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冊의 香氣]喪失 뒤에 찾아오는 경이로운 삶의 결氣|東亞日報

[冊의 香氣]喪失 뒤에 찾아오는 경이로운 삶의 결氣

  • 東亞日報
  • 入力 2019年 12月 21日 03時 00分


코멘트

[그때 그 베스트셀러]1987年 綜合베스트셀러 2位(교보문고 基準)
◇접시꽃 當身/都鍾煥 지음/136쪽·1만 원·실천문학사

김소연 시인
김소연 是認
뛰어난 藝術家는 不朽의 名作을 남기거나 不運의 名作을 남긴다고 사람들은 區分하기 좋아해왔다. 그렇지만, 이제는 이것도 다 옛말인 것 같다. 사람들이 알아보지 못한 名作은 그저 사람들이 알아보지 못하여 묻힌다. 不幸히도 名作의 班列에 오르지 못한다.

하지만 名作의 班列에 올라서 더 不幸해지는 境遇도 이따금 있었던 것 같다. 도종환 詩人의 ‘접시꽃 當身’이 이에 屬하지 않았을까. 後續作 ‘접시꽃 當身 2’의 改訂版에서 詩人 스스로 ‘詩人의 말’에 言及해둔 “슬픔을 팔아 장사해 왔다는 批判”을 가장 따갑게 받았던 詩集이기도 했다. 民衆에서 大衆으로 옮겨가버린 抵抗 詩人의 代名詞로 자주 言及됐다.

거의 모든 詩集들을 涉獵해 읽으며 아침저녁으로 詩를 써댄 熱烈한 習作期를 지냈던 나도, 도종환 詩人의 ‘접시꽃 當身’에는 關心을 두지 않았다. 너무 有名해서 일부러 그랬던 것도 같고, 너무 有名한 나머지 내가 굳이 펼쳐 읽지 않아도 여기저기에서 數없이 引用되고 들려왔기 때문에 이미 읽어버린 詩集처럼 여겨진 탓도 있었다.

처음 제대로 읽은 이 詩集은 所聞과 달랐다. 죽은 아내를 追慕하며 쓴, 한 個人의 殉愛보的인 詩篇들로만 읽히지 않았다. 지키고 싶은 生命을 지킬 수 없게 되었을 때에 한 人間에게 슬픔만이 찾아오진 않듯, 이 詩集도 그러했다.

標題作 ‘접시꽃 當身’을 살펴보자면, “마음놓고 큰 藥 한番 써보기를 躊躇하며/남루한 살림의 한구석을 같이 꾸려오는 동안” 같은 悔恨만이 强要될 때에 이 詩는 아내를 잃은 男子의 殉愛보가 되겠지만, “우리가 버리지 못했던/보잘것없는 눈높음과 榮辱까지도/이제는 스스럼없이 버리고/내 마음의 모두를 더욱 아리고 슬픈 사람에게/줄 수 있는 날들이 짧아진 것을 아파해야 합니다”라는 覺醒이, 後半部에서는 “기꺼이 살의 어느 部分도 떼어주고 가는 삶을/나도 살다가 가고 싶습니다”와 같은 約束으로 이어진다.

마치 아내로부터 啓示를 받은 듯한 人物로 變化돼 갔던 詩人은, 안쓰러운 生命들을 돌보는 者의 목소리를 내려고 애를 쓰는 한便으로 굳센 意志를 向해 눈물의 힘으로 나아가는 듯했다. 사랑하는 사람의 죽음 앞에서 남겨진 者는 喪失感만 體得하지는 않는다는 것, 喪失感이라는 것은 ‘이제부터는 다르게 살아야만 한다’는 억척스럽고도 경이로운 삶의 결氣를 이미 包含하고 있다.

이 地點 때문에 아마도 當代의 大衆들은 그토록 熱烈히 이 詩集을 歡呼했을지도 모르겠다. 슬픔과 挫折에 기대어 울고 있을 게 아니라 다르게 살고 싶다고 作定을 해야겠기에 말이다. “눈에 보이는 빼앗김보다/눈에 보이지 않는 빼앗김으로” 인해 “더 많은 것을 잃어”(‘병실에서’) 갔던 時代가 저물고, 只今은 눈에 보이지 않는 빼앗김이라 여겼던 것들조차 볼 수 있게 된 時代이다. 다르게 살고 싶다는 作定이 그래서 더 또렷해진 時代가 온 것 같다.

김소연 是認
#접시꽃 當身 #都鍾煥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