則天武后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則天武后
則天武后
茂朱 女帝
在位 690年 ~ 705年
前任 睿宗
後任 中宗
唐나라 皇后
在位 655年 - 683年
이름
兆(?)
別號 兒名은 無味랑 (武媚娘), 卽位 前 이름은 撫棗 (武照)
身上情報
出生日 624年 2月 17日
死亡日 705年 12月 16日 ( 705-12-16 ) (81歲)
王朝 茂朱 皇室
配偶者 唐 太宗 李世民

唐 高宗 理致

宗敎 佛敎

則天武后 (則天武后, 624年 2月 17日 ( 陰曆 1月 23日 ) ~ 705年 12月 16日 ( 陰曆 11月 26日 ))는 唐나라 高宗 理致의 皇后이자 茂朱 (武周)의 女帝이다. 中國에서는 그를 무測天 ( 中國語 : 武則天 , 병음 : W? Zeti?n 우쩌톈 [ * ] )이라 부르기도 한다. 恐怖政治를 했다는 非難과, 民生을 보살펴 나라를 훌륭히 다스린 女帝라는 稱頌을 같이 받고 있다. 그女가 統治했던 15年을 無主義 치'라고 부른다. 그女는 中國의 唯一한 女帝였다. 그런 만큼 唐나라 滅亡 以後 文治主義와 儒敎 시스템을 中心으로 性理學的 政治體制가 마련되었던 宋나라와 以後 明나라의 儒學者들에 依해 否定的인 評價를 많이 받았다. 또한 女性의 中央政治 進出이 極度로 制限되었던 古代에 그女가 어떻게 女帝가 되려 했는가에 對한 批判과 그女의 欲心, 野慾, 欲望에 對한 것이 明나라까지의 주된 評價였다면 淸末 開港 以後 辛亥革命을 거치며 評價는 조금씩 달라졌다.

이름은 撫棗 (武照)이고, 兒名(兒名)은 無味랑 (武媚娘)이며, 女帝로 卽位하자 自身의 이름을 兆(?)로 改名하였다. 無事확 (武士?)의 次女이다. 624年에 태어나 705年 죽음을 맞이할 때까지 그의 統治는 唐 太宗에서 黨 顯宗 時期로 이어지는 唐나라 政治, 社會, 經濟, 文化를 發展 및 繼承해 顯宗 時期의 唐나라가 太宗 以後 또 다시 全盛期를 맞는 디딤돌 役割을 했다. 태어난 鳶島는 正確하지 않고, 630年 에 태어났다고 하는 說도 있다.

生涯 [ 元本 編輯 ]

初期 [ 元本 編輯 ]

撫棗는 624年 陰曆 1月 23日 에 黨의 移住(利州. 只今의 쓰촨省 광위안視 )에서 태어났다. 그女의 아버지 無事확 은 有名한 木材商인데, 數 煬帝 陽光 의 大土木 工事로 巨富가 되었다. 617年 陽光의 暴政 때문에 일어난 對叛亂에 當時 太原 留守 이연 과 같이 參戰하여 얼마 뒤 唐나라가 建國되자, 皇帝가 된 移延으로부터 太原軍功 兼 移住都督이란 爵位를 받았다. 620年 에 無事확이 本妻를 잃고, 梁氏를 새로이 妻로 맞이해, 세 딸을 낳으니 그中 둘째가 撫棗이다. 撫棗의 어머니 梁氏는 隋나라 時節 宰相을 지낸 陽달의 딸로 名門 出身이었다. [1]

後宮 時節 [ 元本 編輯 ]

636年 , 唐 太宗 李世民 皇后 長孫氏 를 잃자, 그 이듬해에 巫祖(武照)의 容貌가 빼어나다는 얘기를 듣고 12歲의 撫棗를 入宮시켜 無味(武媚)라는 稱號를 내렸는데 사람들은 그女를 無味랑(武媚娘)이라고 불렀다. [2] 無事확이 죽은 뒤로 어머니와 窮乏한 生活을 보내던 撫棗는 入宮하게 된 것을 반갑게 여겼다. [1] 그러나 撫棗는 家門이 貧寒하여 皇帝의 後宮 中 比較的 낮은 地位의 才人(才人: 情5品)에 封해졌고, 다른 後宮들의 업신여김을 받으며 어려운 宮中 生活을 보냈다. [3] 어느 날 太宗 李世民이 代身들에게 性質이 사나운 말 한 마리를 다룰 수 있겠느냐고 묻자 撫棗가 나서서 "臣妾에게는 鐵片, 鐵杻, 匕首 單 세 가지 物件만이 必要합니다. 于先 鐵片으로 말을 때리고, 듣지 않으면 鐵椎로 머리를 치고, 그래도 듣지 않으면 匕首로 머리를 잘라버리겠습니다." 고 答하였다. [3] 李世民은 撫棗의 氣槪를 稱讚하며 그女에게 賞을 내렸다 한다. 649年 7月에 李世民이 死亡하고, 9男인 理致(李治)가 同腹兄 이태(李泰)를 제치고 皇帝 高宗에 올랐다.

