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신 絞로 하라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아이신 絞로 할아 에서 넘어옴)

아이신 絞로
作爲 皇族
滿洲國 皇族
設立者 아이신 絞로 部쿠리 龍숀
現在 首長 眞僞裝
아이신줴뤄 치싱
民族 滿洲族

아이신 絞로 하라 ( 滿洲語 : ?????
?????
????
Aisin Gioro Hala , 韓國 漢字 : 愛新覺羅氏  愛臣角라氏 , 中國語 簡體字 : ?新??氏 , 병음 : Aix?njueluo shi , 日本語 : アイシンギョロし )는 靑 帝國 의 황성이다. 愛臣角落( 中國語 正體字 : 愛新覺落 , 병음 : Aix?njueluo )이라고도 한다.

八旗滿洲氏族通報 (八旗?洲氏族通?, 滿洲語 : ?????
?????
????????
?????
????
??
?????
?????
?????
Jak?n G?sai Manjusai Muk?n Hala be Uheri Ejehe Bithe
)》 33쪽

아이신 絞로 [1] 는 무쿤(穆昆, Muk?n)과 하라(哈拉, hala)의 年稱으로, 아이신 (Aisin, 愛新)은 무쿤(穆昆: 家族 共同體)이요, 絞로(Gioro, 覺羅)는 하라(哈拉: 氏族 共同體, 姓氏)이다. [2]

靑 帝國 의 制度에 따라 누르價値 의 父親 탁시 의 直系子孫을 욱順(宗室, 滿洲語 : ????? Uksun )이라 하여 허리에 黃金色 띠를 매었으며, 나중에 世間에서 황대자 (黃帶子, 滿洲語 : ???????
?????????
Haksan Umiyesun )로 불렸다. 탁시의 백·숙·型·制의 後裔들은 絞로(覺羅, 滿洲語 : ????? Gioro )라고 해서 紅色 띠를 매었으며 나중에 世間에서 홍대자 (紅帶子, 滿洲語 : ????????
?????????
Fulgiyan Umiyesun )로 불렸는데 그들의 足跡(族籍)은 宗人府(宗人府, 滿洲語 : ?????
??
????????
?????
Uksun-be Kadalara Yamun )에서 管掌하였고 族人들은 《玉牒(玉牒, 滿洲語 : ???
?
????
?
?????
Han-i Uksun-i Ejehe )》에 登錄되어, 모두가 政治·經濟上의 일정한 特權을 누렸으나, 靑 帝國 이 亡한 뒤에는 이런 特權이 廢止되었다. [3] 事實 아이신 絞로 一族은 19世紀 末에 이르면 3萬 名이 넘는 人口를 가진, 그 自體가 大規模이자 高度의 官僚組織이 되었다. 國家에서 특정한 犯罪行爲로 處罰받은 사람들은 氏族에서 逐出하라고 要求했고, 많은 傍系 親戚을 잘래남으로써 氏族의 承認을 制限하는 法律 繼續해서 制定했었다. [4]

아이신 絞로 하라 外에 絞로 하라 로는, 이르件 絞로(Irgen Gioro, 伊爾根覺羅)·슈슈 絞로(?u?u Gioro, 舒舒覺羅)·아얀 絞로(Ayan Gioro, 阿顔覺羅)·後러 絞로(Hule Gioro, 呼倫覺羅)·갸無後 絞로(Giyamuhu Giolo, 嘉穆瑚覺羅)·後룬 絞로(H?lun Gioro, 呼?覺羅)·桶얀 絞로(Tongyan Gioro, 通?覺羅)·아하 絞로(Aha Gioro, 阿哈覺羅)·次라 絞로(Cala Giolo, 察喇覺羅) 等이 있다. 아이신 郊勞의 미이라는 發見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下플로 그룹은 알 수 없다. 現在 인터넷 等에 쓰여진 下플로 그룹은 推測의 領域일 뿐이다. 中國 側에서는 最新 遺傳子 檢査라고 말하고 있지만 이것 또한 實際 미이라의 遺傳子가 아니며 後裔로 主張하는 者들의 檢事 調査이기 때문에 學者들에게 認定받지 못하고 있다.

