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點字블록 따라 마음놓고 散策할 수 있게”|동아일보

“點字블록 따라 마음놓고 散策할 수 있게”

  • 東亞日報
  • 入力 2015年 12月 18日 03時 00分


코멘트

[내가 바뀌면 世上이 바뀝니다]
[12月의 主題 ‘이제는 實踐’] <242>障礙物 없는 施設 만들기

세 살 때 눈이 멀었다. 甚한 熱病이 빛을 앗아갔다. 恒常 걸음을 操心해야 했다. 다른 사람이나 壁에 부딪치기 일쑤였다. 마음 놓고 발을 내디딜 수 있는 곳이 없었다. 이형례 氏(66·女)에게 하얀色 지팡이에 依存해 혼자 길을 걷는 것은 想像 속에서만 可能한 일이었다.

2008年 想像은 現實이 됐다. 서울 南山에 걷기 좋은 散策路가 생겼기 때문이다. 視覺障礙人을 위한 點字블록이 3.5km에 이르는 散策路를 따라 깔려 있었다. 急激히 꺾이는 部分이 없어 부딪칠 念慮 없이 便히 걸을 수 있었다. 李 氏는 每日 이 散策路를 따라 運動했다. 15日 午前 10時에도 紫朱色 털帽子를 쓰고 오리털 점퍼까지 껴입은 李 氏는 오른손에 쥔 하얀色 지팡이로 바닥을 左右로 가볍게 ‘콩콩’ 하고 두드리며 散策을 始作했다. 李 氏는 “서울 市內에 視覺障礙人들이 마음 놓고 발 디딜 수 있는 空間이 생겨 正말 幸福하다”고 말했다.

障礙人 便宜施設이 늘고 있다. 國土交通部는 2007年부터 ‘障礙物 없는 生活環境 認證制度’를 導入해 施行하고 있다. 障礙人이나 老弱者가 不便 없이 利用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建物이나 施設物을 認證해 주는 制度다. 서울市 廳舍, 동대문디자인플라자, 국립현대미술관 等 全國 203곳이 認證을 받았다.

하지만 아직 不足하다는 指摘이 많다. 정작 障礙人들이 利用하기 어려운 境遇가 많기 때문이다. 서울 地下鐵 7號線 어린이大公園役에는 公園 入口까지 300餘 m에 걸쳐 點字블록이 設置돼 있다. 하지만 出入口 工事 가림幕 等이 블록 連結을 막고 있었고 정작 公園 內部에는 블록이 없어 視覺障礙人 혼자 公園施設을 즐길 수 없는 構造였다. 15日 이곳을 찾은 視覺障礙人 나병택 실로암障礙人自立生活센터 所長(52)은 “點字블록만으로는 目的地를 제대로 찾는 데 限界가 있고 그마저도 工事 때문에 中間에 끊겨 있어 길 찾기가 쉽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승철 韓國視覺障礙人聯合會 再活志願센터 팀長은 “障礙人 便宜施設이 數的으로는 늘고 있지만 정작 實效性이 없는 境遇가 많다”며 “障礙人들이 直接 意見을 내고 反映할 수 있는 制度的 裝置가 必要하다”고 指摘했다.

박성진 記者 psjin@donga.com
#實踐 #障礙物 #點字블록 #障礙人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