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이의 그림, 꼭 예뻐야 하나요?[오은영의 父母마음 아이마음]|東亞日報

아이의 그림, 꼭 예뻐야 하나요?[오은영의 父母마음 아이마음]

  • 東亞日報
  • 入力 2020年 12月 15日 03時 00分


코멘트

<118> 어른 눈으로 본 아이 그림

일러스트레이션 김수진 기자 soojin@donga.com
일러스트레이션 김수진 記者 soojin@donga.com
오은영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소아청소년클리닉 원장
오은영 精神健康醫學科 專門醫·小兒靑少年클리닉 院長
한 엄마가 診療室에 들어서자마자 울음을 터뜨렸다. 診療를 받은 지 좀 되는 初等學生 1學年 아이인데, 꽤 좋아졌다고 생각하던 次였다. 엄마는 “院長님, 좋아진 게 아닌가 봐요”라고 했다. 學校에서 가을을 主題로 그림을 그리라고 했단다. 아이는 무덤을 그리고, 무덤 위에 나무를 그리고, 그 무덤 앞에 ‘엄마’라고 적었다. 무덤 옆에는 해맑게 웃고 있는 自身의 모습을 그렸다.

先生님이 깜짝 놀라서 “너 왜 이런 그림을 그렸니?” 하며 魂을 냈다. 先生님이 魂을 낸 理由는 두 가지였다. 하나는 그리라는 그림 主題에 맞지 않는다는 것이고, 나머지 하나는 엄마가 돌아가셨는데 어떻게 웃고 있냐는 것이었다. 그 班 아이들 모두 집에 가서 그 아이 그림 이야기를 했고, 아이는 異常한 애가 되었다고 한다.

나는 그 이야기를 듣고 “그런데 어머니, 그림을 왜 꼭 예쁘게 그려야 하는데요?”라고 물었다. 엄마는 울다가 “네?”라며 놀랐다. “왜 가을이면 예쁜 色의 丹楓이 있고, 落葉이 있어야 해요? 沙果가 나무에 주렁주렁 매달려 있어야 할까요? 왜 꼭 그렇게 그려야 할까요?”

아이에게 왜 그렇게 그렸는지 물어봤다. 아이는 가을 하니까 省墓를 갔던 즐거운 記憶이 떠오른단다. 省墓를 가면 그곳에 멋진 나무가 있단다. 그래서 무덤을 그리고, 무덤 위에 그 멋진 나무를 그려봤단다. 무덤 옆에서 즐겁게 省墓하는 自己 모습을 그렸는데, 갑자기 엄마가 보고 싶었단다. 그래서 무덤 앞에 ‘엄마’라고 써본 거란다. 그 나름대로 다 理由가 있었다. 結局 아이는 先生님이 말한 主題에 잘 맞는 그림을 그렸던 거다. 아이에게 그림에 對해서 묻고, 班 아이들에게도 “얘들아, ○○이는 가을이면 省墓 가는데, 그게 참 좋다는구나”라고 말해주면 되는 거였다.

어른들이 보기에 아이들의 그림이 예뻐야 할 必要는 없다. 그림이 예쁘지 않아도 特徵을 잘 살려서 그리는 아이들이 있다. 이런 아이들은 視覺的 構成能力이 뛰어나고 머리가 좋은 것이다. 우리는 아이의 그림이 좀 整頓되고 어른이 보기에 納得이 되고 예뻐야 한다고 생각하는 傾向이 있다.

그림에서 知能과 聯關 짓는 것은 善과 劃의 質이다. 그림은 예쁘지 않아도 되지만, 線을 긋는 힘을 調節하는 것이나 그어진 劃의 質이 너무 많이 떨어지면 잘 살펴볼 必要가 있다. 그림의 比例나 面의 使用이 어떤지도 知能을 斟酌할 수 있는 것 中 하나다. 아이가 身體를 그렸을 때, 部分 部分이 예쁘지 않아도 된다. 아이가 成長함에 따라 精巧해지고 比率이 맞게 變해가면 된다. 아이가 그리는 사람은 精巧해질수록 손이 생기고 목이 생긴다. 어떤 아이는 사람을 公主님처럼 예쁘게 그리는 것을 좋아하지만, 어떤 아이는 사람을 그렸다 하면 동글동글 눈사람처럼 그린다. 하지만 時間이 갈수록 두 아이 모두 조금씩 精巧해지고 대충 比例가 맞으면 괜찮다.

아이가 어릴 때는 그림을 잘 그리고, 集中해서 꼼꼼히 色漆하면 머리가 좋거나 工夫를 잘할 거라고 생각되기도 한다. 冊床 앞에 앉아서 하는 活動이라 그렇게 생각할 수 있다. 그리 틀린 생각은 아니다. 色漆을 대충 하는 아이들은 工夫도 대충대충 할 수 있다. 普通 注意力이 떨어지는 아이들은 진득하게 앉아서 色漆을 꼼꼼하게 하지 못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아이가 正말 熱心히 하는데도 삐뚤빼뚤하고 자꾸 色漆한 것이 線을 넘어 빠져나간다면 소筋肉 發達을 돕는 活動을 考慮해봐야 한다.

하지만 父母가 보기에 아이가 대충대충 그리고 色漆한다고 해서 神經 써서 제대로 좀 하라고 잔소리를 해서는 안 된다. 父母가 너무 悲壯하면 아이들은 스트레스를 받는다. 事實 그림 그리기는 아이에게 便安한 活動이어야 한다. 재미있어야 하고, 즐거워야 한다. 父母가 “誠意 있게 제대로 해. 또 삐져나갔잖아” 하면서 悲壯해지면 아이에게는 그림 그리는 것조차 負擔이 된다.

어린아이들은 그림을 성실하게 잘 그리는 것을 目標로 삼아서는 안 된다. 아이가 그림 그리는 모습을 보고, 그저 ‘아, 우리 애는 오랫동안 앉아 있지 못하는구나’ 乃至는 ‘우리 아이는 性格이 좀 急하구나’ 等을 把握했으면 좋겠다. 그리고 ‘그림 그리기’로 그런 點을 나아지게 하려고 다그치기보다는 日常生活 속에서 그런 點을 어떤 方法으로 도와줄지 苦悶해 보는 것이 더 賢明한 일이다.

 
오은영 精神健康醫學科 專門醫·小兒靑少年클리닉 院長


#아이 그림 #視覺的 構成能力 #性格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