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大統領 “赦免制度 改善” 强調 다음날, 政府 ‘政治改革’ 着手|東亞日報

大統領 “赦免制度 改善” 强調 다음날, 政府 ‘政治改革’ 着手

  • 東亞日報
  • 入力 2015年 5月 6日 03時 00分


코멘트

法務部에 實務班… 6月까지 法改正
朴大統領의 政治改革 첫 카드… 赦免權 縮小 等 高强度 措置 豫想
野 “政治的 接近은 안돼” 警戒

朴槿惠 大統領이 政治 改革 方案으로 特別赦免 制度 改善을 指示한 뒤 政府가 발 빠르게 後續 措置 마련에 나섰다. 政府는 法務部에 實務作業班을 設置하고 6月까지 赦免法 改正에 나설 方針이다.

추경호 國務調整室長은 5日 政府서울廳舍에서 현정택 大統領政策調整首席祕書官, 김주현 法務部 次官 等과 關係機關 會議를 열고 “國民이 共感할 수 있는 赦免制度 改善方案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赦免制度 改善은 朴 大統領이 强調한 政治 改革의 첫 카드인 만큼 大統領의 赦免權 縮小 等 强度 높은 改善方案이 나올 것으로 展望된다.

赦免權은 憲法上 大統領의 固有 權限이다. 現在 赦免制度는 一般赦免과 特別赦免으로 나뉘어 있다. 一般赦免은 對象 犯罪와 基準을 定해 一律 施行하면서 國會의 同意가 必要하지만 特別赦免은 國會 同意가 必要하지 않다.

김대중 政府를 包含해 그 以前 政府에서는 一般赦免과 特別赦免이 섞여 있었다. 하지만 노무현 政府와 李明博 政府에서는 모두 特別赦免만 各各 8回와 7回 實施됐다. 執權 3年 次를 맞은 朴 大統領은 지난해 1月 설을 앞두고 生計型 事犯만 한 次例 特別赦免을 實施했다.

政府 次元의 赦免法 改正 方向은 아직 具體的인 內容이 흘러나오지 않고 있다. 하지만 朴 大統領이 먼저 特別赦免 制度 改善을 指示한 만큼 赦免의 權限을 縮小하고 그 對象을 制限하는 方向으로 가닥이 잡힐 것이라는 視角이 많다. 또한 事實上 一般赦免이 有名無實해지고 있는 狀況에서 特別赦免도 國會 意見을 求하는 條件을 붙일 것이라는 얘기도 나온다. 朴 大統領이 “(赦免 過程에서) 國民的 合意가 있어야 한다”고 말한 것도 이런 氣流와 無關하지 않다.

實際로 朴 大統領이 黨 代表였던 2004年 한나라당은 大統領이 赦免權을 行使할 때 國會에 意見을 求하도록 하는 內容의 赦免法 改正案을 發議해 國會에서 通過시켰다. 하지만 當時 櫜鞬 大統領 權限代行의 拒否權 行事로 廢棄됐다.

이 밖에도 特定 類型의 犯罪는 赦免 對象에서 아예 除外하거나, 一定 期間이 지나야 赦免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方案 等이 擧論되고 있다.

赦免法은 1948年 制定된 뒤 只今까지 3次例만 改正됐다. 그나마 2008年 3月 法務部에 赦免審査委員會를 導入한 게 가장 큰 變化였다. 나머지 2次例는 2011年 7月 赦免審査委員會 審査過程 및 內容의 公開 範圍와 時機를 大統領令이 아닌 法으로 規定하고, 2012年 2月 오래된 法律用語의 自救만 修正한 게 全部였다. 現在 國會에는 11個의 赦免法 改正案이 繫留돼 있다.

野黨은 政府 움직임에 觸角을 곤두세우고 있다. 새政治民主聯合 박완주 院內代辯人은 “政府의 赦免法 改正 方向을 지켜본 뒤 本格的으로 論議하겠다”며 “다만 이番 ‘성완종 리스트’와 關聯해 野黨을 攻擊하는 素材로 삼기 위한 政治的 接近은 안 된다”고 말했다.

강경석 coolup@donga.com·한상준 記者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