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든 生命은 다 所重” 25年間 動植物 薦度齋 지내는 스님|東亞日報

“모든 生命은 다 所重” 25年間 動植物 薦度齋 지내는 스님

  • 東亞日報
  • 入力 2024年 2月 16日 03時 00分


코멘트

현덕社 住持 顯宗 스님
“實驗用 쥐-殺處分 家畜도 齋 지내
사람보다 奇特해 눈물 날 때 많아
生命-自然 所重함 느끼는 契機 되길”

현종 스님은 “길에서 죽은 동물을 보면 피해갔던 신자들이 지금은 명복을 빌어주는 모습으로 바뀌었다”며 “천도재를 통해 모든 생명이
 소중하다는 걸 느끼면 거기가 극락”이라고 말했다. 강릉=이진구 기자 sys1201@donga.com
顯宗 스님은 “길에서 죽은 動物을 보면 避해갔던 信者들이 只今은 冥福을 빌어주는 모습으로 바뀌었다”며 “薦度齋를 통해 모든 生命이 所重하다는 걸 느끼면 거기가 極樂”이라고 말했다. 江陵=李珍求 記者 sys1201@donga.com
“모습이 動物일 뿐 그 마음은 사람과 다를 것이 없지요. 어느 生命이든 所重하지 않은 것이 없는데 薦度齋를 지내는 게 當然한 것 아니겠습니까.”

12日 江原 江陵 만월산 현덕社(大韓佛敎曹溪宗)에서 만난 주지 顯宗 스님은 “25年 동안 動植物 薦度齋를 지내는 理由가 무엇이냐”는 質問에 이렇게 反問했다. 顯宗 스님은 절을 세운 1999年부터 只今까지 信者, 非信者를 가리지 않고 動植物 薦度齋를 지내고 있다.

―大雄殿에 正말 動植物 位牌가 있습니다.

“철없던 어린 時節 장난치다 빨랫줄에 앉은 제비 새끼를 죽인 적이 있습니다. 出家 後에도 그게 늘 마음에 걸려서 절을 세운 後에 그 제비 새끼를 위한 薦度齋를 지냈지요. 몇 年 하다 보니 어떻게 알고 여기저기서 自身의 伴侶動物을 위한 薦度齋 要請이 들어오더군요. 依賴하는 분들이 늘면서 只今은 陰曆 7月 15日(百中)과 10月 셋째 週, 이렇게 두 番 하고 있습니다.”

―처음에는 拒否感도 컸다고요.


“動物 薦度齋度 낯설었지만 사람 位牌와 함께 모셨으니까요. 저는 모습만 강아지와 고양이지 마음은 사람과 다를 것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오히려 사람보다 더 奇特해서 눈물이 날 때가 많지요. 世上 모든 存在는 서로가 서로에게 依支하는 演技(緣起)의 關係지요. 하물며 生命이겠습니까.”

―實驗用 쥐를 위한 薦度齋度 지내셨다고 들었습니다만.

“藥師의 要請이었어요. 大學 時節 쥐를 實驗用으로 使用한 것에 對해 只今까지도 未安함과 罪責感이 있었는데 같은 생각을 한 先後輩들이 있어서 뜻을 모았다고 하더군요. 伴侶動物뿐만 아니라 口蹄疫, 鳥類인플루엔자 等으로 殺處分된 家畜들을 위한 薦度齋, 野生 動物을 위한 薦度齋度 지냈지요.”

―외람됩니다만, 齋를 지낸다고 極樂에 가는 건 아니지 않습니까.

“하하하, 저는 薦度齋가 天道에 그치는 게 아니라 生命과 自然의 所重함을 모두가 느끼는 契機가 되길 바라지요. 薦度齋를 통해 모든 生命이 所重하다는 걸 느끼면 거기가 極樂이지요.”

―最近에 ‘억지로라도 쉬어가라’(담앤북스)라는 冊도 내셨더군요.


“生命과 環境에 對한 제 생각을 적은 건데…. 그래서 薦度齋 이야기도 들어 있는 거죠. 억지로라도 쉬어가라는 건…. 世上 사람들이 모두 없어져도 아침에는 해가 뜨고, 저녁에는 달이 뜹니다. 別途 빛나지요. 내가 없어도 世上은 잘 돌아가는데, 많은 사람이 마치 내가 없으면 世上이 안 돌아갈 것처럼 삽니다. 그래서 죽기 살기로 일하며 살고 몸이 망가지지요. 억지로라도 쉬라는 건 그런 意味입니다.”



李珍求 記者 sys1201@donga.com
#현덕社 #住持 #顯宗 스님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