그리고 撫棗는 後嗣를 두지 못한 先制의 後宮은 比丘尼가 되어야 하다는 法度에 따라 머리를 깎고 千兆 (穿照)라는 법명 으로 比丘尼가 되어 감業事(感業寺)에 들어갔다. 理致는 太子日 때, 浮黃 李世民을 看護하던 撫棗를 본 적이 있었는데, 그 以後로 그女에게 반했고, 巫祖 또한 理致에 반하였다고 한다. 理致는 650年 여름 焚香車 감業事에 들렀는데, 거기서 撫棗를 본 瞬間 또다시 옛情이 떠올랐고 巫祖 또한 理致에게 몰래 〈餘衣囊〉(如意娘)이라는 詩를 지어 보였다. [4] 撫棗는 그길로 高宗을 따라 入宮했다.

재입궁과 暗鬪 [ 元本 編輯 ]

巫祖(武照)의 650年 入宮에는 理致의 皇后인 王氏 의 도움이 컸다. 王氏는 當時 理致의 사랑을 獨차지하던 小淑妃 (蕭淑妃)를 疾視했는데, 理致와 撫棗의 感情을 알고 理致를 小淑妃에게서 떼어놓기 위해 撫棗를 利用하기로 했다. [5] 王氏는 撫棗에게 다시 머리를 기르게 하고 理致에게 撫棗를 後宮으로 삼으라고 부추겼다. 撫棗는 王氏의 脾胃를 맞추며 至極히 恭遜했고, 王氏는 撫棗가 眞心으로 自己에게 服從한다고 여겨 理致 앞에서 여러番 撫棗를 稱讚했다. [6] 理致가 撫棗를 王皇后와 小淑妃 다음가는 地位인 소의(昭儀)에 봉하려 하자 王氏는 欣快히 承諾했다 한다. [7]

撫棗는 652年 理致의 長男 利弘(李弘)을 出産했으며, 王氏와 結託하여 소숙費를 廢黜시켰다. 이렇게 撫棗는 非(妃)가 되었지만 宮內에서 王氏와 一族의 傲慢한 態度에 對한 나쁜 評判을 機會 삼아 그들을 反對하는 宮人들을 모았고 王氏의 行動을 把握하였다. [8]

撫棗가 654年 첫딸 安定公主를 낳자, 皇后 王氏는 撫棗의 處所를 찾아 嬰兒를 보고 갔다. 撫棗는 自身의 손으로 딸을 絞殺하고 딸의 屍身을 이불로 덮어두었다. [9] 撫棗는 王皇后의 所行이라 主張했는데 實際로 王氏의 所行이었다는 說도 있다. 理致는 王氏를 廢庶人하고, 撫棗를 皇后로 삼으니, 이 때가 靈휘 6年( 655年 ) 10月 13日 이었다. 皇后가 된 撫棗는 王氏와 소숙비에게 棍杖 百 대를 치고 다리를 잘라, 술 缸아리에 가두어 죽였다고 한다. 또한 王皇后와 소숙비의 性을 各各 網(?, 이무기 ), 孝(梟, 올빼미 )로 바꾸어 불렀다 한다.

非情한 어머니 [ 元本 編輯 ]

皇后 무씨는 가장 먼저 男便의 外叔父이자, 丞相 長孫無忌 를 自決하도록 强要했다. 또한, 長孫氏 一家를 모조리 沒殺시켜버렸다. 656年 , 무씨는 皇太子였던 이충 에게 여러 罪를 뒤집어씌우고 廢位시켰다. 그리고 그 자리에 自身의 長男 利弘 을 앉혔다.

이런 그의 專橫을 보다 못한 理致가 大臣들을 隱密히 불러 무씨의 廢位를 議論하였으나, 무씨의 心腹들이 그 事實을 알고 무氏에게 密告하였고, 그는 肺皇太子인 이충과 大逆罪를 꾸미려 했다는 理由로 大臣들을 모두 處刑해버렸다. 이충은 檢週로 귀양보내졌다가 664年 死藥 을 받고 죽었다.

