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힘든 時代 버티게 한 樂天性[클래식의 品格/나성인의 같이 들으실래요]|동아일보

힘든 時代 버티게 한 樂天性[클래식의 品格/나성인의 같이 들으실래요]

  • 東亞日報
  • 入力 2021年 8月 24日 03時 00分


코멘트
나성인 클래식음악 칼럼니스트
나성인 클래식音樂 칼럼니스트
啓蒙時代 以後 빈은 音樂史에서 가장 重要한 곳이었다. 하이든, 모차르트, 베토벤이 古典主義의 金字塔을 쌓아 올린 곳도, 슈베르트, 브루크너, 브람스의 浪漫主義를 거쳐 世紀末 말러, 볼프 等에 이어 마침내 쇤베르크와 新(新)빈악파가 撫棗主義의 時代를 연 곳도 모두 빈이었다.

숱한 音樂家와 音樂이 있었음에도 이 中 가장 빈다운 게 뭘까 묻는다면 빈 사람들은 躊躇 없이 왈츠를 떠올릴 것이다. 그리고 그 代表 音樂이 요한 슈트라우스 2歲(寫眞)의 ‘아름답고 푸른 도나우’다. 빈 사람들의 ‘최哀哭’인 이 作品은 오스트리아 第2의 國家로 불린다. 그래서인지 音樂批評家 한슬리크는 이 曲을 “歌詞 없는 오스트리아의 愛國歌”라고 했다. 이 作品은 有名한 새해 祝祭인 빈 新年 音樂會의 固定 앙코르曲으로 자리 잡은 뒤 世界的으로 사랑받게 됐다.

1867年 오스트리아는 프로이센과의 戰爭에서 虛妄하게 敗했다. 그 結果 미리 잡혀 있던 모든 謝肉祭(復活節 禁食 期間 始作 全義 카니발) 日程이 取消되고 만다. 特히 빈 사람들이 좋아하는 大舞蹈會가 取消되자, 빈의 男聲合唱團은 元來의 바보 광대劇 代身 歌曲의 밤을 準備할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왈츠 없이 謝肉祭를 보내다니! 아무리 戰爭 中이라지만 빈 사람들에게는 있을 수 없는 일이었다. 그들은 急히 요한 슈트라우스 2世에게 男性 合唱龍 왈츠를 依賴한다. 슈트라우스는 注文을 받고 歌詞에다 두 個로 딱딱 끊어져 나눠 부르기 좋은 멜로디를 입힌다. “빈 사람들아, 기뻐해! 曙光이 비치잖아, 謝肉祭 始作되니, 時間을 거슬러, 슬픔을 거슬러 참아보아야 다 소용없으니 즐겁게 보내자, 우리!” 이러한 家事는 過去의 榮光을 잃고 徐徐히 沒落해 가는 빈의 情景을 反映하지만, 즐거움의 때를 抛棄할 수 없다는 現世的 樂天性의 表示이기도 하다. 現實의 어려움을 이겨내는 데 藝術이 꼭 必要하다는 것이다.

한便 슈트라우스는 파리 博覽會를 맞아 曲을 急히 써야 했는데 時間이 促迫해 合唱曲으로 써 놓은 도나우 왈츠를 歌詞 없는 오케스트라用 왈츠로 編曲하게 된다. 그런데 이 管絃樂 버전이 다시 大舶을 터뜨리고 만다. 優雅하고 매끈하지만 同時에 親近한 民謠의 要素를 가지고 있는 이 曲은 금세 名曲에 班列에 오른다. 管絃樂法 亦是 效果的이다. 빈 왈츠는 單純한 ‘쿵짝짝’ 리듬이 아니다. 첫 强迫에 무게가 실리고 뒤따르는 弱拍은 끌리듯 조금 늦게 떨어진다. 實際 춤 動作의 스텝을 反映한 것이다. 빈 필하모니는 이러한 움직임을 가장 잘 表現하는 樂團으로 이름이 높다. 曲을 끌어가는 힘은 勿論이거니와 마지막 場面에서 曲을 느리게 하고 플루트 솔로와 부드러운 호른을 통해 曲의 主題를 浮刻하는 것 亦是 뛰어나다. 브람스가 이 왈츠를 너무나 부러워한 나머지 ‘사랑의 노래와 왈츠’라는 왈츠로 된 聲樂 앙상블 歌曲集을 쓰게 됐을 程度다.

도나우강이 가장 푸르른 이 時節, 힘겨운 時代를 이겨내는 빈 사람들의 樂天性을 한番 떠올려 보자. 音樂은 삶이 어려울 때 더 깊은 意味로 다가온다.

나성인 클래식音樂 칼럼니스트
#樂天性 #撫棗主義의 時代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