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尊嚴死 擇한 老人들…남은 所望은 다르지만 한결같이 남긴 말은?|동아일보

尊嚴死 擇한 老人들…남은 所望은 다르지만 한결같이 남긴 말은?

  • 東亞日報
  • 入力 2019年 11月 15日 16時 16分


코멘트
서울 창동노인복지센터에서 사전 연명의료 의향서를 작성한 어르신들이 구술자서전을 들고 있다. 안철민 기자 acm08@donga.com
서울 창동老人福祉센터에서 事前 延命醫療 意向書를 作成한 어르신들이 口述自敍傳을 들고 있다. 안철민 記者 acm08@donga.com
《老人 40名이 살아온 이야기를 담은 223쪽 自敍傳이 18日 出刊된다. 只今껏 世上에 없었던 冊이다. 參與者들이 有名 人士여서가 아니다. 長次官이나 大企業 社長, 大學 敎授를 지낸 人物은 한 名도 없다. 글을 쓸 줄 모르는 어르신이 많아 口述作家가 듣고 옮기는 式으로 1年에 걸쳐 執筆했다. 그런데도 이 自敍傳이 特別한 理由는, 事前延命醫療意向書(事前意向書)로 延命醫療를 拒否한 이들이 人生을 돌아본 記錄이기 때문이다. 事前意向書 公式 相談機關인 ‘事前醫療意向書 實踐모임’李 만난 老人 40名이 ‘尊嚴한 죽음’을 미리 選擇한 理由는 저마다 달랐다. 하지만 이들의 自敍傳엔 한결같이 “未安하다”, “고맙다”는 表現이 담겼다.》

● 죽음 門턱에서 ‘미리 準備하자’ 다짐

김상연 氏(79·女)는 6年 前 가슴이 꽉 막히는 느낌이 들더니 쓰러졌다. 急性 心筋梗塞이었다. 心臟血管에 스텐트를 揷入하는 施術을 받았지만 얼마 後 再發했다. 그제야 ‘나는 이제 자다가도 죽을 수 있구나’라고 깨달았다. 갑자기 쓰러진 뒤 意識을 찾지 못하고 2年 넘게 延命醫療를 받다가 숨진 知人의 모습이 떠올랐다. 죽는 것보다 人工呼吸器에 依支해 壽命만 延長하는 게 더 두려워졌다. 6日 서울 道峰區 倉洞老人福祉센터에서 만난 金 氏는 “몇 年 동안 콧줄로 깡筒(流動食)만 먹고, 家族들이 오줌똥 다 받아줘야 하고…. 그러느니 미리 準備하자 싶었어요”라고 말했다.

金 氏는 事前意向書를 썼다. 自敍傳 提案을 받았을 땐 ‘대단치 않은 人生인데 무슨 自敍傳까지 쓰냐’고 생각했다. 하지만 口述作家에게 살아온 얘기를 하다보니 事故로 일찍 世上을 떠난 男便에 對한 怨望, 태어난 지 사흘 만에 숨진 첫 딸에 對한 未安함 等 平生 응어리졌던 마음이 눈 녹듯 풀렸다. 金 氏는 “이제야 삶과 作別할 準備가 됐다. 하루하루를 보람 있게 살자고 다짐하니 남은 날이 더 所重해졌다”고 말했다.

趙顯娥 氏(66·女)는 事前意向書를 쓰기 前엔 金 氏와 正反對로 하루 終日 죽음만을 생각했다. 事業에 失敗하고 詐欺로 집을 잃고 男便과 離婚한 뒤부터 憂鬱症이 漸漸 심해졌다. 어떻게 해야 ‘失手로’ 살아남지 않을지 窮理했다. 하지만 自敍傳 口述作家를 만나는 過程이 治癒의 時間이 됐다. 좋은 모습을 남기고 싶은 마음에 옷欌에 있는 옷 中 가장 예쁜 것을 꺼내 입고 나왔다. 그의 表現에 따르면 ‘구질구질한 人生 얘기’를 다 털어놓으니 오히려 후련해졌다. 그는 “自敍傳 作業이 마무리될 때쯤엔 ‘힘들 때 손 내밀어준 이들에게 報答하는 길은 熱心히 사는 것’이라고 다짐하게 됐다”고 말했다.

● 平生 처음으로 表現하는 고마움과 未安함

조규열 氏(81·女)는 몇 해 前 老人福祉센터에서 ‘죽음 敎育’을 받았다. 事前意向書를 作成하고 事後 眼球寄贈 誓約도 했다. 世上을 떠날 準備가 다 됐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自敍傳을 쓰면서 平生 다섯 子女에게 “未安하다”는 말을 한 番도 하지 못했던 게 떠올랐다. 初等學校에 育成會費를 내지 못해 큰 딸이 卒業狀을 못 받은 일, 젖먹이였던 둘째 딸이 울며 보챌 때 안아주지 못한 일…. 曺 氏는 “只今도 그때를 생각하면 눈물이 나고 자다가도 벌떡 일어나. 그런데 未安하단 말이 (입을 가리키며) 여기까지 나오다가 도로 들어가”라며 눈물을 훔쳤다.

그래서 曺 氏의 自敍傳은 “未安하다, 얘들아”라는 말로 始作한다. 5쪽 分量 自敍傳에는 마흔 한 살이었던 男便을 먼저 떠나보낸 뒤 形便이 어려워져 주워온 콩나물로 주린 배를 채운 일, 삶을 抛棄하려 房에 煉炭불을 피웠던 일, 어렵게 기른 子女들이 結婚할 때 뿌듯함에 눈물 흘린 일이 淡淡하게 적혀있다. 한番도 末路는 傳하지 못했던 일들이다. 그는 “이제 便히 눈을 감을 수 있다”고 말했다.

