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 마디를 듣기 위한 5個月의 旅程|디오리지널
Inside

한 마디를 듣기 위한 5個月의 旅程

京畿 安山 現場 取材의 重要性
신희철 記者 | 동아일보 社會部 2022-02-07 08:56:04
“너 韓國人이었어?”

이 말은 히어로콘텐츠팀 4期가 無慮 5個月假量을 準備해 報道한 ‘ 共存 : 그들과 우리가 되려면 ’ 시리즈 1回의 첫 文章이다. 全校生 449名 中 韓國人이 6名에 不過한 京畿 安山原曲初에서 만난 한 移住背景 學生은 親舊 양주원(12)에게 이렇게 물었다. “주원이가 韓國人인거 알았어요?”라는 取材팀의 質問에 깜짝 놀라 되물은 것이다. 親舊가 된 지 3年 만에 안 事實이라고 했다.

記事뿐만 아니라 冊, 다큐, 映畫 等 콘텐츠 製作 關聯 일을 하는 사람들이라면 첫 文章의 重要性을 너무나 잘 안다. 무엇을 앞세워야 궁금症을 자아내고 沒入感을 줄 것인지 끊임없이 苦悶하기 때문이다. 첫 文章으로 쓸 수 있는 멘트를 發見했을 때의 짜릿함은 말로 表現하기 어렵다.
“너 韓國人이었어?”라는 말을 듣기까지
取材팀 亦是 그동안 들었던 수많은 말 中 新鮮했던 것을 고르고 골랐지만 “너 韓國人이었어?”가 壓卷이었다. 移住民에게 이 같은 말을 들어본 적이 없을 ‘韓國人 어른들’李 想像하지 못할 멘트였다. 大韓民國의 한 初等學校에서 이런 일이 벌어지고 있다는 事實은 ‘移住民과의 共存은 避할 수 없는 未來’라는 問題意識을 보여주기에도 적합했다. 또 아이들은 이미 國籍을 神經쓰지 않고 잘 어울리고 있다는 點을 보여줌으로써 어른들의 認識 轉換이 必要하다는 點도 强調할 수 있었다.

짧지만 强烈한 이 멘트는 現場 取材 막바지에 얻어낸 것이다. 取材팀이 京畿 安山에 처음 간 것은 지난해 8月 23日. 原曲秒에 처음 가서 校長 先生님을 만난 건 10月 14日이었다. 安山이라는 巨大한 都市에서 敎育 問題에 集中하고, 그 中에서도 원穀草를 發見하기까지 이미 한 달 半假量의 時間이 걸렸다.

以後 校長 先生님을 비롯해 校監 先生님, 多文化部長 先生님, 擔任 先生님 等을 數次例 만나 說得한 끝에 學校 안을 들여다볼 수 있는 ‘入場券’이 주어졌다. 當時 學校에서 코로나19 確診者가 잇따라 나와 先生님들은 매우 조심스럽고 保守的인 立場이었다. 學父母들에게 一一이 同意書를 받고 나서야 인터뷰와 制限的인 寫眞 撮影이 可能했다. 코로나19 確診者 發生으로 取材 日程은 變更되기 일쑤였다. 取材팀은 아예 學校 빈 敎室에 ‘記者室’을 차리고 常住하면서 어떻게든 學生 한 名, 先生님 한 名이라도 더 만나려고 했다. 一部 授業 參觀도 어렵게 許諾받아 學校에서 벌어지는 일을 있는 그대로 觀察하기도 했다.
2021년 11월 19일 경기 안산원곡초에서 취재팀 전원이 빈 교실에 모여 인터뷰를 준비하던 모습. 왼쪽부터 필자, 김재희 기자, 이새샘 기자, 남건우 기자.2021年 11月 19日 京畿 安山原曲初에서 取材팀 全員이 빈 敎室에 모여 인터뷰를 準備하던 모습. 왼쪽부터 筆者, 김재희 記者, 이새샘 記者, 남건우 記者.
“너 韓國人이었어?”라는 멘트를 들은 건 지난해 12月 17日. 8月부터 一週日에 平均 3, 4日씩 安山을 오가던 取材팀은 이날도 어김없이 원穀草를 찾았다. 6名에 不過한 韓國人 中 1名인 주원이를 다시 만나기 위해서였다. 取材팀은 이미 11月에 주원이를 만났고, 12月 初에는 주원이 어머니까지 인터뷰해서 ‘왜 移住民이 많은 學校에 보내는지’ ‘長短點은 무엇인지’ 等을 把握한 狀態였다. 그럼에도 더 新鮮한 멘트, 더 재미있는 스케치거리를 찾아나선 길이었다.

