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冊의 香氣]“글쓰기, 60年 걸었는데 지름길은 없더라”|동아일보

[冊의 香氣]“글쓰기, 60年 걸었는데 지름길은 없더라”

  • 東亞日報
  • 入力 2020年 4月 25日 03時 00分


코멘트

◇네 番째 原稿/존 麥皮 지음·유나영 옮김/312쪽·1만7000원·글항아리
◇어느 盧(老)言論人의 作文노트/多쓰盧 가즈오 지음·윤은혜 옮김/280쪽·1만4500원·지식노마드

스마트폰의 시대에도 글쓰기에 대한 욕망은 사그라들지 않는다. 논픽션의 대가 존 맥피는 “한 글자도 못 썼을 때 컴퓨터 앞에서 일어나 연필과 종이를 가지고 누워서 머잖아 뭔가가 떠오를 때 엎드린 채로 휘갈겨 쓰라”고 조언
한다. 게티이미지코리아
스마트폰의 時代에도 글쓰기에 對한 欲望은 사그라들지 않는다. 논픽션의 大家 존 麥皮는 “한 글字도 못 썼을 때 컴퓨터 앞에서 일어나 鉛筆과 종이를 가지고 누워서 머잖아 뭔가가 떠오를 때 엎드린 채로 휘갈겨 쓰라”고 助言 한다. 게티이미지코리아
“計劃한 모든 인터뷰를 했다. 읽으려던 모든 冊과 科學論文과 博士論文을 읽었다. 사일로 한 채를 거뜬히 채울 만한 資料를 모았는데 이제 이걸 가지고 뭘 해야 할지 알 수 없었다.”

美國 논픽션의 巨匠 존 麥皮의 冊 ‘네 番째 原稿’에 나오는 著者의 하소연이다. 60年 넘게 雜誌 ‘타임’과 ‘뉴요커’에 글을 써왔고, 地質學 動植物 人物 環境 歷史 等을 主題로 30餘 卷 冊을 써서 퓰리처賞을 받은 作家도 글을 쓸 때는 ‘陀佛라 라사(白紙 狀態)’가 된다. 89歲가 된 올 1月 뉴요커에 쓴 記事 題目도 ‘陀佛라 라사’다.

뉴요커에 실린, 글쓰기 過程을 담은 에세이 8篇을 모은 이 冊은 글을 쓰려는 사람에게 ‘李 같은 大家도 비슷한 苦悶을 한다’는 慰安을 건넨다. 그렇다고 “글쓰기의 지름길”을 알려준다고 생각하면 誤算이다. 글감을 찾은 뒤 글의 構造를 짜고, 導入部에 머리를 싸매고, 結論을 써서 草稿와 推敲를 마치는 至難한 過程을 찬찬히 짚어준다.

글감을 苦悶하는 사람에게 “아이디어는 내가 찾는 그곳에 있다”고 激勵한다. 글의 構造를 짤 때는 “救助에 글감을 억지로 끼워 맞추려다 보면 讀者들이 構造를 뻔히 눈치 채게 된다”고 힌트를 준다. 草稿에 애먹는 親딸에게 “첫 番째 原稿에는 뭐든 괜찮으니 그냥 내뱉고 吐해내고 지껄이렴” 應援하지만 정작 自身은 導入部를 쓰지 못해 끙끙댄다.

디테일에 充實하면서도 정갈한 文章에 人情味와 유머를 加味한 그의 글은 모든 形態의 作家를 따뜻하게 감싼다. “… 내가 쓰는 單語 하나하나가 모조리 自身이 없고 決코 빠져나올 수 없는 곳에 갇혔다는 느낌이 든다면 … 내 글이 失敗作이 될 게 빤히 보이고 完全히 自信感을 잃었다면, 當身은 作家임에 틀림없다.”

題目 네 番째 原稿는 著者 自身도 글을 完成시키는 데 적어도 4番은 쓰고 고쳐야 한다는 뜻이다. “單 한 줄도 북북 그어서 지우지 않는 完璧한 作家의 눈부신 肖像이란 幻想의 나라에서 온 速達郵便日 뿐이다.”

네 番째 原稿가 글을 쓰는 過程에 對한 이야기라면 ‘어느 老言論人의 作文노트’는 文章에 對한 이야기다. 日本 아사히신문 1面 덴세이진고(天聲人語) 칼럼을 1975年부터 13年間 執筆한 著者(2017年 작고)는 살아있다면 90歲다.

著者는 좋은 文章에는 ‘이것만은 어떻게든 傳達하고 싶다’는 글쓴이의 마음이 담겨야 한다고 말한다. 그것도 “글을 어떻게 쓸까 苦悶하는 일은 作家에게는 목숨을 걸고 서로 칼로 찌르는 일과 다름이 없다”(가와바타 야스나리)는 渾身의 마음이다. 文章은 어깨에 힘을 빼고 쓰라고 勸한다.

同時代를 살며 글을 써온 著者들이어서인지 두 冊에는 呼應하는 忠告가 적지 않다.

“글쓰기는 選別(選別)”(…原稿)이고 “‘빼다’는 動詞와 함께하는 勞動”(…作文노트)이다. “‘틀에 박힌 表現’과의 格鬪를 벌인다는 뜻”(…作文노트)은 “빌려온 生動感 위에는 絶對 順調롭게 着陸할 수 없다”(…원고)는 것이다. 두 著者는 귀스타브 플로베르의 ‘가장 適切한 한 單語(le mot juste)’를 찾는 일이 글쓰기라고 ‘合意’한다.
 
민동용 記者 mindy@donga.com
#네 番째 原稿 #존 麥皮 #어느 老言論人의 作文노트 #多쓰盧 가즈오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