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不安과 어지럼症이 함께 밀려온다면[이상곤의 實錄韓醫學]〈128〉|東亞日報

不安과 어지럼症이 함께 밀려온다면[이상곤의 實錄韓醫學]〈128〉

  • 東亞日報
  • 入力 2022年 11月 4日 03時 00分


코멘트
이상곤 갑산한의원 원장
이상곤 甲山韓醫院 院長
警鐘이 異腹同生인 英祖를 王世弟로 冊封한 것은 朝鮮 歷史를 통틀어 가장 理解하기 힘든 事件 中 하나다. 警鐘의 어머니는 희빈 張氏(張禧嬪)로 中殿 자리에 오른 人物이었지만, 英祖의 어머니는 무수리 出身 숙빈 崔氏로 賤한 身分이었다. 게다가 張禧嬪이 仁顯王后를 相對로 詛呪의 굿판을 벌인 事實을 肅宗에게 고자질해 죽게 만든 人物 또한 바로 숙빈 崔氏였다.

英祖가 稅制에 오르기까지의 過程은 緊張의 連續이었다. 夜深한 時刻인 2景에 金昌集을 비롯한 老論들이 賃金을 찾아가 영조를 洗劑로 冊封할 것을 壓迫했다. 卽位한 지 1年밖에 되지 않은 賃金(景宗)에게 稅制 冊封을 强制한 것. 이들 老論 大臣은 以後 辛壬士禍에서 처형당했다. 王世弟가 된 영조는 아침마다 警鐘에게 淸暉門을 열고 問安 人事를 했다. 當時 實勢 宦官이자 門고리 權力이었던 박상검은 淸暉門을 閉鎖하며 王世弟를 劫迫했다. 그때 영조가 할 수 있는 일은 稅制 자리를 면하게 해 달라고 懇請하는 것밖에 없었다. 그만큼 極甚한 스트레스에 시달렸다.

警鐘은 生母 張禧嬪이 自決로 生을 마감한 以後 堪當하기 어려운 마음의 傷處를 입었다. 그로 인해 생긴 癎疾과 말더듬 症狀 때문에 臣下들과의 疏通조차 圓滿하지 않을 程度였다. 英祖 또한 極甚한 스트레스로 인해 慢性的으로 어지럼症에 시달렸다. 賤한 무수리의 아들이라는 胎生的 劣等感이 삶을 짓누르는 狀態에서 영조는 自身을 稅制에 올린 老論 四大臣의 죽음을 直接 지켜봐야 했다. 警鐘 2年 4月 18日, 老論 四大臣에 對한 刑罰이 定해진 바로 그날, 영조는 어지럼症으로 첫 處方을 받았다. 承政院日記에 따르면 以後 그는 150回에 걸쳐 똑같은 處方을 받으며 어지럼症 治療를 繼續했다.

日常生活 속에서 나타나는 어지럼症의 症狀은 아주 다양하다. 놀이器具를 탈 때나 높은 곳에서 아래를 내려다볼 때, 갑자기 일어날 때, 배가 고프면서 머리가 텅 빈 듯할 때 나타나는 어지럼症은 生理的 어지럼症에 가깝다. 하지만 甚하게 周邊이 빙글빙글 도는 듯한 느낌이 든다면 耳石症이나 前庭神經炎, 메니에르病 等 病理的 어지럼症이 많다. 몸이 붕 뜨는 느낌이 든다면 腦의 以上에서 發生하는 中樞性 어지럼症을 疑心해 봐야 한다.

限平生 持續됐던 英祖의 어지럼症은 午前보다 午後에 甚하고 消化不良과 메슥거림이 同伴됐으며 四肢에 힘이 없고 疲勞한 症狀을 보였다. 이런 어지럼症은 消化器의 異常으로 發生한 것으로, 語義들이 英祖에게 내린 處方은 ‘子音健脾湯’이었다. 이 處方의 核心은 ‘賃事不佞(臨事不寧)’을 다스리는 것이었다. 恒常 不安해하는 英祖의 마음을 진정시키는 處方이었다.

어지럼症의 治療에는 經穴 마사지도 도움을 줄 수 있다. 4, 5番째 발가락 사이의 협계穴을 누르거나, 2番째 발가락 끝에 있는 여태穴을 눌러주면 症狀 緩和 效果가 나타날 수 있다. 머리를 움직일 때 어지러운 症狀은 목의 側面 筋肉인 胸鎖乳突筋을 만져주거나 뜨거운 手巾으로 마사지를 해주면 症狀 改善에 도움이 된다.

이상곤 甲山韓醫院 院長
#英祖 #不安 #어지럼症 #子音健脾湯 #經穴 마사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