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루 4分, ‘運動 習慣’ 만들기[핫피플의 運動處方]|東亞日報

하루 4分, ‘運動 習慣’ 만들기[핫피플의 運動處方]

  • 東亞日報
  • 入力 2022年 4月 5日 03時 00分


코멘트
4分 前身 筋力 强化 運動法
“一週日에 運動을 몇 番 해야 하나요?”

스포츠 콘텐츠 유튜브 채널을 運營하다 보니 이런 質問을 자주 받는다. 그때마다 “每日 하는 것이 좋다”고 答한다. 運動의 ‘習慣’을 만드는 게 重要하기 때문이다.

유튜브 ‘올블랑TV’ 캡처
유튜브 ‘올블랑TV’ 캡처
양치질을 생각해 보자. 每日, 자주 하지 않고 隔日로 띄엄띄엄 한다면 ‘習慣’이 形成될까? 아침을 챙겨 먹는 사람이라면 하루씩 건너뛰고 먹지는 않는다. 이처럼 우리가 무언가를 無意識的으로 自動的으로 하는 것을 習慣이라 한다면, 必然的으로 그것을 每日 反復해야 한다. 더 具體的으로 “어떻게 運動하는 習慣을 만들 수 있냐”고 물어본다면 “每日 같은 時間에 運動을 始作해보라”고 말해준다.

事實 運動하는 時間과 强度는 重要하지 않다. 運動을 5分만 하거나 덤벨을 10番 들고 끝내도 괜찮다. 하지만 그것을 每日, 一定 時間에 反復한다면 우리의 腦는 머지않아 그것을 自動化의 領域으로 보내게 되고, 本人의 習慣으로 자리 잡게 된다. 이런 習慣化가 重要한 理由는 習慣의 領域으로 들어온 뒤에는 心理的인 抵抗이 確然히 줄어들기 때문이다. 習慣이 形成되는 過程은 物理學의 ‘停止 摩擦力’과 ‘運動 摩擦力’이라는 槪念으로도 說明할 수 있다.

바닥에 놓인 箱子를 움직이기 위해서 우리는 最大 停止 摩擦力이라고 하는 停止 摩擦力을 通過해야 한다. 가만히 있는 箱子를 움직이는 힘인 停止 摩擦力은 움직이는 箱子를 繼續 움직이게 하는 힘인 運動 摩擦力보다 더 크다. 우리가 運動을 每日 하지 않고, 隔日 或은 사나흘에 한 番씩 한다면, 運動을 다시 始作하려고 할 때 心理的 抵抗에 맞닥뜨린다. 物理學의 觀點을 適用하면 運動을 쉬었기 때문에 最大 停止 摩擦力만큼의 힘을 줘야 다시 運動을 始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그제도 어제도 運動을 했다면 오늘 運動을 始作하는 데 힘이 더 적게 든다. 이 때문에 業務나 會食과 約束 等으로 運動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狀況을 맞아도, 조금이라도 運動을 해야 한다. 平素만큼 못 한다고 해서 아예 運動을 건너뛰어선 안 된다. 그래야 最大 停止 摩擦力의 힘을 들이지 않고 보다 손쉽게 運動을 繼續해 나갈 수 있다.

여주엽 ‘올블랑’ 대표
여주엽 ‘올블랑’ 代表
長期的인 觀點에서 當場 오늘의 運動量이 적은 것은 아무 問題가 되지 않는다. 運動은 長期的인 觀點으로 봐야 한다. 하루 4分이면 運動 習慣을 만들기에 充分한 時間이다. 動作도 점핑이나 달리기 等으로 특별한 道具 없이, 누구나 쉽게 挑戰할 수 있다. 오늘부터 每日 같은 時間에 몸을 움직이며 運動하는 習慣을 만들어 보면 어떨까.

※ 여주엽 올블랑 代表는 2018年 스포츠 콘텐츠 유튜브 채널 ‘올블랑TV’를 開設해 筋力 强化 等 各種 運動法을 無料로 紹介하고 있다. 4月 基準 채널의 購讀者 數는 186萬 名이다.

여주엽 代表의 ‘4分 前身 筋力 强化 運動法’(https://youtu.be/MzY-pTVrPtc)



여주엽 ‘올블랑’ 代表


#運動 習慣 #運動 #스포츠 콘텐츠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