이날 午後 1時 下校길에 아이들이 쏟아져 나오자 取材팀은 주원이와 그의 親舊들을 따라 다녔다. 아이들이 自然스럽게 노는 過程에서 나오는 말이나 行動에 注目했다. 粉食집에서 떡볶이를 먹던 주원이는 本人이 생각지도 못한 ‘國籍 公開’를 했다. 取材팀의 質問을 받은 移住背景 아이가 “只今 알았어요. 주원이度 다른 나라에서 왔다고 생각했다”며 “너 韓國人이었어?”라고 말한 것이다. 떡볶이를 입안 가득 넣고 오물거리던 주원이는 고개를 끄덕였다.

取材팀은 아이들의 말과 下校길 動線을 통해 隣近 새아파트 團地에서 원穀草를 보내는 韓國人 學父母가 거의 없다는 事實도 確認할 수 있었다. “새아파트로 移徙 갔는데 原曲初 다니는 親舊는 한 名도 없어요”라던 주원이의 말, 下校길에 大部分의 移住背景 아이들이 老朽化된 多世帶·多家口 住宅 密集 地域으로 걸어가던 모습을 當日 現場에서 捕捉했다.

아이들의 말과 行動은 共存 시리즈 全體를 貫通하는 問題意識을 뚜렷하게 하는 데도 도움이 됐다. 原曲草家 位置한 원곡동 一帶 ‘韓 마을’에 ‘價値觀이 다른 두 世界가 있다’는 팩트를 證明할 根據가 더욱 豐盛해진 것이다. ‘韓 마을 두 世界’란 事實은 ‘ 原曲에는 國境이 있다 ’ 는 1回 題目을 뽑아내는 데 큰 影響을 줬다.
軍入隊를 코 앞에 둔 ‘主人公 候補’와의 짧고 굵은 만남
原曲初 取材 經驗은 現場을 오랫동안 자주 찾는 것의 重要性을 알게 해줬다. 長期 프로젝트의 長點을 活用해 現場을 갈 수 있을 때까지 가는 게 分明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制限된 時間을 最大限 效率的으로 活用하는 것 亦是 重要했다. 海兵隊 入所를 코 앞에 둔 取材源과의 만남에선 얻은 것이 많았지만 아쉬운 點도 있었다.

共存 시리즈 4回 主人公인 ‘인도네시아系 韓國人’ 윤대성 氏(20)를 처음 만난 건 지난해 10月 13日이었다. 韓國人 아버지와 인도네시아 出身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대성 氏가 海兵隊를 自願했다는 點이 讀者들의 興味를 끌 것 같았다. 直接 만나본 대성 氏는 여러 言語와 文化에 익숙한 點에서 ‘多重正體性 世代’를 代表할 만한 ‘主人公 候補’로 느껴졌다.