무氏는 實際로 대단한 政治的 力量을 가지고 있었는데, 理致에게 '建言12社'라는 建議文을 올렸고, 理致는 이를 모두 受容하였다. 얼마 뒤, 理致의 健康이 惡化되자 理致는 皇太子 利弘에게 帝位를 물려주려 했다. 利弘은 총명하고 謙遜하였으며, 理致와 大小 臣僚들 사이에서도 信任이 두터웠다. [10] 病이 危篤해진 高宗이 皇位를 利弘에게 물려주려고 하자 則天武后는 權力의 主軸에서 밀려날 것을 憂慮하였다는 說이 있다. 그러나 이홍이 平素 健康이 좋지 않았고 그의 死後 高宗과 則天武后가 매우 슬퍼했다는 記錄을 보면 利弘은 과로사한 것이라는 反論도 提起된다. 利弘은 合壁宮(合壁宮) 基運轉(綺雲殿)에서 父母인 高宗, 則天武后와 함께 食事를 했고 途中에 痙攣을 일으키며 죽고 말았다. [11] [12]

以後, 그 다음 아들인 耳峴 (李賢)李 皇太子에 冊封되었다. 則天武后가 寵愛하는 名崇嚴이, "太子는 承繼하는 일을 堪當하지 못하고 영왕(移懸, 黨中宗)의 모습과 恰似하고 利潤(黨睿宗)의 床이 第一 貴하다"고 했다. 則天武后는 北文學史에게 素養正犯, 孝子戰을 編纂해 壯懷太子에게 이를 하사하면서 자주 便紙를 써서 나무라자 壯懷太子 移懸은 스스로 便安하지 않았다.

그런데 名崇嚴이 누군가에게 살해당하는 事件이 일어나자 측천무후가 이를 疑心했으며, 壯懷太子는 色을 좋아해 奴婢인 조도생과 親해 金, 緋緞을 많이 내려줬다. 位승경이 便紙를 올려 간했지만 듣지 않았으며, 則天武后가 사람을 시켜 그 일을 告發하게 했다.

結局 680年 에 移懸은 皇太子에서 廢黜당하였고 理致의 要請으로 죽음만은 면하였으나 681年 水道에서 2,300里 떨어진 坡州(巴州)로 流配되었다. [13] 移懸은 流配地에서 〈黃帶過謝〉라는 詩를 썼는데 이 詩가 퍼져 무씨의 귀에까지 들어갔다. 684年 무씨는 調査를 한다는 口實로 구신的을 坡州로 보내 아들을 自殺하게 하였고 調整에 波紋을 불러일으키지 않기 爲해 구신的이 移懸을 죽였다고 덮어씌웠다. [14]

女帝로 向하는 발걸음 [ 元本 編輯 ]

무씨는 自身의 셋째 아들 耳峴 (李顯)을 새로이 皇太子로 삼았다. 그는 兄들과 달리 柔弱하였고, 어머니의 말에 絶對 順從했다. 3年 뒤인, 683年 高宗 理致는 死亡하였고, 皇太子 移懸이 皇帝에 오르니 이가 中宗이다. 하지만, 얼마 안 되어 무氏는 그를 廢位시켰다. 理由는 바로 移懸의 處仁 皇后 魏氏 와 그 아버지 위현정이 情事를 壟斷하고 있기 때문이었다. 그리하여, 移懸을 女陵王으로 降等시키고, 自身의 所生 中 막내아들인 異端 을 皇帝에 올리니 이가 바로 睿宗이다.

이때부터, 그女는 모든 實權을 掌握하고, 모든 情事를 直接 管掌하였다. 무씨는 洛陽 을 神도(神都)라 고치고, 官制도 새로이 改編하였다. 하지만, 이에 反撥한 大臣들도 적지 않았다.

684年 9月, 楊州의 서경업 이 먼저 軍士를 일으켜 長安으로 進軍하였는데, 그 檄文을 駱賓王 이 썼다. 무氏는 그 檄文을 보고 駱賓王이 自身의 手下에 없는 것을 안타까워했으며, 어쨌든 그女는 30萬의 鎭壓軍을 派遣하여 40日 만에 그 모든 叛亂이 平定되었다. 그리고 무氏는 이 叛亂에 同調하였던 모든 大臣들을 處刑시키고, 內閣을 새로이 改編하였다.

무씨는 하늘의 뜻을 擧論하며, 輿論을 造作하기도 했는데, 그女의 조카 無勝社 (649~698)가 '性모임인 영창帝業'(聖母臨人 永昌帝業) 卽, 皇太后께서 君臨하시니, 女帝의 기운이 代代孫孫 繁昌하리라는 쓰여진 돌을 가져와 무氏에게 바쳤고, 이것을 본 무氏는 기뻐하여 年號를 '영창'으로 고쳤다. 한便, 唐 高祖 이연의 11男인 漢王 이원가 의 反撥로 뜻을 이루지 못할 뻔했으나, 무씨는 軍士를 보내 이를 鎭壓함으로써 自己의 女帝 卽位에 걸림돌(障礙物)이 되는 모든 것을 除去하였다.

