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保護出産第 7月 施行, 危機妊産婦 支援 準備 萬全을[기고/정익중]|동아일보

保護出産第 7月 施行, 危機妊産婦 支援 準備 萬全을[기고/정익중]

  • 東亞日報
  • 入力 2024年 5月 16日 22時 48分


코멘트
정익중 이화여대 사회복지학과 교수·아동권리보장원 원장
정익중 이화여대 社會福祉學科 敎授·兒童權利保障원 園長
低出産 高齡化 問題를 總括할 低出生對應企劃部와 低出生首席室 新設 計劃이 나왔다. 超低出産 時代에 접어들면서 아이 한 名 한 名이 所重한 狀況이다. 지난해 出生 記錄은 있지만 出生申告가 되지 않은 未登錄 嬰幼兒 問題의 實體가 드러나 全 國民에게 큰 衝擊을 안긴 바 있다. 未登錄 嬰幼兒 2123名(2015∼2022年生)에 對한 全數調査 結果, 249名이 숨졌다는 內容이었다. 우리나라 嬰兒 死亡率은 1000名當 2.3名인 反面, 未登錄 嬰幼兒는 1000名當 約 117名이 숨진 것으로 調査돼 死亡率이 50倍 以上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社會의 關心과 支援으로 살릴 수 있는 아이가 如前히 많다는 뜻이다.

出生申告를 父母에게만 맡길 때 나타날 수 있는 未登錄 兒童 發生 危險을 줄이고자 出生通報制가 推進된다. 이는 醫療機關이 出生情報를 地自體에 알리도록 義務化하고 父母가 出生申告를 하지 않는 境遇 地自體長이 職權으로 出生登錄을 하는 制度다. 出生通報制로 兒童保護 措置를 强化할수록 妊娠 事實을 父母나 親한 親舊에게도 털어놓기 어려운 危機妊産婦들은 病院 밖으로 숨을 수 있고, 이는 産母와 아기의 生命을 위태롭게 한다. 7月 19日, 出生通報制와 함께 保護出産第 施行이 推進된다. 危機妊産婦가 身元을 밝히지 않고 假名으로 醫療機關에서 出産하도록 支援하고, 兒童을 國家가 保護해 病院 밖 出産을 豫防하기 위함이다.

一角에서는 妊産婦가 身分을 드러내지 않고 出産할 수 있다는 點을 指摘하며 保護出産제가 兒童遺棄의 通路가 될 수 있다는 憂慮를 하고 있다. 그러나 身元과 妊娠·出産의 祕密을 지켜준다는 約束은 危機妊産婦가 쉽게 도움을 要請하게 만드는 出發點이다. 다양한 選擇肢가 있고, 理由를 묻지 않을 테니 다시 한 番 생각해 보라고 하려면 危機妊産婦를 만나야 한다. 保護出産制는 이런 만남, 支援을 위한 連結고리다. 危機妊産婦가 直接 養育을 選擇하게 하려면 從事者들이 高度의 相談力量을 갖추고, 다양한 支援策을 具備하는 게 重要하다. 따라서 保健福祉部와 兒童權利保障院은 地域 相談機關 相談員에 對한 專門敎育을 徹底히 準備하고 있다. 또한 充分한 豫算 確保로 危機妊産婦가 子女를 直接 養育할 수 있도록 住居는 勿論이고 子女 돌봄, 就業, 生活 安定을 統合的으로 支援해야 한다.

保護出産制에 對해 兒童이 自身의 뿌리와 正體性을 찾을 權利를 侵害한다는 憂慮도 있다. 保護出産을 申請한 産母가 本人이나 生父의 人的 事項을 적은 ‘保護出産證書’를 作成하고, 成年이 된 兒童이 이 證書의 閱覽을 請求할 수 있도록 해 알 權利를 保障할 計劃이다. 情報公開請求의 親生母 承諾率을 높이고자 相談 段階에서부터 危機妊産婦에게 兒童의 알 權利를 充分히 說明할 것이다. 이 證書를 兒童權利保障院에 永久 保存·管理할 記錄官道 構築할 豫定이다.

保護出産制는 不足한 部分이 있지만 出生 未登錄이 可能한 現在보다 낫다. 可及的 願家庭에서 養育하는 決定을 하고, 最後의 手段으로만 保護出産을 選擇하도록 支援해야 한다. 保護出産을 選擇하더라도 兒童은 健康하게 成長하고, 알 權利가 最大限 充足되도록 해야 한다.

妊娠과 出産이 祕密이나 짐이 되는 건 社會環境 때문이다. 保護出産制는 危機妊産婦 保護와 兒童 遺棄 豫防의 最後의 堡壘가 될 것이다.

정익중 이화여대 社會福祉學科 敎授·兒童權利保障원 園長



#保護出産第 #低出産 #高齡化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