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加德島에서 만난 濟州海女[김창일의 갯마을 探究]〈55〉|東亞日報

加德島에서 만난 濟州海女[김창일의 갯마을 探究]〈55〉

  • 東亞日報
  • 入力 2021年 1月 15日 03時 00分


코멘트
김창일 국립제주박물관 학예연구사
김창일 國立祭主博物館 學藝硏究士
加德島 海洋文化를 調査하던 筆者는 地域 海女가 아님에도 바다로 뛰어드는 海女들을 먼발치에서 봤다. 어디서 왔는지 알기 위해 뭍으로 나올 때까지 몇 時間을 기다렸다. 4名의 海女가 物質을 마치고 海岸가로 나와서 쉴 때 이야기를 나눌 수 있었다. 釜山 影島에 居住하는 濟州 出身 海女로 젊은 時節 影島까지 바깥物質을 다니다가 定着했다고 한다. 南港大橋를 建設하면서 海岸이 埋立돼 물질할 곳이 마땅찮아 加德島까지 遠征을 왔단다. 每年 11月부터 다음 해 6月까지 海産物을 採取한 뒤 領導로 돌아간다. 濟州島에서 領導로 이제는 加德島까지, 섬에서 섬으로 물질할 바다를 찾아다닌 삶의 旅程이었다. 海女들이 共同으로 머무는 집에 招待받아서 오랜 時間 對話를 나눴다. 이야기하는 내내 그女들은 해맑게 웃었지만 살아온 가시밭길은 陸地에 定着한 海女의 典型的인 生涯史였다. 出向(出鄕) 海女의 歷史는 100餘 年 前으로 올라간다.

濟州海女의 바깥物質은 日帝强占期 때 本格的으로 始作됐다. 19世紀 後半부터 間歇的으로 陸地로 나가서 물질하는 海女가 있었고, 1910年 以後 活潑해졌다. 1890年代부터 日本 潛水器 漁船 數百 隻의 濫獲으로 濟州漁場에는 採取할 海産物이 不足했다. 當時 陸地 사람들은 미역 以外의 海藻類에 關心이 없었으므로 濟州海女는 海産物이 豐富한 內陸으로 눈을 돌렸다. 草創期에는 慶尙, 全南 海岸 爲主로 物質을 했으나 漸次 江原道, 咸鏡道, 黃海道는 勿論이고 日本, 中國, 러시아까지 遠征物質을 다녔다. 바깥物質하는 海女가 늘어나면서 現地 住民들과 紛爭이 發生했다. 그 裏面에는 商圈 確保를 위한 해祖上인 間 葛藤이 있었다. 結局 費用을 支拂하고 海産物을 採取했지만 入漁料가 漸次 引上돼 어려움을 겪는 海女가 늘어났다. 이에 濟州 有志들은 海女組合을 組織해 한동안 海女 權益保護를 위해 活動했다. 그러나 日本人 道知事가 組合長을 겸하던 海女組合은 1920年代 後半부터 오히려 海女를 收奪하는 組織이 됐다.

釜山 影島를 據點으로 活動하던 海藻類 商人들은 海草의 需給 安定이 必要했다. 濟州海女를 募集해 領導에 집결시켰다가 기장, 蔚山, 慶州, 浦項 等 海産物이 豐富한 漁村으로 보냈다. 이런 傳統이 이어져 光復 後에도 濟州道民이 領導로 大擧 移住했다. 東亞日報(1970年 7月 25日子)에서 “物質 遠征 왔다가 定着, 영도는 住民의 8割이 濟州界(濟州系)”라고 했다. 筆者가 加德島에서 만난 海女 4名도 이 時期에 領導로 移住했다. “加德島 끝을 넘어가면 等바당을 넘어간다. 다대 끝을 넘어가면 釜山 領導이로구나.” 海女노래의 마지막 句節이다. 여기서도 最終 目的地는 影島다. 濟州島民會館, 濟州銀行, 海女文化展示館이 領導에 있는 것만 봐도 濟州道民의 位相을 斟酌할 수 있다. 영도는 작은 濟州道라 할 만하다.

1970年代 中盤까지 濟州海女의 바깥物質 行列은 이어졌고, 現地 住民들과 크고 작은 葛藤도 持續됐다. 閑寂한 漁村에 每年 數十 名, 많게는 100名 以上 모여들었다. 靑春男女가 있는 곳에 사랑이 싹트는 건 자연스러운 일이고, 陸地에 定着하는 海女가 늘어났다. 挑戰과 適應의 歲月을 보낸 出向 海女의 位相은 높아졌고, 漁村契 決定權을 海女들이 가진 마을이 곳곳에 생겼다. 只今도 出向 海女의 힘찬 숨비소리는 겨울 바다와 맞서고 있다.

김창일 國立祭主博物館 學藝硏究士


#加德島 #海洋文化 #調査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