女帝 무測天 [ 元本 編輯 ]

그女는 690年 國號를 '週'로 고친 後 15年間 皇帝로서 中國을 다스렸다. 歷史家들은 그女가 세운 國號인 '週'를 西周 , 同舟 와 區分하기 위하여 그女의 姓氏를 따 ' 茂朱 (武周)'라고도 불렀다. 그女는 皇帝에 오르자마자, 酷吏를 動員해 그女에게 충성하는 勢力들을 養成한 後 黨 皇祖의 宗親科 區대신들을 沒殺시켰으며, 이를 통한 酷吏들의 政治參與를 꺼려 그들을 죽이는 '兎死狗烹'을 取한다. 비록 殘酷하게 皇帝의 地位에 올랐지만 政治家로서는 相當히 有能한 面貌를 보여주었다. 먼저 國法을 嚴格히 해 周나라의 一元的 統治시스템 構築과 社會安定을 이뤄나갔다. 그女는 그때까지도 제대로 制度的으로 定着되어 있지 않았던 科擧制度를 다시 改編하였고, 또한, 過去를 會試, 工事, 展示의 巡으로 삼아서, 國家에 必要한 많은 人材들을 排出, 適材適所에 登用시켰다. 이로 因해, 여기서 뽑힌 新興 勢力들이 많았다. 이들은 後날 이융기 를 도와 ' 開院의 치 '를 성립시키는데 一助한다. 그女는 이러한 사람들을 많이 重用하여, 그들을 支持基盤으로 만들었다. 또한, 唐나라 때도 實力이 있던 代身들을 重用하였다. 이들이 적인걸 , 장간지 等이다. 그女가 다스리던 時期는 太宗 李世民이 다스리던 時代에 버금갔고, 百姓들의 生活은 豐足하였다. 그女는 勤務가 태만한 官吏들은 모두 罷免하였으며, 甚至於 死刑을 내리기도 했다. 그女는 또한 佛敎를 中興시켜, 全國에 많은 佛敎 寺院을 세우고 많은 僧侶들을 양성시키도 하였다. 그女가 在位하는 동안 唐나라 長安城은 人口 100萬名이 넘는 國際都市로 자리잡았으며, 이는 東西洋을 통틀어 그 時代 現存하는 가장 最高의 國際都市이자 東西洋이 만나는 章이 바로 長安임을 얘기하는 것이기도 했다. 이러한 開放的인 雰圍氣는 黨 顯宗 時期 조로아스터 校, 警敎 等이 傳來될 程度로 가장 뛰어난 世界 最高의 都市로 자리잡게 되는 契機가 된다. 百姓의 소리를 듣기 위해 '眞實의 함'을 만들기도 했으며, 50餘 年동안 唐나라에서의 民亂과 蜂起는 일어나지 않았다. 民生回復과 生産力 强化를 國政運營의 旗幟였고, 特히 이 過程에서 2年 3模作이 可能해졌다. 一部 歷史家들은 그러한 그女의 治世를 ' 無主義 치 (武周之治)'라 불렀다. 자영농이 成長했으나, 도리어 戰爭이 더 以上 勃發하지 않고, 이를 통해 領土가 確保되지 않자, 자영농이 조금씩 衰退하고 支柱가 登場하는 原因이 되기도 했다. 그女는 子息敎育度 대단히 嚴格히 시켰는데, 그女가 가장 사랑한 딸 태평公主 를 嚴格히 가르쳐, 法을 違反하는 일이 없도록 했다. 조카 無勝사도 꽤 뛰어난 政治力量을 가지고 있었으나, 權力이 매우 커져 무씨와 朝廷 大臣들의 警戒의 對象이 되었다. 宦官 설회의 는 무씨의 寵愛를 등에 업고, 橫暴를 일삼기도 하였다.

末年과 죽음 [ 元本 編輯 ]

