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作品은 觀客을 만나야 살아난다[현장에서/김민]|동아일보

作品은 觀客을 만나야 살아난다[현장에서/김민]

  • 東亞日報
  • 入力 2020年 9月 9日 03時 00分


코멘트
권진규 유족이 2006년 내셔널트러스트 문화유산기금에 기증한 서울 성북구 동선동 권진규 아틀리에. 내셔널트러스트 문화유산기금 제공
권진규 遺族이 2006年 내셔널트러스트 文化遺産基金에 寄贈한 서울 성북구 동선동 권진규 아틀리에. 내셔널트러스트 文化遺産基金 提供
김민 문화부 기자
김민 文化部 記者
“너는 아들이 넷이나 되어 든든하고 좋겠다. 너무 걱정 마라. 나는 얘네(作品)들이 내 子息이다. 네 子息들보다 오래 살 테니 걱정 마라.”

生前 彫刻家 권진규(1922∼1973)는 自身을 애처롭게 보는 막내 女同生 권경숙 女史(93)에게 이렇게 말했다. 1973年 5月 스스로 生을 마감할 때도 그는 “作品과 事後 處理를 맡긴다”며 ‘누이同生 경숙 앞’으로 글을 남겼다. 짧은 遺書 위에는 葬禮費가 놓여 있었다.

權 女史는 오빠의 말을 가슴에 담았다. 조카나 다름없는 遺作의 보금자리를 마련해주는 것이 平生 宿願이 됐다. ‘권진규 美術館’을 짓기 위해 篤志家를 찾아다닌 것도 그래서였다.

對日鑛業이 ‘안도 다다오(安藤忠雄)級’ 建築家에게 맡겨 美術館을 지어주겠다고 한 건 2015年이었다. 權 女史는 ‘美術館 周邊에 해바라기 울타리나 꽃밭을 造成한다’는 條項도 넣어 美術館 設立 合意書를 作成했다. 해바라기는 오빠가 가장 좋아한 꽃이었다. 이때 넘긴 作品과 記錄 700餘 點이 貸付業體 倉庫에 있음을 알게 된 건 지난해 作品 返還 訴訟을 提起한 뒤였다.

法廷 攻防 끝에 作品이 돌아와 서울市立美術館에 空間을 마련했다. 다행스러운 일이지만 이렇게 되기까지 40餘 年이 걸렸다. 가장 큰 損失은 그동안 作品이 觀客을 만나지 못했다는 것이다.

류지연 국립현대미술관 學藝硏究官은 “2010年 展示를 마지막으로 권진규 作家의 重要한 조각과 드로잉 作品이 빛을 보지 못한 것이 가장 아쉽다”고 했다. 권진규의 外조카인 허경회 권진규記念事業會 代表는 “그間 겪은 迂餘曲折이 遺族으로서 猖披한 일”이라며 “新進 作家를 爲한 ‘권진규賞’을 制定하는 等 앞으로 作家를 기리는 데 힘을 쏟겠다”고 밝혔다.

그間 美術界에는 遺族이 作品을 寄贈하고 美術館을 建立하는 事例가 적지 않았다. 그러나 寄贈보다 그 以後 作品 管理에 더 많은 努力과 費用이 드는 것이 事實이다. 이 때문에 이番처럼 美術館 建立이 空手票가 되거나, 美術館을 짓고도 事後 管理가 되지 않아 雜音도 인다. 數年 前에는 한 再佛(在佛) 作家 美術館이 館長도, 큐레이터도 없이 槪觀해 論難이 됐다. 寄贈보다 重要한 건 以後 保存과 持續的인 硏究 活動이다.

作家 美術館 館長을 지낸 한 人士는 “美術館이 손을 놓거나 때로는 遺族이 不必要하게 關與해 觀客은 뒷전이 되는 境遇가 있다”며 “作品은 美術館도, 遺族의 것도 아닌 公共資産이라는 認識이 必要하다”고 했다.

이제 권진규의 作品은 서울市立美術館으로 向한다. 탄탄한 硏究를 바탕으로 時代的 脈絡에 맞는 展示가 열리길 期待한다. 作品은 觀客의 눈을 만나 다양한 意味를 生成할 때 비로소 살아 숨쉬기 때문이다.

김민 文化部 記者 kimmin@donga.com
#권진규 #彫刻家 #作品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