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幽靈 兒童’ 2123名 中 249名 死亡·814名 搜査…1025名만 生存|東亞日報

‘幽靈 兒童’ 2123名 中 249名 死亡·814名 搜査…1025名만 生存

  • 뉴시스
  • 入力 2023年 7月 18日 10時 19分


코멘트

福祉部, 出生 未登錄 兒童 全數 調査 結果 發表
出生 申告 遲延 事例 86%는 婚姻 問題·未婚母
死亡 兒童 保護者 中 7名, 犯罪 聯關 檢察 送致

政府가 ‘幽靈 兒童’으로 불리는 出生 未登錄 兒童에 對한 全數 調査를 實施한 結果 1025名의 生存을 確認했지만 249名은 死亡한 것으로 나타났다.

保健福祉部는 18日 臨時 新生兒 番號로 남아있는 2123名에 對한 地自體 行政 調査 結果를 發表하며 이같이 밝혔다.

이番 全數調査는 監査院 監査過程에서 提起된 疾病管理廳 豫防接種 統合管理시스템에 住民登錄番號로 轉換되지 않고 臨時 新生兒 番號로 남아있는 兒童의 素材·安全을 把握한 것으로 지난 6月28日부터 이달 7日까지 實施했다. 福祉部 關係者는 “基本的으로 7日까지 調査를 했고 一部 事例에 對해 確認 作業이 必要해 지난週 中盤까지 調査를 實施했다”고 말했다.

調査 結果 生存이 確認된 兒童은 1025名이고 249名은 死亡했다. 814名은 現在 搜査가 進行 中이며 35名은 醫療機關 誤謬로 나타났다.

調査 結果를 具體的으로 보면 地自體에서 身邊 確認이 된 兒童은 48.4%인 1028名이다. 出生 申告가 完了된 兒童은 704名(91.3%), 出生 申告를 할 豫定인 兒童은 46名(6%)이고 海外에서 出生 申告를 한 兒童은 21名(2.7%)이다.

出生 申告가 完了됐거나 豫定인 兒童 中 378名(49%)은 家庭 內에서 養育되고 있었고 354名(45.9%)은 入養 또는 施設 入所, 27名(3.5%)은 親姻戚 養育, 12名(1.6%)은 家庭 委託 等 其他 事例에 該當했다.

出生 申告가 遲延된 事由로는 36名(78.2%)李 父母의 婚姻 關係 問題, 5名(10.9%)李 保護者 中 1名이 未登錄 外國人, 4名(8.7%)李 未婚母로 因한 出生申告 負擔·遲延, 1名(2.2%)이 外國 居住者 等이었다.

醫療機關 誤謬의 境遇 20名은 死産·遺産했으나 臨時 新生兒 番號가 附與된 事例이고, 14名은 오등록, 1名은 臨時 新生兒 番號 重複 等이다.

地自體에서 兒童의 素材를 確認할 수 없어 搜査 依賴를 한 兒童은 1095名이다. 犯罪嫌疑뿐 아니라 地自體의 調査 過程 中에 保護者와 連絡이 안 되는 境遇 等도 包含했다.

搜査依賴 事由는 ▲베이비박스 等 有機 601名(54.9%) ▲保護者 連絡杜絶·訪問拒否 232名(21.2%) ▲出生申告 全 入養 89名(8.1%) ▲出生事實 夫人 72名(6.6%) ▲書類 提出 不可, 兒童 所在把握 不可 等 其他 101名(9.2%)이다.

警察은 現在 814名의 兒童을 對象으로 犯罪 聯關性 等을 搜査 中이며, 終結한 件은 281名이다. 이 中 死亡 兒童의 保護者 7名에 對해서는 犯罪와 聯關돼 檢察에 送致했다.

한便 調査 對象 兒童을 出産할 當時 保護者의 年齡은 10代 230名(10.8%), 20代 866名(40.8%), 30代 以上이 1027名(48.4%)이었다.

調査 過程에서 經濟的 어려움 等으로 福祉서비스 連繫를 支援한 境遇는 45件, 出生申告 履行을 支援한 境遇는 43件으로 集計됐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