晩年에 이르러, 무씨는 조카 無勝師에게 皇位를 물려줄지, 아니면 黨 皇祖의 皇太后로 돌아가야 할지라는 큰 苦悶에 빠졌다. 하지만 무씨 皇祖를 잇는 것에 對해 적인걸 等과 같은 여러 宰相들과 臣僚들은 反感을 가지고 있었다. 699年 , 무씨는 幽閉되어 있던 女陵王 移懸을 다시 太子에 封했다. 6年 뒤인, 705年 에 무씨는 病에 걸렸고, 이러한 때에 宰相 장간지가 軍士들을 이끌고 무씨가 臥病 中인 殿閣으로 가 黨 皇祖의 復元을 要請하였고, 무氏는 이를 承諾하여 黨 黃鳥歌 15年 만에 復權되었다. 그리고 中宗 移懸이 다시 皇帝에 卽位하였다. 무氏는 그리고 最初의 女性 太上皇 이 되었다. 그 해 11月, 무씨는 中宗 移懸과 막내아들 睿宗 異端, 막내딸 태평公主 等을 불러놓고 무씨 一家를 잘 付託한다는 말과 죽은 뒤에 皇帝가 아닌 皇后로 稱하라는 遺言을 남겼다. 또, 抑鬱하게 自身의 손에 죽었던 弊皇后 王氏의 一家 亦是 赦免 復權해달라 懇請하였다. 마지막으로 그는 自身의 墓碑에 한 글字도 새기지 말라 命하였다. 705年 陰曆 11月 26日, 거의 半 世紀 동안 天下를 다스렸던 女傑인, 測天 誠信大皇帝 撫棗는 長安 上陽宮 選擧戰에서 82歲의 나이로 死亡하였다. 그는 비록 殘酷한 政治를 펼쳤으나, 이러한 그의 政治는 唐 太宗 李世民의 '定款의 치'以後 成功한 政治를 펼쳐, 後날 黨 顯宗 이융기 의 ' 開院의 치 '의 발板을 마련하기도 하였다. 무씨는 本來 唐나라를 멸망시키고 이를 代身하여 無主를 세웠기에 逆賊으로서 太廟(太廟)에서 祭祀 지낼 수 없었으나, 그의 두 아들이 모두 皇位에 오른 以後 睿宗의 後孫들이 皇位를 繼續 물려받았기 때문에 茂朱의 皇帝가 아닌 唐나라의 皇后로서 太廟에 封印되어 祭祀를 받을 수 있었다.

尊號, 시호, 廟號, 陵號 [ 元本 編輯 ]

皇帝 身分으로 올린 尊號는 姊氏月高金輪성신皇帝(慈氏越古金輪聖神皇帝)이며, 後에 改稱하여 天頙金輪성신皇帝(天冊金輪聖神皇帝)로 尊號를 고쳤으며, 太上皇 身分으로 받은 尊號는 側千對城隍祭(則天大聖皇帝)이다.

死後에 唐나라 皇后로 身分이 復元되어 諡號를 測天大盛況後(則天大聖皇后)로 올렸으며, 後에 天候(天后), 대성천後(大聖天后), 天候성제(天后聖帝) 等으로 改稱 하였고, 最終的으로 올린 正式 諡號는 側천순성皇后(則天順聖皇后)이다.

陵戶는 高宗과 合掌 된 健陵(乾陵)이다.

評價 [ 元本 編輯 ]

開院(開元) 4年( 716年 ) 則天武后의 아들이었던 太上皇(太上皇) 睿宗이 死亡하자 玄宗은 무測天의 시호에서 「皇帝」를 除外하고 무測天의 政策을 否定했으며 그女나 무씨 一族에 依해 肅淸된 者들의 名譽回復을 實施하였다. [15]

후세 中國 社會나 文人 社會에서 則天武后는 女性으로써 君主의 權限 위에 君臨하면서 黨의 皇位를 簒奪하였다는 否定的 評價가 이어졌고, 簒奪에 失敗한 胃皇后의 行實과 함께 '無爲(武韋)의 禍(禍)'라 부르는 等 否定的인 이미지가 大部分이었다. 治世 中의 私的에 對해서도 그女가 政治를 펼쳤던 時代에 떠돌거나 逃亡친 湖水가 늘어나는 等 全的(田籍) 把握이 等閑視되고 銀錢(?田)李 늘어나 均田制를 實施하기 곤란해졌으며, 則天武后 自身의 氏族을 要職에 앉혀서 政治를 左之右之한 것에 對해서도 酷評되고 있다.

한便으로 그女가 權力을 쥐었던 時期에 中國에서 農民叛亂은 한 番도 일어나지 않았으며 定款 末期의 湖水가 줄지 않고 維持되었다는 點에서 民衆의 生活은 그前보다 安定되었다고 보기도 한다. 나아가 그女의 人材 登用 能力은 則天武后를 酷評했던 後世의 歷史家들도 認定하는 것으로, 則天武后에 依해 登用되었던 人材들이 顯宗 時代 開院의 치를 이끌었다는 點도 注目할만 하다. 또한 前近代의 史學者들 가운데서도 「밝지 못했다고 할 수는 없다」라고 評했던 南宋 의 紅梅(洪邁) [16] 나 「女子 中의 英明한 君主」(女中英主)라 부르며 現狀 維持나 舊習 打破에 對해 好評한 淸나라의 趙翼(趙翼)처럼 무測天에 對한 肯定的인 評價를 내린 사람도 存在한다. 文化大革命 을 指揮했던 장칭 에 이르러서는 男便 마오쩌둥 朱錫의 事後 後繼者가 되겠다는 野望을 품고 있었기 때문에 名實共히 中國의 國政을 쥐었던 則天武后를 自身에게 겹쳐서 이를 稱讚하는 運動을 일으켰다. 장칭과 문혁은 中國共産黨에 依해 否定되었으나 무測天을 主人公으로 하는 連續 텔레비전 드라마가 製作되기도 했다.

