나이는 아니었다. 한 쪽은 달래고 한 쪽은 투정을 부리면서 그러나 달리 어쩔 수 없는 것을 뻔히 알면서, 나는 어머니 손을 뿌리치고 휭하니 앞질러 가 보기도 일부러 뒤처지기도 하면서 不滿을 表示했다. 무어라 달래는 소리를 귓전으로 들어 가면서 그렇게 앞서거니 뒤서거니 하다가 나는 멈춰 섰다. 어느 사이엔지 어머니가 곁에 보이지 않았다. 하얗게 햇빛이 부신 한낮이었다. 나는 뒤처졌는가 싶어 시골길 풀이 우거진 모퉁이까지 달려갔다. 먼지가 하얀 흙길에는 눈 닿는 멀리까지 人跡이 없었다. 나는 오던 길을 되돌아 달려갔다. 지나온 길만 휑하니 멀리 그쪽에 보일 뿐이다. 아무도 없는 그 하얀 시골길. 나는 그 자리에서 허둥거렸다. 그 때 바로 옆 풀숲에서 어머니가 나오셨다. 나는 달려가 매달리면서 울음을 터뜨렸다. 어머니는 그러니까 투정부리지 말 것. 다시 그러면 이番에는 나를 놔두고 가 버리겠다면서 나를 달랬다. 우리는 남은 길을 그럭저럭 사이좋게 걸었다. 어머니가 없는 것을 알고 난 다음 그女가 다시 나타날 때까지의 사이, 그것이 아마 <영원>이라는 것이었던 듯싶다. 그런데 이 <영원>은 비어 있다. 나에게 나타난 永遠의 形式은 비어 있음 이라는 모습이었다. 비어 있다고 해서 있던 것들이 사라지고 아무것도 없게 되었다는 말이 아니다. 어머니가 사라진 것을 알고 달려가서 풀숲 모퉁이를 돌아섰을 때 길의 저 앞쪽에 있던 鐵橋와 그 밑으로 빠져 나가 오른쪽으로 휘어지는 길이 只今도 따라갈 수 있을 것처럼 보인다. 뒤돌아가서 보았을 때 저쪽 숲 모퉁이로 사라지는 길 위에 하얗던, 바랠 줄 모르는 햇빛이 눈에 부시다. 그런데도 그것들은 없는 것이나 마찬가지였다. 方今 곁에 있던 어머니가 사라지고도 남음 있는 온갖 것들은 그 以前의 것들이 아닌 낯선 것들이었다. 나 自身조차도 바로 前까지의 내가 아닌 누군가였다. <없다>는 느낌은 直前까지 있었던 것이 없다는 느낌이었던가 싶다. 只今 있는 뭇事物은 그 바로 前까지의 꼬리를 조금은 달고 있어야 自己가 只今 있다고 느끼지, 그 꼬리를 갑자기 잘라서 어딘가 숨겨 버리면 그 瞬間 自己를 잃어 버리는 模樣이다. 自己가 없는 곳 - 그보다 더 <비어 있는="" 곳="">이 어디 있겠는가.'(『화두』, 第1部, pp.282-283) <길 잃음="">으로 要約되는 場面. <지금 기="">의 참다운 意味가 드러나는 場面. 이를 두고 바슐라르는 認識論的 斷絶이라 부르지 않았을까. 한 瞬間 찾아오는 이 아득함. 忽然 世界의 낯섦 앞에 마주하기. [廣場]을 지나고, [옛날 옛적에 훠이훠이]를 지나고, [달아 달아 밝은 달아]에까지 헤매고, 바야흐로 耳順(耳順)에 이른 作家 최인훈은 如前히 <길 잃음="">에 알몸을 통째로 드러내 놓고 있지 않겠는가. 이를 두고 표현자의 生命 意識이라 부르지 않는다면 무슨 부름이 適切할까. 적어도 저에겐 現場性 (3)李 現場性 (1)에로 還元되는 事例로 『話頭』가 빛나고 있습니다. 批評家 : 오늘은 여기서 멈추어야 되겠습니다. 숨이 막힐지도 모르겠으니까. 文學史家 : 고맙습니다." 어떻습니까. 한 대목을 따온 것이라 어수선하지만, 이 속에 제 話頭가 깃들어 있습니다. 6. 人間으로 태어났기에 文學했던 것 硏究者에서도 批評家에서도 벗어나기, <시체 빌어주기="">· <묘지기 신세="">에서 벗어나기란 果然 可能한가. 어떻게 하면 표현자의 班列에 나아갈 수 있을까. 제 스스로 肉體를 버리기가 그것일까. <머나먼 울림="">과 <선연한 헛것="">에서 消滅되기일까. 이것이 제 話頭입니다. 그렇지만 모든 話頭가 그러하듯 그것이 <절대 모순성="">임을 直感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 絶對 矛盾性을 그대로, 그러니까 통째로 받아들이기밖에 妙手는 없는 것일까. 이렇게 아직도 뻗대어 보며 몸부림이라도 쳐야 人間스러울까. 이 물음을 對하고 한밤中 홀로 앉아 있자니, 書齋 한귀퉁이에서 무슨 기척이 들리지 않겠습니까. 屍體들이 櫛比한 곳에서 무슨 기척이 들리다니. 精神을 收拾하여 귀를 기울이자니, 기척은 다름아닌 제가 쓴 冊들에서 들려오지 않겠습니까. 仔細히 보니 저들이 저를 빤히 쳐다보고 있지 않겠습니까. 아주 불쌍한 表情으로 말입니다. 제가 만든 被造物인 그들이 어느새 事物의 世界의 秩序 속으로 들어가 언젠가 죽을 運命을 타고난 저를 아주 불쌍한 듯이 바라보고 있지 않겠습니까. 이 奇妙한 體驗이란 무엇인가. 茫然自失하여 멍청히 있자니, 문득 다음 詩 韓脩가 떠올랐습니다. 제가 오랫동안 해온 [韓國 近代文學의 理解] 講義에서 終講 무렵이면 늘 學生들과 함께 읊던 그 詩句. 한때 그토록 輝煌했던 빛이 永永 내 눈에서 사라졌을 지라도 들판의 빛남, 꽃의 영화로움의 한 때를 송두리째 되돌릴 수 없다해도 우리는 슬퍼 말지니라. 그 뒤에 남아 있는 힘을 찾을 수 있기에 (W. 워즈워스, [어린시절을 回想하고 永生不滅을 깨닫는 노래] 一切, 代의) 감추어진 힘이란 무엇일까요. 제멋대로 解釋해 봅니다. 硏究者로, 批評家로 제가 每瞬間 最善을 다해 성실했다면 그것이 사라져 없어진 것이 아니라 어딘가에 남아서 힘이 되어 時方 저녁놀 빛, 몽매함에 놓인 제게 되돌아오고 있지 않겠는가. 제가 그토록 渴望하는 표현자의 世界에로 나아가게끔 힘이 되어 밀어주고 있지 않겠는가. 여기까지 이르면 저는 말해야 합니다. 人間으로 태어나서 多幸이었다고. 文學을 했기에 그나마 多幸이었다고. 豫言者가 없더라도 이제는 固有한 죽음을 죽을 수 있을 것도 같다고. 冠岳山의 無窮한 發展과 여러분의 앞날에 平安이 깃드시길. 고맙습니다.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