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朝鮮의 걸크러시]〈17〉餘種, 稀代의 名唱이 되다|동아일보

[朝鮮의 걸크러시]〈17〉餘種, 稀代의 名唱이 되다

  • 東亞日報
  • 入力 2019年 1月 8日 03時 00分


코멘트
“石芥는 우물에 가서 나무 물桶을 우물 欄干에 걸어 놓고는 終日 노래만 불렀다. 그러다 날이 저물면 빈 桶을 가지고 돌아왔다. 매를 맞아도 그 버릇을 고치지 않고 다음 날도 똑같이 하였다. 하지만 그 노래는 曲調를 이루지 못해 나무꾼이나 나물 캐는 兒女子들이 부르는 水準 程度였다.”

―柳夢寅의 於于野談(於于野談) 中 ‘名唱 石芥’ 中에서

石芥는 中宗의 셋째 庶女(妾에게서 태어난 딸)인 정순옹株(貞順翁主)와 結婚한 宋寅(宋寅·1517∼1584)의 餘種이다. 그는 그리 아름다운 便은 아니었다. 얼굴은 늙은 원숭이처럼 생겼고, 눈은 좀대추나무로 만든 화살같이 찢어졌다. 宋寅 집안은 임금의 外戚이며 富者였기에 美人들이 左右에서 그를 받들어 모셨다. 그러니 石芥에게는 물 길어 오는 일 程度가 맡겨졌다.

石芥는 노래가 좋았다. 餘種으로서 맡은 일도 잊은 채 노래만 불렀다. 매를 맞아도 좋았다. 單純히 노래를 즐기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더욱 努力했다.

柳夢寅은 그의 努力을 “나물을 캐오라고 광주리를 들려 野外로 내보냈다. 石芥는 광주리를 들판에 놓아두고 작은 돌멩이를 많이 주워 모았다. 그러고는 노래 한 曲을 부를 때마다 돌멩이 하나를 광주리에 집어넣었다. 광주리가 가득 채워지면, 노래 한 曲 부를 때마다 광주리 속의 돌멩이 하나를 밖으로 집어 던졌다. 이러기를 두세 次例 反復하다가 날이 저물면 빈 광주리로 돌아왔다”는 內容으로 整理했다.

勿論 石芥는 이때도 매를 맞았다. 하지만 여기서 石芥의 熱情을 엿볼 수 있다. 배운 적 없어 曲調도 모르지만 石芥는 노래 부르기를 멈추지 않았다. 이 程度면 發聲이나 聲量 面에서 다른 사람이 따라올 수 없는 튼튼한 基礎를 갖췄을 것이다.

하늘은 스스로 돕는 者를 돕는다고 하였던가. 石芥가 노래를 부른다는 事實을 主人인 송인이 알게 됐다. 宋寅은 이를 奇特하게 여겨 노래를 배우게 했다. 聲量이 갖춰진 狀態에서 音樂 敎育을 받은 石芥는 곧 長安의 第一가는 名唱이 됐다. 石芥의 成功 스토리를 記錄한 유몽인度 ‘이런 일은 近來 100餘 年 동안 없었다’며 感歎했다.

石芥는 緋緞옷을 차려입은 채 수놓은 말鞍裝에 앉아 날마다 宴會에 불려갔다. 그 自初至終을 심수경(沈守慶·1516∼1599)의 견한雜錄(遣閑雜錄)에서 볼 수 있다. 심수경은 “石芥는 當時에 견줄 사람이 없을 程度로 歌舞에 뛰어났다. 이에 領議政이었던 洪暹(洪暹)李 절구 3首를 지어 주었다”라고 적었다.

公演의 代價로 받은 돈과 緋緞은 漸漸 쌓여만 갔다. 席個의 딸 옥생(玉生)도 좋은 遺傳子를 물려받아서인지 어머니를 이어 當代 最高의 歌手가 됐다. 이안눌(李安訥·1571∼1637)李 “漆아가 늙고 席개가 죽으니, 요즈음의 名唱은 옥생이다”라고 詩를 읊을 程度였다.

그렇다면 石芥는 幸福하게 살았을까. 理由는 모르지만 石芥는 自己 뜻을 따르지 않는다며 權勢家의 사내종을 官衙에 告訴했다가 그에게 殺害당했다. 成功한 石芥가 어려웠을 때의 初心을 잃고 甚하게 對한 結果인지, 사내종에게 問題가 있었는지, 아니면 다른 理由인지는 알 수가 없다. 다만 朝鮮時代 立志傳的 人物인 石芥의 悲劇的인 죽음은 아쉬움으로 남는다.

임치균 韓國學中央硏究院 敎授
#유몽인 #於于野談 #名唱 石芥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