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종승 專門記者의 寫眞 속 人生]丹楓은 다비|東亞日報

[이종승 專門記者의 寫眞 속 人生]丹楓은 다비

  • 東亞日報
  • 入力 2017年 10月 27日 03時 00分


코멘트
이종승, ‘단풍 속에 빠진 감’. 2009년.
이종승, ‘丹楓 속에 빠진 감’. 2009年.
온 世上이 丹楓에 물들었다. 寫眞을 趣味로 하는 사람들은 丹楓 찍을 마음에 설렌다. 하지만 形形色色의 빛깔을 뽐내는 丹楓은 얼마 가지 않아 落葉이 된다. 花無十日紅人 것처럼 丹楓도 그리 오래가지 못한다. 그래서 한 詩人은 雪嶽山 丹楓을 報告 ‘茶毘場(茶毘葬)’이라 表現했다. 丹楓은 잎사귀가 땅으로 돌아가기 前 마지막 불꽃을 태우는 것이라는 意味인 듯싶다.

서울의 丹楓 名所 가운데는 성북동에 있는 吉祥紗度 있다. 吉祥紗는 無所有를 平生 實踐한 법정 스님이 創建한 절이다. 吉祥紗에 萬追加 되면 丹楓과 落葉의 情趣를 느끼려는 市民들이 하루 數千 名 몰린다. 사람들은 丹楓의 아름다움에 젖기도 하지만 그 잎들이 떨어져 수북이 쌓여있는 落葉들을 보고 思索에 들기도 한다. 吉祥紗는 落葉을 쓸지 않는다. 어느 晩秋에 法文을 위해 江原道에서 아침 일찍 吉祥紗에 到着한 스님이 境內의 落葉을 쓸던 擧事(男子 信徒)에게 “사람들이 落葉을 밟으며 情趣를 느낄 수 있도록 쓸지 마라”고 當付한 뒤부터다. 吉祥紗에 많은 사람들이 오는 것은 平生 淸貧의 修道者로 살다 간 법정 스님의 가르침을 다시금 일깨우려는 마음도 있을 것이다.

丹楓은 戰警으로 表現하는 게 一般的이고 普通 24∼70mm 렌즈를 쓴다. 105mm 以上 望遠렌즈는 잎 하나하나를 클로즈업하는 데 쓰기도 하지만 그보다는 멀리 있는 全景을 찍을 때 使用한다. 丹楓 든 色깔을 强調하고 싶으면 逆光을 利用하면 된다. 이때 露出에 神經을 써야 하고 光線이 렌즈에 正統으로 들어오지 않도록 角度를 잘 잡아야 한다. 携帶電話 카메라는 와이드와 망원 機能을 번갈아 使用해 가며 丹楓을 찍어보고 自身이 느꼈던 感情을 가장 가깝게 表現한 앵글을 確認한 後, 集中的으로 撮影하는 게 願하는 寫眞을 얻는 方法 中 하나다.

記者는 집 近處에 있는 길上司를 7年 가까이 찍었다. 여러 해 동안 찍다 보니 前景보다는 意味를 찾을 수 있는 모습에 더 눈길이 갔는데 이 寫眞도 그中의 하나다. 까치밥으로 남겨 놓은 감 몇 個가 丹楓을 背景으로 달려있는 모습을 찍은 것이다. 感이 마치 丹楓의 다비 속에 들어있는 것 같아 佛敎的 이미지와 어울린다는 생각이 든다.
 
이종승 專門記者 urisesang@donga.com
#서울의 丹楓 名所 #城北洞 吉祥紗 #사람들이 落葉을 밟으며 情趣를 느낄 수 있도록 쓸지 마라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