家族 關係 [ 元本 編輯 ]

  • 部: 無事확 (武士?, 576年~635年)
  • 某: 無事확의 後妻 英國夫人 양氏(榮國夫人 楊氏) (隋나라 煬帝의 4寸 아우이자 宰相인 陽달 楊達의 딸. 579年 ~ 670年)
  • 언니: 韓國夫人 무씨(韓國夫人 武氏. 本名 武順. 623年 ~ 665年. 동생 則天武后에 依해 毒殺?)
  • 兄夫: 韓國夫人 武順의 男便 下란案席(賀蘭安石)
    • 조카: 下란민지 (賀蘭敏之 642年 ~ 671年)
    • 조카: 위국夫人 下란氏(魏國夫人 賀蘭氏. 本名 未詳 ?年 ~666年 姨母 則天武后에게 被殺?)
  • 女同生: 무씨 武氏
  • 弟郞: 女同生 武氏의 男便 곽효신 (郭孝?. 腰絶)
  • 男便/媤아버지: 太宗 李世民(李世民 598年 ~ 626年 卽位 ~ 649年)
  • 男便: 李世民의 9男 高宗 理致(李治 628年 ~ 649年 卽位 ~ 683年)
    • 長男: 利弘 (李弘 시호 毅宗 義宗 652年 ~ 675年)
    • 長女: 安定公州 安定公主 (654年 ~ 654年 嬰兒 死亡. 産後 不注意로 突然兵士?)
    • 次男: 壯懷太子 章懷太子 耳峴(李賢, 655年 ~ 684年 疑問死)
    • 三南: 中宗 (中宗 耳峴 李顯 656年 ~ 683年 卽位 ~ 684年 卽位 50餘日 만에 어머니 則天武后에 依해 廢位, 年金 ~ 705年 再卽位 ~ 710年 皇后 魏氏韋氏 와 7女 安樂公主에게 독살당함)
      • 孫女: 中宗의 7年 安樂公州 (本名 理科아 李??. 684年 ~ 710年 아버지 中宗을 毒殺한 卽時 親母 魏氏韋氏와 함께 處斷됨.)
    • 사남: 睿宗 (睿宗 異端 李旦 662年 ~ 684年 中宗의 廢位와 함께 卽位 ~ 690年 어머니 則天武后에 依해 廢位 ~ 710年 復位 ~ 712年 讓位 ~ 716年 死亡)
      • 孫子: 睿宗의 3男 顯宗 이융기(玄宗 李隆基, 685年 ~ 712年 卽位 ~ 756年 讓位 ~ 762年 死亡)
    • 次女: 태평公主 (665年 ~ 710年 擧事~ 713年 玄宗의 强要로 自殺)

則天武后가 登場한 作品 [ 元本 編輯 ]

※『』은 韓國에 公開된 作品, 「」은 아직 公開되지 않은 作品입니다. 公開된 作品의 境遇 韓國에서의 飜譯 狀況 技術을 爲主로 합니다.

小說 [ 元本 編輯 ]

  • 린위탕 (林語堂) 『女傑 則天武后』(原題:武?天?, 조영기 驛 예문당、初版 1991年 ISBN 89-7001-088-2
  • 쓰모토 요(津本陽) 「則天武后」(則天武后, 上?하、겐도샤문고幻冬?文庫)
  • 샨사 (山颯) 저 『則天武后』(異常해 驛 현대문학, 2004年, 前2卷)
  • 하라 모모요(原百代) 『則天武后』(原題: 武則天, 강태원 옮김 東亞서원, 1986年 前6卷; 이보람 옮김 圖書出版 보람, 1995年 前5卷)
  • 모리後쿠 미야코(森福都) 「雙子喚起行」(?子幻綺行, 2001年 2月 쇼덴샤祥?社)
  • 조아라 저 《南國의 新婦 - 백제의 마지막 工夫 附與란 그 애틋한 戀歌女》 螢雪라이프, 2014年
  • 쑤퉁(蘇童) 《則天武后》(原題: 武則天, 김재영 옮김 圖書出版 비채, 2010年, ISBN 978-89-94343-06-8 )

映畫 [ 元本 編輯 ]

