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現 時代의 마지막 메시냐, 새 時代의 처음 음바페냐|동아일보

現 時代의 마지막 메시냐, 새 時代의 처음 음바페냐

  • 뉴스1
  • 入力 2022年 12月 16日 13時 44分


코멘트
2022 카타르 월드컵에서 킬리안 음바페가 이끄는 ‘디펜딩 챔피언’ 프랑스가 생애 첫 우승을 노리는 리오넬 메시(이상 파리 생제르맹)의 아르헨티나와 19일(한국시간) 0시 결승전에서 맞대결을 벌인다. ⓒ News1
2022 카타르 월드컵에서 킬리안 음바페가 이끄는 ‘디펜딩 챔피언’ 프랑스가 生涯 첫 優勝을 노리는 리오넬 메시(以上 파리 생제르맹)의 아르헨티나와 19日(韓國時間) 0時 決勝戰에서 맞對決을 벌인다. ⓒ News1
世界 蹴球의 現在와 未來를 代表하는 두 아이콘이 월드컵 트로피를 놓고 맞對決을 펼친다. 只今이 누구의 時代인지를 決定할 象徵的 한판이 될 듯하다.

아르헨티나와 프랑스는 19日 午前 0時(以下 韓國時間) 카타르 루사일 스타디움에서 2022 國際蹴球聯盟(FIFA) 카타르 월드컵 待望의 決勝戰을 치른다.

이 競技는 나란히 通算 3回 優勝에 挑戰하는 아르헨티나와 프랑스의 自尊心 싸움도 흥미롭지만, 두 나라를 代表하는 最高의 攻擊手 리오넬 메시(35)와 킬리안 음바페(23·파리생제르맹)의 맞對決만으로도 많은 關心이 모아진다.

現 時代를 代表하는 選手는 斷然 메시다.

世界 最高 選手에게 주어지는 발롱도르를 7回 受賞, 이 部門 歷代 最多 記錄을 保有한 것을 包含해 各種 大會 得點王 22回, 유럽축구연맹(UEFA) 챔피언스리그(UCL) 4回 優勝 等을 일구며 오랜 時間 最高의 자리를 維持해왔다.

하지만 스포츠 世界에선 그 어떤 選手도 永遠할 수 없다. 메시度 어느덧 隱退할 나이가 됐고 머지않아 ‘포스트 메시’에게 蹴球의 神 자리를 넘겨줘야하는데 代表走者가 음바페다.

음바페는 벌써 5個의 프로 커리어 優勝 트로피와 8個 大會 得點王을 거머쥐었고 4年 前엔 메시가 갖지 못한 월드컵 트로피도 먼저 움켜쥐었다.

成長勢가 워낙 가파르기에 많은 專門家들은 ‘메시의 時代’가 끝나면 앞으로는 ‘음바페의 時代’가 到來할 것이라 自信하고 있다.

따라서 이番 맞對決은 메시가 아직은 나의 時代라는 것을 證明하느냐, 아니면 음바페가 새로운 時代가 왔음을 宣布하느냐가 걸린 意味 있는 勝負다.

大會 前 이番이 마지막 월드컵이라고 미리 宣布한 메시는 아직 自身의 太陽이 저물지 않았음을 여러 次例 보여줬다.

特히 16强 濠洲戰 得點과 4强 크로아티아戰에서 훌리안 알바레스(맨체스터 시티)의 골을 돕는 場面은 白眉였다.

음바페度 存在感은 分明하다. 지난 大會에선 ‘빛나는 助力者’ 程度였다면, 이番 大會에선 完全히 主軸이다.

全體 選手 中 가장 많은 21回의 드리블 突破 成功 記錄과 함께 勝負處마다 골을 터뜨리며 프랑스 決勝 進出의 一等 功臣으로 떠올랐다.

萬若 이番에도 優勝 트로피를 거머쥔다면 이제는 ‘神聖’이 아닌 ‘이 時代의 별’로 봐야 옳다.

공교롭게도 둘은 各各 5골을 記錄, 熾烈한 得點王 競爭도 벌이고 있다. 大會 마지막 競技인 決勝戰에서 더 많은 골을 터뜨리는 選手가 得點王과 優勝에 더 가까워지는 건 勿論이다.

두 個의 타이틀을 모두 챙긴 選手가 카타르 월드컵의 主人公이자 ‘이 時代 最高’가 되는 것은 當然하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