平生 家族에게 말하지 못했던 고마움과 未安함을 自敍傳에 비로소 털어놓은 건 曺 씨만이 아니다. 손석주 氏(78)는 아내가 甲狀腺癌 手術을 하는 날에도 會社 일이 바쁘다며 病院에 가보지 못해 未安하다는 말은 只今껏 한番도 입 밖에 내지 못했다. 12年 前 네팔 히말라야에 登攀했다가 高山病 後遺症으로 失語症에 걸려 말 그대로 ‘말을 잃은’ 권창준 氏(74)는 “아내에게 感謝합니다”라는 글을 꼭 남기고 싶다고 했다.

어떤 이들에겐 이番 自敍傳이 家族에게 고마움을 傳할 마지막 機會일 可能性이 높다. 癡呆 症狀이 始作된 이춘자 氏(99·女)가 그렇다. 李 氏는 ‘집에 가야지’라고 생각해 지팡이를 짚고 일어섰다가 自身이 이미 집안에 있다는 事實을 깨닫고 ‘앞으로 더 많은 것을 잊겠구나’라고 생각했다. 그는 “그間 버팀木이 되어준 子女들에게 더 늦기 前에 고맙다는 말을 남기고 싶다”며 自敍傳에 參與했다.

● 事故로 두 다리 못 써도 “고마운 내 人生”


어르신들의 말을 옮겨 적는 才能 寄附에 나선 口述作家들은 모두 事前意向書 相談敎育을 받은 專門 相談가다. 어르신이 사는 곳마다 最小限 세 次例씩 찾아가 人生 이야기를 들었다. 처음엔 ‘내가 무슨 自敍傳이냐’며 손사래 치다가 面談이 뜻밖에 길어진 境遇도 많았다. 口述作家 유명숙 氏(73·女)는 “어르신들의 배움은 짧아도 삶의 智慧나 意志는 우리보다 훨씬 대단하다는 걸 새삼 느꼈다”고 말했다.

어르신들의 이야기가 事實인지 確認하기 위해 口述作家들이 接觸한 家族들은 原稿를 받아 읽어보고 난生 처음 알게 된 家族의 面貌에 놀랐다고 한다. 오연순 氏(78·女)의 딸은 吳 氏가 男便과 死別한 뒤 養老院에서 奉仕 活動을 하며 生을 마감하고 싶었다는 글을 읽고 “우리 어머니에게 이런 꿈이 있는 줄 몰랐다”고 말했다. 口述作家 박재연 氏(55·女)는 “家族이 보기엔 ‘엄마’나 ‘아빠’였던 그 분들도 한 名分의 人生을 고스란히 살아오셨다는 데서 家族들이 놀라곤 했다”고 傳했다.

自敍傳에 參與한 어르신들은 6·25戰爭 等 近現代史의 屈曲뿐 아니라 個人的인 아픔을 겪고도 “그래도 살만한 삶이었다”고 입을 모았다. 그 中에서도 신애자 氏(76·女)의 아픔은 깊었다. 初等學校에 入學한지 나흘 만에 手榴彈 事故를 當해 두 다리를 못 쓰게 되면서 學校를 그만뒀기 때문이다. 둘째 아들까지 交通事故로 障礙를 얻자 숨도 못 쉴 程度로 답답했다. 하지만 福祉館에서 한글을 배운 뒤 글짓기 大會에 나갈 程度로 實力을 키우며 幸福을 되찾고 있다. 이하재 氏(66)는 어릴 적 큰 病을 앓고 7年 前엔 大學校 2學年이었던 아들이 스스로 목숨을 끊는 일까지 겪었지만 詩를 쓰며 아픔을 藝術로 승화시키고 있다. 李 氏는 “나의 글이 누군가에게 慰勞가 될 수도 있다는 希望을 갖게 됐다”고 말했다.

● “마지막 所願은 ‘平穩한 죽음’”

自敍傳 參與者들의 버킷리스트는 다양했다. 신동근 氏(69)는 離婚한 아내를 다시 한番 마주해 못 다한 이야기를 나누고 싶다고 적었다. 먼저 世上을 떠난 男便에게 따뜻한 저녁床을 한 番 차려주고 싶다는, 이승에서는 이룰 수 없는 所望을 적은 老人도 있었다.

하지만 가장 자주 言及된 所望은 ‘周邊에 弊를 끼치지 않고 떠나는 것’이었다. 오랜 病치레 끝에 苦痛 속에서 삶을 마치는 知人들을 數없이 보며 ‘尊嚴한 마무리’가 切實한 話頭가 된 것이다. 김현한 氏(73·女)는 죽기 前에 5日만 準備하는 時間이 있으면 좋겠다는 所願을 빌었다.

自敍傳에 參與한 老人 40名은 18日 서울 中區 國立中央醫療院에 모여 出版記念會를 열고 祝賀 파티를 한다. 홍양희 事前醫療意向書 實踐모임 代表는 “老人 한 名이 世上을 떠나는 것은 圖書館 한 채가 사라지는 것과 같다고 하는데, 生을 마감하기 前 周邊에 고마움과 未安함을 表現하는 時間은 누구에게나 必要하다”고 말했다.

지난해 2月 4日 連名醫療結晶法이 施行된 以後 지난달 31日까지 事前意向書를 作成한 사람은 43萬457名이다. 事前意向書를 作成할 수 있는 가까운 相談機關은 國立延命醫療管理機關 홈페이지(lst.go.kr)나 電話(1855-0075)로 確認할 수 있다.

조건희 記者 becom@donga.com
김소영 記者 ksy@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