  • 「무測天」(武則天, 1963年、 홍콩) - 配役 : 이려화(李麗華)
  • 『적인걸 - 則天武后의 祕密』(원제 「狄仁傑之通天帝國」、2010年、中國 ? 홍콩) - 配役 : 유가령. 韓國 KBS 더빙 當時 성우는 최문자 .
  • 『적인걸2 - 信徒偕往의 祕密』(원제 「狄仁杰之神都龍王」、2013年、中國 ? 홍콩) 配役 : 유가령
  • 『적인걸3 - 四大天王』(원제 「狄仁杰之四大天王」、2018年、中國 ? 홍콩) - 配役 : 유가령

드라마 [ 元本 編輯 ]

  • 「무測天」(武則天, 1984年, 配役 : 풍보보馮寶寶)
  • 『則天武后』(原題: 一代女皇, 1985年, 配役 : 반영자潘迎紫) - 1995年 韓國의 SBS에서 더빙 放映되었다. 성우는 송도영 .
  • 「무測天」(武則天, 1995年, 配役 : 류샤誤稱???)
  • 「大明宮社」(大明宮詞, 2000年, 配役 : 귀아뢰???)
  • 『女皇帝 무測天』(原題: 至尊紅顔, 2003年, 配役 : 자징원)
  • 연개소문 』( SBS , 2006年 ~ 2007年 , 俳優: 장은비 ) - 黨 太宗 죽음 以後 黨 高宗의 아내 王 皇后가 男便 高宗과 小淑妃 사이를 멀어지게 하기 위해 比丘尼가 되었던 그를 불러들이면서 그의 이야기가 始作되었다. 唐 太宗의 最側近이자 唐 高宗의 師父였던 長孫無忌를 내치고 665年부터몸이 不便한 唐 高宗을 代身해 高句麗 遠征 計劃을 樹立한다. 그러나 頻繁이 高句麗遠征이 失敗하자 則天武后는 때를 기다려보자고 했고, 마침내 淵蓋蘇文의 맏아들 연남생이 唐나라에 投降하고, 그의 支持勢力들이 唐나라에 投降하면서 高句麗의 政治變化에 兆朕을 感知한 그가 大大的인 攻勢를 命令, 移籍을 中心으로 한 唐나라의 大規模 軍隊가 高句麗 平壤城으로 進擊하기에 이른다.
  • 大祚榮 』( KBS , 2006年 ~ 2007年 , 俳優: 양금석 ) - 大祚榮과 對蹠點에서 高句麗 遺民들의 復興運動을 막고, 同時에 中國의 統治者가 되려는 무서운 女人으로 登場한다. 그가 皇后가 되기 위해 많은 사람들을 죽였고, 皇帝가 되기 위해 自身의 아들까지 죽였던 內容이 나오지 않으며, 高句麗 復興運動을 막기 위해 薛仁貴를 끌어들이고, 移籍을 自身의 便으로 包攝 하려는 等 高度의 政治術을 가진 女人으로 그려진다. 690年 스스로 성신皇帝라 稱하며 皇帝로 卽位하고, 698年 大祚榮이 渤海를 建國하자 外交關係를 樹立하기 위해 그는 唐나라 中心의 外交秩序에 渤海를 吸收하려고 했으며, 大祚榮은 스스로가 高句麗의 後孫이며 天孫의 나라라며 이에 따를 것을 拒否했다. 結局 則天武后는 大祚榮과 緊張關係를 維持하게 된다.
  • 「무測天祕事」(武則天秘史, 2011年, 配役: 人타오殷桃, 류샤誤稱, 쓰친가오와 )
  • 『美人天下』(原題: 唐宮美人天下, 2011年, 配役 : 짱팅張庭)
  • 「태평公主祕事」(太平公主秘史, 2012年, 配役 : 리샹李湘, 리우유신劉雨欣)
  • 『唐弓年』(唐宮燕, 2013年, 配役 : 후이잉훙 )
  • 「美人製造」(美人製造, 2014年, 配役: 等取問鄧萃雯)
  • 無味랑電氣 』(原題: 「武媚娘傳奇」, CCTV , 2014年 ~ 2015年 , 俳優: 판빙빙 ) - 그가 宮女生活부터 皇帝에서 물러나고 스스로 太上皇이 될때까지의 過程을 그리고 있다. 드라마는 則天武后가 어떻게 皇帝가 되었는지에 對한 過程을 則天武后 周邊人物들로부터 괴롭힘을 받으며 스스로 克服해 政治的으로 成長하고 自身들의 支持勢力을 끌어모으는지에 對한 그의 用人術이 돋보인다. 特히, 皇后가 되기 위해 自身의 딸을 죽인 部分은 王 皇后가 스스로 딸을 죽인 것이며, 소숙費와 結託한 것으로 그려지고 있고, 아들의 죽음은 則天武后의 조카가 죽인 것으로 그려진다. 漸次 實權을 掌握한 則天武后는 皇太后가 되어 아들을 攝政했으나, 아들의 無能함을 理解하고, 自身이 直接 皇帝가 된다. 드라마 床에서 그의 卽位에 反對한 장간지를 說得시키는 過程에서 '女子도 皇帝가 될 수 있지 않소?'라며 自身의 能力을 誇示했고, 마침내 장간지의 承認을 얻어 中國 唯一의 女性 統治者가 된다. 無味랑電氣 포스트

