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美術&疏通]서로에게 스며들자, 스러지지 말자|동아일보

[美術&疏通]서로에게 스며들자, 스러지지 말자

  • Array
  • 入力 2010年 8月 10日 03時 00分


코멘트

■아르코美術館 ‘노마딕 파티’展
■文化위 옛 廳舍 ‘自治區域 1-130’展

아르코미술관과 다국적 작가 공동체인 ‘나인드래곤헤즈’가 공동 기획한 ‘노마딕 파티’의 전시장. 지구촌 곳곳을 누벼온 14개국 작가26명이 여행, 전시, 퍼포먼스 등 다양한 방식으로 장르적 경계를 허무는 실험적 작업을 선보였다. 고미석 기자
아르코美術館과 多國籍 作家 共同體인 ‘나인드래곤헤즈’가 共同 企劃한 ‘노마딕 파티’의 展示場. 地球村 곳곳을 누벼온 14個國 作家26名이 旅行, 展示, 퍼포먼스 等 다양한 方式으로 장르的 境界를 허무는 實驗的 作業을 선보였다. 고미석 記者
유럽과 韓國을 旅行하면서 길거리에서 주어온 雜동사니가 흰色 千 위에 얌전히 놓여있고, 한쪽에는 서울의 空氣로 채운 비닐封紙들이 모여 있다. 事務室에서 흔히 보는 둥근 卓子를 켜켜이 쌓아올린 設置作品이나 나무젓가락으로 만든 마루와 칸막이도 神奇하다.

서울 종로구 大學路 아르코美術館에서 9月 5日까지 이어지는 ‘노마딕 파티(Nomadic Party)’前이다. 15年의 傳統을 자랑하는 多國籍 作家共同체인 ‘나인드래곤헤즈’와 美術館이 共同 企劃한 國際戰으로 14個國 26名이 한 곳에 뿌리내리지 않는 遊牧民을 뜻하는 ‘노마드’를 話頭로 삼아 美術館 안팎에서 祝祭의 場을 펼친다. 하나하나 作品에 傍點을 두기보다 모든 作業이 서로 스며들고 疏通해 總體藝術의 饗宴을 志向하는 자리다. 장르的 境界와 慣習的 表現을 허물면서 旅行, 展示, 퍼포먼스 等으로 뒤범벅된 實驗的 作業을 볼 수 있다. 02-760-4850

아르코美術館 옆에 자리한 韓國文化藝術委員會 옛 廳舍에서 14日까지 열리는 ‘自治區域 1-130’展 亦是 作品의 相互 聯關性을 重視한다. 1931年 最初의 韓國人 建築家 박길룡(1899∼1943)의 設計에 따라 京城帝國對 本館으로 지은 建物에는 서울대 本部를 거쳐 1972年 以後 韓國文化藝術委員會가 자리했다. 委員會가 구로동으로 移轉한 뒤 廳舍는 ‘藝術家의 집’으로 用途 變更을 앞두고 暫時 비어있는 狀態. 參與作家 14名 中 채지영 氏가 企劃한 展示는 韓國 近現代史의 呼吸이 서린 낡은 空間을 新鮮한 想像力으로 채우며 ‘멋진 告別舞臺’를 꾸몄다.

○ 끝이 아닌 展示

옛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건물에서 열리는 ‘자치구역 1-130’전. 김형관 씨는 사무실을 파랑 비닐과 색색의 테이프로 덮어 공간이 갖고있는 느낌을 지우고자 했다. 세월의 흔적을 간직한 건물이 한 시대를 접는 고별무대로 기획된 전시다.
옛 韓國文化藝術委員會 建物에서 열리는 ‘自治區域 1-130’展. 김형관 氏는 事務室을 파랑 비닐과 色色의 테이프로 덮어 空間이 갖고있는 느낌을 지우고자 했다. 歲月의 痕跡을 간직한 建物이 한 時代를 접는 告別舞臺로 企劃된 展示다.
世界 곳곳을 함께 누벼온 나인드래곤헤즈의 作家들은 美術科 自然, 地域 사람들과 藝術家, 作品과 作品 사이를 가로막는 境界를 부수고 包容과 열린 마음을 志向한다. 뉴질랜드의 리듬&퍼포먼스 그룹의 創始者인 筆 대드슨 氏는 熱氣球를 타고 上空을 떠다니는 브라스밴드의 連奏 映像을 통해 自然과 音樂의 사운드를 融合한다. 美國의 가브리엘 애덤스 氏는 마로니에 公園에서 아이스크림 만드는 機械로 直接 만든 아이스크림을 市民에게 나눠주는 퍼포먼스도 펼쳤다. 廢타이어로 만든 蓮꽃, 一回用品으로 만든 作品은 生態와 環境에 對한 作家共同體의 關心을 反映한다.

이들은 어디든 옮겨가는 곳을 據點으로 삼아 周邊 環境에 反應하며 이야깃거리를 만들어 온 만큼 展示도 進行形이다. 이番에도 作家들은 展示期間 中 실크로드 旅行(8∼17日)을 다녀온 뒤 沙漠 旅行의 經驗을 녹여 展示를 完成할 作定이다. 作家 박병욱 氏는 “우리의 展示는 끝이 아니라 조금씩 바뀌어가는 것이 特徵”이라며 “둔황과 타클라마칸을 移動하면서 그곳에서 發見한 美學을 바탕으로 旅行의 痕跡을 追加해 展示를 마무리할 計劃”이라고 說明했다. 旅行의 記憶과 經驗은 18, 19日 觀客 앞에서 다양한 퍼포먼스와 旣存 作業의 變化로 선보인다.

○ 끝을 기리는 展示

서울 종로구 동숭동 1-130에 자리한 3層 甓돌 建物 위에는 말 風船 模樣의 흰色 애드벌룬이 떠있다. 안으로 들어가면 用途 廢棄된 空間 구석구석에 드로잉과 映像, 寫眞과 設置 作業이 서로에게 反應하고 干涉한다. 韓紙로 떠놓은 建物 階段은 事務室에 덩그러니 놓여있고, 헬기에서 撮影한 江南의 風景이 寫眞 聯作으로 펼쳐지며, 主人이 사라진 委員長室은 온통 파랑 비닐로 뒤덮여 超現實的 雰圍氣를 자아낸다.

하나의 有機的 生命體처럼 숨쉬는 展示를 꿈꾸는 두 展示. 作品도 空間도 또 다른 모습으로 變貌하는 過程에 있음을 보여주면서 우리들 亦是 現在에 暫時 머물 뿐임을 일깨운다.

고미석 記者 mskoh119@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