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革命이 만든 패션[간호섭의 패션 談談]〈54〉|東亞日報

革命이 만든 패션[간호섭의 패션 談談]〈54〉

  • 東亞日報
  • 入力 2021年 5月 26日 03時 00分


코멘트

상퀼로트와 노란 조끼

루이레오폴 부알리 ‘상퀼로트로 분장한 가수 슈나르’, 1792년.
루이레오폴 不알리 ‘상퀼로트로 扮裝한 歌手 슈나르’, 1792年.
간호섭 패션디자이너·홍익대 미술대 교수
간호섭 패션디자이너·홍익대 美術大 敎授
革命이란 여러 意味를 담고 있습니다. 무언가를 뒤집어엎어 새로운 것이 登場하는 瞬間, 經濟的 社會的 政治的 變化에 따라 새로운 것들이 나타납니다. 코로나19로 世界人들이 生活의 革命을 겪으며 패션이 더욱 實用的인 方向으로 變化하고 있는 것이 살아 있는 事例입니다. 몸에 달라붙지 않고 便安한 실루엣, 그리고 男女 共히 사이즈만 상관없다면 바꿔 입어도 語塞하지 않은 上衣와 바지 等이 代表的이죠.

프랑스革命의 精神을 代辯하고 또한 革命 以後의 삶을 바꿔 놓은 것이 바로 ‘상퀼로트(sans-culotte)’입니다. 상퀼로트는 프랑스語로 當時 王族이나 貴族들의 專有物이었던 半바지(cullotte)를 입지 않는(sans) 사람들을 뜻합니다. 當時 프랑스에서는 商工業이 發達하면서 市民階級이 登場했고, 이들은 啓蒙思想과 美國의 獨立에 큰 影響을 받았습니다. 이에 腐敗하고 無能한 王政에서 벗어나 자유롭고 平等한 社會를 建設하고자 하였죠. 그들이 가진 部와 才能을 펼칠 수 있는 새로운 時代的 要求가 澎湃했습니다. 이러한 狀況에서 치솟는 物價와 人口의 增加, 그리고 王室의 財政 惡化에 따른 稅金 增加로 인해 民衆의 삶은 疲弊해져 갔죠. 이렇게 觸發된 프랑스革命은 結局 國王인 루이 16歲를 公開 處刑하며 王政에서 共和政으로 가는 決定的인 契機가 되었습니다.

프랑스革命 以後 上流層 男性들이 着用했던 層層이 긴 假髮과 하이힐, 그리고 딱 붙는 타이츠에 입었던 半바지는 사라지게 됩니다. 그 代身 그 자리에 넉넉하고 便安한 現代 男性服 바지의 原形이 誕生했으니 그것이 바로 상퀼로트입니다. 打倒의 對象들이 즐겨 하던 패션을 따를 수도 없었겠지만, 상퀼로트는 革命의 時代를 代表하는 패션입니다.

상퀼로트는 現代에 와서 ‘노란 조끼(Gilet Jaune)’로 재탄생했습니다. 2018年 11月 프랑스 에마뉘엘 마크롱 大統領의 油類歲 引上 反對로 觸發된 示威가 漸次 全國的인 反政府 示威로 擴散되었습니다. 事故를 對備하기 위해 車輛에 義務的으로 備置하는 노란色 螢光 조끼를 示威 參加者들이 입으면서 一名 ‘노란 조끼 示威’로 불렸습니다. 示威 參加者들 大部分은 自動車가 꼭 必要한 都心 外郭의 住居人이거나 運轉士와 같은 勞動者 階層이었다고 합니다. 政府가 富者 直接歲인 法人稅와 富裕稅 等은 引下하면서 庶民 間接稅인 油類貰를 올리는 것에 對한 憤怒가 暴發한 것이죠. 經濟 不況에 稅金 引上 그리고 階層 間의 葛藤 爆發이 프랑스革命과 닮아 있고 상퀼로트와 같이 노란 조끼라는 패션으로 求心點을 갖는 것도 같습니다.

상퀼로트라는 바지 그리고 노란 조끼 모두 革命이 만든 패션임이 분명합니다. 그리고 革命이 만든 이 패션은 그 어느 패션보다도 實用的이며 우리의 삶 또한 바꾸어 놓았습니다.

간호섭 패션디자이너·홍익대 美術大 敎授


#革命 #패션 #상퀼로트 #노란조끼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