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종대왕께서 오늘의 한글 世上에 다시 오시면[김도연 칼럼]|東亞日報

세종대왕께서 오늘의 한글 世上에 다시 오시면[김도연 칼럼]

  • 東亞日報
  • 入力 2021年 10月 7日 03時 00分


코멘트

革命的 發明人 約 600年 전 한글 創製
朝鮮 支配層 漢文 使用에 存在感 잃기도
느낌마저 쉽게 傳達하는 건 한글 使用 德分
낮은 文盲率, 産業과 文化 隆盛에 寄與
國際語 正確한 表現 위해 表記法 鎭火하길

김도연 객원논설위원·서울대 명예교수
김도연 客員論說委員·서울대 名譽敎授
10月 9日, 한글날을 맞는다. 쓰고 있는 文字를 스스로 發明한 民族은 世界에 우리밖에 없다. 한글은 더할 수 없이 科學的인 文字 體系로 우리 民族史를 넘어 全體 人類 歷史에서 손꼽히는 偉大한 發明品이다. 우리가 지닌 가장 값지고 자랑스러운 寶物이 한글이다. 세종대왕께서 한글을 創製하며 懇切히 바란 것은 國民 모두가 疏通하며 서로를 理解하는 일이었다. 大統領 選擧를 앞두고 甚하게 갈등하고 있는 政治人들도 한글날 하루는 서로 보듬으며 지내면 좋겠다.

세종대왕께서 百姓들을 위해 訓民正音을 만드신 것은 約 600年 前이다. “새로 스물여덟 글字를 만드니 모든 사람들이 쉽게 익혀서 便하게 하고자 할 따름이니라”는 序文에서 알 수 있듯, 이토록 至極한 愛民(愛民) 精神을 지닌 絶對 權力者는 이 世上 어디에도 없었고 앞으로도 없을 것이다. 한글이 아니라면 只今 우리는 어떤 모습일까? 對話에서는 “사람”이라 하지만 文書에는 “人”으로 表記하거나 或은 “Saram”이라 쓰면서 살고 있을지 모르겠다. 實際로 터키나 베트남은 그들의 言語를 알파벳을 借用해 表記하고 있다.

한글 創製와 頒布는 事實 世上을 바꾸는 偉大한 革命이었는데 아쉽게도 우리는 이를 受容하지 못하고 긴 歲月을 보냈다. 한글은 1894年에야 우리 社會에서 公式 文字로 인정받았고 그 後 日帝强占期에는 抹殺 危機에까지 몰렸다. 안타까운 우리 歷史다. 歷史에서 家庭은 意味 없는 일이지만, 萬若 初期에 세종대왕께서 좀 더 오래 한글 使用을 督勵할 수 있었다면 우리 民族史는 많이 달랐을 것이다. 管理 選拔試驗에 訓民正音 科目도 追加했던 世宗大王은 한글 頒布 4年 後 世上을 떠났고, 그 後 한글은 公式的인 存在感을 잃고 말았다.

그러나 누구나 배우기 쉽고 便히 쓸 수 있기에 多幸히 私的인 領域에서는 한글의 命脈이 維持되었다. 17世紀 初에 許筠은 小說 ‘洪吉童傳’을 한글로 썼다. 反面 偉大한 實學者 丁若鏞이 19世紀 初盤에 著述한 ‘經世遺表’ ‘牧民心書’ 等은 모두 漢文이었다. 이처럼 나라를 이끌던 兩班階級 世界에 한글은 없었고 大多數 國民은 이런 文書들을 理解할 수 없었다. 漢文을 아는 支配者와 모르는 被支配者로 確然히 區分된 世上이었다.

王室에서도 個人的인 便紙 같은 境遇에는 一部 한글을 使用한 痕跡이 있다. 正祖(正祖)가 當代 이른바 老論 僻派(僻派)의 우두머리였던 심환지에게 보낸 草書體로 흘려 쓴 漢字 便紙에는 한글이 섞여 있는 “近日僻類爲뒤쥭朴쥭之時(只今처럼 僻派의 무리들이 ‘뒤죽박죽’일 때)”라는 句節을 찾을 수 있다. “참으로 호로子息”이라는 거친 表現조차 “진호로자(眞胡盧子)”라고 쓴 正祖이지만 뒤죽박죽이란 우리말이 갖는 생생한 느낌을 漢字로 表現하기는 힘들었던 模樣이다. 오늘날 우리가 모든 느낌을 쉽게 傳達할 수 있는 것은 全的으로 한글을 使用하기 때문이다.

解例本에 나와 있는 것처럼 訓民正音 28자는 바람소리, 鶴이나 닭의 울음소리, 개 짖는 소리 等 天地自然의 소리를 모두 적을 수 있는 完璧한 表音文字로 創製되었다. 當時 中國語 發音까지도 正確히 적을 수 있는 文字體系였을 것으로 믿어진다. 그러나 無慮 500年 가까운 긴 歲月을 쓰지 않고 묻어 두었던 탓에 한글에 큰 發展은 없었던 듯싶다. 오히려 28字 中 4個(ㆍ, ㅿ, ㆆ, ㆁ)는 사라졌는데, 이들은 果然 어떤 소리였는지 궁금하다.

배우기 쉬운 한글 德에 文盲은 찾아보기 힘들고 産業과 文化가 크게 隆盛하는 大韓民國이 되었으니 世宗大王께서 오늘의 世上을 보신다면 매우 기뻐하실 것이다. “ㅎㅎ”나 “ㅠㅠ” 같은 表記에도 微笑 지으실 것 같다. 그러나 21世紀는 國際語를 한글로 正確히 表現하는 일도 重要한 時代다. 그런 側面에서 프랑스(France)와 파리(Paris)처럼 確實히 다른 소리인 F와 P를 모두 ‘ㅍ’으로 表記하는 點은 아쉽게 생각하실 듯싶다. 파이팅이나 팩스 等은 모두 原音에 맞지 않는 한글 表記다. 非專門家로서 ‘ㅍ’ 위에 點을 하나 찍어 F發音으로 나타내면 어떨까 하는 單純한 생각도 들었다. L과 R 그리고 B와 V 等의 境遇도 마찬가지인데, 이런 問題들은 앞으로 한글學者 等이 智慧를 모아 解決하길 期待한다. 세종대왕께서 만들어 주신 所重한 寶物을 더욱 빛나게 가꾸는 일은 우리의 責務다.



김도연 客員論說委員·서울대 名譽敎授


#世宗大王 #한글 #文盲率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