年號 [ 元本 編輯 ]

正月(11月) [ 元本 編輯 ]

무測天 西曆 (西曆) 干支 (干支) 年號(年號)
元年 689年 11月 ~ 690年 10月 京仁 (庚寅) 天壽 (天授)
元年
2年 690年 11月 ~ 691年 10月 辛卯 (辛卯) 天壽(天授) 2年
3年 691年 11月 ~ 692年 10月 臨津 (壬辰) 天壽(天授) 3年
餘의 (天授) 元年
長壽 (長壽) 元年
4年 692年 11月 ~ 693年 10月 繫辭 (癸巳) 長壽(長壽) 2年
5年 693年 11月 ~ 694年 10月 甲午 (甲午) 長壽(長壽) 3年
連載 (延載) 元年
6年 694年 11月 ~ 695年 10月 乙未 (乙未) 증성 (證聖) 元年
天頙萬歲 (天冊萬歲) 元年
7年 695年 11月 ~ 696年 10月 病身 (丙申) 天頙萬歲 (天冊萬歲) 2年
萬歲燈鳳 (萬歲登封) 元年
萬歲通川 (萬歲通天) 元年
8年 696年 11月 ~ 697年 10月 精油 (丁酉) 萬歲通川 (萬歲通天) 2年
神功 (神功) 元年
9年 697年 11月 ~ 698年 10月 武術 (戊戌) 聖曆 (聖曆) 元年
10年 698年 11月 ~ 699年 10月 己亥 (己亥) 聖曆(聖曆) 2年
11年 699年 11月 ~ 700年 12月 경자 (庚子) 聖曆(聖曆) 3年
구시 (久視) 元年

正月(1月) [ 元本 編輯 ]

무測天 11年 12年 13年 14年 15年 16年
西曆
(西曆)
700年 701年 702年 703年 704年 705年
干支
(干支)
경자 (庚子) 新築 (辛丑) 壬人 (壬寅) 癸卯 (癸卯) 甲辰 (甲辰) 乙巳 (乙巳)
年號
(年號)
구시 (久視)
元年
2年
大族 (大足)
元年
長安 (長安)
元年
2年 3年 4年 5年
신룡 (神龍)
元年

같이 보기 [ 元本 編輯 ]

  • 測天文字  : 則天武后가 旣存 글字를 革罷하여 만들었다는 글字. 大部分 則天武后 治世에만 쓰였기 때문에 各種 史料의 時期 判別에 쓰인다.

各州 [ 元本 編輯 ]

  1. 장숙연, 《中國을 뒤흔든 不滅의 女人들 2》 이덕모 驛, 글누림, 2011, p.16, ISBN   978-89-6327-110-1
  2. 장숙연, p.15
  3. 장숙연, p.18
  4. 장숙연, p.20
  5. 장숙연, p.21
  6. 쑨젠쥔, 《女中豪傑 무測天》 민경삼 驛, 세종서적, 2009, p.74, ISBN   978-89-8407-283-1
  7. 장숙연, p.22
  8. 쑨젠쥔, p.75
  9. 장숙연, p.23
  10. 장숙연, p.28
  11. 리아오, 《西太后의 人間 經營學》 강성애 驛, 知識旅行, 2008, p.477, ISBN   978-89-6109-039-1
  12. 弔問尹,王雙回 《무測天 評傳》김택중,안명자,金汶 驛, 冊과함께, 2004, ISBN   9788991221031
  13. 장숙연, p.30
  14. 쑨젠쥔, p.114~p.115
  15. 金子修一「玄宗の祭祀と則天武后」古?奈津子 編『東アジアの??儀式と支配構造』(吉川弘文館、2016年) ISBN 978-4-642-04628-2
  16. 마오쩌둥은 紅梅의 冊을 愛讀하였다고 傳한다.

外部 링크 [ 元本 編輯 ]

前任
肺皇后 王氏
唐나라 皇后
655年 - 683年
後任
皇后 魏氏
前任
睿宗 (黨 황조)
第1代 中國 茂朱 皇帝
690年 - 705年
後任
中宗 (黨 황조)
(黨 皇祖로 復古)
前任
4男 黨 睿宗 異端
中國 皇帝
690年 - 705年
後任
3男 黨 中宗 耳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