問題는 時間이었다. 대성 氏의 海兵隊 入所일은 10月 25日. 인터뷰와 追加 取材를 할 수 있는 期間이 2週日도 채 남지 않았다. 더군다나 入隊 前에 人事할 사람이 많은 대성 氏의 時間을 繼續 뺏을 수도 없었다. 짧지만 굵은 만남이 必要했다.
2021년 10월 23일 안산 대부도에서 윤대성 씨와 친구들을 취재하던 현장에서 필자가 촬영한 동료들. 왼쪽부터 김재희 기자, 남건우 기자, 송은석 기자.2021年 10月 23日 安山 大阜島에서 윤대성 氏와 親舊들을 取材하던 現場에서 筆者가 撮影한 同僚들. 왼쪽부터 김재희 記者, 남건우 記者, 송은석 記者.
10月 18日 대성 氏와 2次 인터뷰를 하고, 23日에는 그를 하루 終日 따라 다녔다. 當日 午前 대성 氏 집을 訪問해 家族 寫眞, 인도네시아 高校 卒業張 等을 보며 이야기를 나눴다. 取材팀을 나눠 一部는 대성 氏 어머니와 인터뷰를 하고, 나머지는 대성 氏가 美容室에서 머리를 짧게 미는 모습도 스케치했다. 午後에는 대성 氏 親舊들과 安山 大阜島 旅行을 갔다. 함께 海物칼국수를 먹고 바닷가 散策도 했다. 25日 入所 當日에는 慶北 浦項의 海兵隊 敎育訓鍊團까지 따라갔다. 入所 直前까지 대성 氏의 말과 行動을 記錄했다.

짧고 굵은 만남의 成果는 분명했다. 대성 氏가 ‘海兵隊는 이곳에서 始作된다’는 看板 앞에서 敬禮를 하는 모습은 4回 메인 寫眞으로 일찌감치 確定됐다. 대성 氏와 어머니가 抱擁하는 場面, 인도네시아 親舊들과 映像 通話를 하는 場面은 感動과 재미를 더했다. 大阜島를 따라간 德分에 대성 氏 親舊들을 인터뷰할 수 있었고, 海兵隊를 따라가서 대성 氏 어머니, 누나와도 조금 더 가까워질 수 있었다.

아쉬운 點도 많이 남았다. 대성 氏를 만나는 每 瞬間 ‘마지막 機會’라는 切迫한 마음으로 取材했지만, 디테일한 取材 포인트를 놓친 것도 많았다. 대성 氏가 海兵隊를 支援한 理由를 좀더 根本的인 次元에서 들어보는 것부터 學窓 時節의 記憶, 未來 計劃까지 追加 取材가 必要한 것들이 繼續 나왔다. 家族과 親舊들을 통해 補完해나갔지만, ‘그 때 이렇게 물어볼 걸’하는 아쉬움이 많았다.

記者가 된 以後로 이렇게 오랫동안 한 가지 아이템을 取材해 본 적이 없다. 이番 機會에 배운 點은 ‘現場에 答이 있다’는 뻔하지만 重要한 事實이다. 또 주어진 時間이 많더라도 ‘現場은 永遠하지 않다’는 것이다. 每日 最善을 다하는 努力은 短期 프로젝트든 長期 프로젝트든 相關없이 重要해 보인다.
關聯 콘텐츠 더보기
共存 : 그들과 우리가 되려면 人口絶壁 時代, 減少한 人口를 代替하는 移住民과의 共存은 避할 수 없는 課題가 됐다.
우리는 그들과 더불어 살 수 있을까. 韓國에서 外國人이 가장 많은 都市 京畿 안산시를 中心으로 答을 찾아본다.
2022.01.16~01.19 · 시리즈 4話 · 히어로 콘텐츠 4期
신희철 기자
신희철 記者 | 동아일보 社會部

信賴받는 記者를 目標로 2012年부터 不動産, 流通, 産業, 社會 分野를 取材했습니다. 記者는 取材한 內容을 잘 整理해서 傳達하면 된다고 생각해왔는데, 히어로콘텐츠팀을 통해서 '스토리'의 重要性을 알게 됐습니다. 典型的인 記事 틀을 깨고 ‘卓越한 이야기꾼’李 돼 보겠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