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림冊 臺本 삼아 役割劇 해보세요[오은영의 父母마음 아이마음]|東亞日報

그림冊 臺本 삼아 役割劇 해보세요[오은영의 父母마음 아이마음]

  • 東亞日報
  • 入力 2021年 9月 8日 03時 00分


코멘트

<137> 말 잘하는데 글이 더딘 아이

일러스트레이션 김수진 기자 soojin@donga.com
일러스트레이션 김수진 記者 soojin@donga.com
오은영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소아청소년클리닉 원장
오은영 精神健康醫學科 專門醫·小兒靑少年클리닉 院長
말은 또래보다 빨리 트이고 너무나 잘하는데, 글을 읽거나 쓰는 것은 영 進行이 안 되는 아이들이 있다. 사람마다 腦 領域 發達 速度가 다르기는 하다. 어떤 部分이 유난히 잘 發達하기도 하고, 다른 部分은 유난히 덜 發達하기도 한다. 腦에서 말을 하는 領域의 發達이 너무 빠르고 월등하면, 그 領域만 즐겨 쓰게 돼 다음으로 發達해야 하는 읽기와 쓰기가 더뎌지기도 한다.

제 또래보다 말을 잘하는 6歲 아이가 있다고 하자. 이 아이는 말하는 것으로 恒常 사람들에게 “어쩜, 넌 이렇게 말을 잘하니?” 稱讚을 받는다. 말을 잘하니까 말로 自己 생각이나 主張을 빠른 速度로 傳達한다. 이 아이에게 말은 무엇보다 쉽고 便한 表現手段이다. 그래서 다음으로 발달시켜야 하는 읽기와 쓰기를 잘 하지 않는다. 해봤자 말하기만큼 人情도 못 받고, 말하기만큼 빠르지도 못하니 답답하기 때문이다. 그러다 보니 發達한 것은 더 發達하게 되고, 덜 發達한 것은 더 늦어진다. 이렇게 되면 漸漸 더 말은 靑山流水로 잘하는데 글을 쓰라고 하면 너무 싫어하는 아이가 돼 버린다.

腦의 言語 發達 順序를 보면 듣기가 가장 먼저 發達하고 다음이 말하기, 읽기, 쓰기 巡이다. 段階가 進行될수록 腦의 여러 機能이 더 細部的으로 發達한다. 이 때문에 頭腦 發達을 위해서도 고르게 發達할 수 있도록 父母가 잘 指導해야 한다. 읽기와 쓰기를 싫어하는 것은 就學하면 모두 問題가 된다. 敎科書, 問題集 等도 모두 읽기로 해야 하고, 筆記나 問題 푸는 것 等은 모두 쓰기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

어떻게 도와줘야 할까? 말을 잘하는 아이들은 理解가 빨라 마음이 急하다. 自身이 더디 읽는 速度를 못 기다린다. 그래서 스스로 그림冊을 읽는 것을 답답해한다. 이런 아이에게는 父母가 한 番 읽어주든 그림冊 內容을 미리 알려주든 하는 것이 좋다. 그러고 나서 같이 읽으면 조금 재미있어 한다. 이런 아이들도 어쨌든 끊임없이 읽혀야 된다. 父母가 한 줄 읽어주고 따라 읽게 한다거나 登場人物이 많이 나오는 그림冊을 選擇하여, 아이와 父母가 登場人物을 各各 定해서 읽어보는 等 어떤 式으로든 자꾸 읽는 機會를 만들어야 한다.

글字를 잘 모르는 아이라면 父母가 몇 番 읽어주고, 아이가 외워서 알고 있는 臺詞를 하도록 한다. 처음 始作할 때는 짧은 大使로 한다. 그렇게 외운 것을 글字에 맞춰 읽게 되면 그 글字를 正말로 알게 된다.

이 아이들은 혼자 읽으라고 하면 글대로 안 읽고 “개구리가 왔어요?”를 “왔어? 개구리?”라고 바꿔 읽기도 한다. 그럴 때는 “잘했는데, 여기에는 ‘개구리가 왔어요?’라고 되어 있네”라고 말해준다. 그러면 아이가 “아∼ 개구리가 왔어요”라고 修正해서 읽는다. 이렇게 천천히 제대로 읽게 한다. 읽기를 指導할 때 操心해야 하는 말이 있다. “끝까지 좀 읽자”와 “이거 다 읽고 나서 하자”다. 가뜩이나 지루해도 참고 있는데, 이 말을 들으면 금세 ‘우와, 지겨워’가 된다. 冊이 지겹고 지루하다는 것이 學習돼 다음부터는 안 하려고 들 수 있다.

쓰기는 많이 안 하다 보면 손놀림이 語訥해지고 쓰는 것을 귀찮아하게 된다. 한 글字 쓰고도 힘들어서 “아∼” 하고 한숨을 쉰다. 이런 狀況에 “每日 한 쪽씩 써”라고 하면 그 狀況이 괴로울 뿐이다. 또 “너 안 하면 혼난다. 너 學校 들어가서도 이러면, 先生님한테 혼나”라고 怯을 주면 學校 가는 것에 恐怖까지 생긴다.

쓰는 것이 便해지려면, 먼저 손을 많이 使用하도록 해야 한다. 父母가 옛날에 했던 실뜨기나 공기놀이, 고무찰흙놀이 等을 많이 시킨다. 끼워서 만들기 等 造作놀이도 좋다. 손 使用을 많이 늘려준 다음, 글씨를 쓰는 것이 아니라 線 긋기부터 시킨다. 直線, 私船, 동그라미 이런 것을 자꾸 練習해야 한다. 아이가 뭔가 써낼 때는 直線 하나라도 “아우, 잘한다. 똑바로 잘 썼네”라고 激勵해준다. 처음부터 글字 쓰기를 目標로 하지 말자. 鉛筆을 잡고 노는 것만으로 滿足하고, 鉛筆을 잘 잡으면 線을 긋게 하고 線을 잘 그으면 글字를 따라 써보게 한다.

글쓰기는 어떻게 시켜야 할까? 글쓰기는 여러 段階를 거쳐야 한다. 생각을 內的 言語로 整理하고, 그것이 整理가 되어서 밖으로 나올 때는 四足을 빼고 核心 이야기만 추려야 하고, 同時에 손을 움직여줘야 한다. 이 때문에 性格이 急하거나 散漫한 아이들은 글쓰기를 좀 힘들어한다. 말은 잘하는데 글쓰기가 어려운 아이들에게 내가 提示하는 方法은 一旦 自己가 하고 싶은 말을 錄音하라는 것이다. 그리고 그 錄音을 듣고 받아쓰게 한다. 그렇게 해서라도 생각을 整理해서 쓰는 練習을 시킨다.

오은영 精神健康醫學科 專門醫·오은영 小兒靑少年클리닉 院長
#말 잘하는데 글이 더딘 아이 #그림冊 臺本 #役割劇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