由來 [ 編輯 ]

여러 事例를 보면 아이신 郊勞는 누르價値 以前에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 龍飛御天歌 》에는 먼터무無 對하여 協온맹가첩목아(夾溫猛哥帖木兒), 갸온멍거터물이라고 表現하고 있다. 協온(夾溫)은 餘震 固有의 城이고, 洞(童)은 中國의 影響을 받아 만들어진 中國式 性이라 推定된다. 갸온은 金臺의 갸區(加古, 여진어 : Gia-gu ) [5] 으로 溯及된다. 金臺에도 갸區와 東(仝: 同의 鼓子이다)이 같은 姓으로 混用되어 쓰였다. [6] 朝鮮에서 먼터무 一族의 性을 稱할 때 갸온보다 동이 더 많이 使用됐다. 後날 누르價値 時期에 朝鮮과 名은 누르價値의 性을 東(?)이나 洞(童)이라고 썼는데, [7] 名臺에 搖動으로 가서 視察을 한 事業(司業) 腸內(張?)라는 者가 쓴 《要이略》이라는 書籍에는 "盧(누르價値)의 祖父 桐校長 (?敎場)은 建州衛左도독첨사(建州衛左都督僉事)이였다라고 이르고, [8] 1596年, 正月에 누르하치가 朝鮮에 쓴 書信에서 이르기를, "여진국建州衛官屬이인주 桐老아합적(?奴兒哈赤)李 올린다. 우리의 事情에 關해서는 너희 조선국과 우리 여진국 兩國을 往來하는 人便에 잘 알고 있거니와, 우리들 兩國에는 動兵地禮가 없었다. [9] 또, 1605年 11月 11日, 누르價値가 朝鮮의 邊戒 장수에게 보낸 書信에는, 自身을 建州等處脂肪國王(建州等處地方國王) 桐(?)이라고 稱했다. [10]

이렇듯 누르價値 亦是 스스로 性이 洞이라고 種種 말하고는 했다. 이 洞이 女眞族의 著名한 成人 퉁갸 하라 의 略稱이라는 主張도 있다. 滿洲族 氏族 制度에 따르면 이들은 嚴格한 外婚制 를 實施해 같은 성끼리 結婚을 할 수 없었다. 그러나 史料의 記錄을 보면 누르價値의 先祖나 後孫 中에는 董氏와 結婚한 境遇가 적지 않다. 이는 누르價値 一族의 元來 星移 決코 董氏家 아님을 立證한다. 또한 누르價値가 性을 董氏라 한 것은 그저 明과 朝鮮을 相對했을 때 뿐으로, 自身 不足에서는 그렇게 使用한 적이 없다. 例를 들어 萬曆 16~20年 頃에 그는 建州 餘震의 各 部族들 統一하고 命 朝廷으로부터 새 職責을 받았다. 이때 그는 首都로 朝貢하러 가면서 東이라는 性을 빌려 使用했다.

누르價値가 東이라는 性을 빌려 使用한 것은 움직이기 어려운 確實한 事實이다. 이는 그 自身의 實力이 剛해지고 立地가 確固해진 다음에 家族의 性을 다시금 洞으로 하지 않고 '아이신 絞로'로 改稱한 데에서 잘 드러난다. 이는 몇 가지 證據로 證明할 수 있다.

于先 1588年에 누르價値가 建州 여러 不足을 征伐할 때의 狀況이다. 具體的으로 아이고채(雅爾古寨)의 우두머리 好나호(扈喇虎)가 所屬 部落을 引率하여 歸順했다. 그 아들 퉁갸 후르韓 에게 絞로 하라 를 하사하고 養子로 삼았다.

다음으로 《欽定만주제신제천전례》(欽定滿州祭神祭天典禮, 滿洲語 : ?????
?????????
????????
??????
??????
?????
?????
Hesei Toktobuha Manjusai Wecere Metere Kooli Bithe )의 첫 棺에 記載돼 있는 乾隆 12年의 한 상유가 있다. 이 상유에는 皇室의 祖上이 神에게 祭祀지낸 일이 記載되어 있다. 이 中에 "우리 애신각라 姓을 가진 사람은 神에게 祭祀를 지낼 境遇 皇宮에서부터 貴族 집안에 이르기까지 神靈의 祝福에 感謝하는 것을 第一 重要하게 생각한다."라는 部分이 있다. 그러나 이 글의 漫文 본에 그저 ' 絞로 '로 쓰여 있다. '아이신'은 없다. 누르價値 父親과 祖父 時代에는 그들의 性이 그저 郊勞였다는 事實을 알 수 있다. [11] 1618年 陰曆 4月 무렵부터 누르價値는 自身의 狀況과 金나라 建國期를 同一視 하기 始作했다. [12] 누르價値는 絞로 앞에 아이신을 더해 自身이 金나라 의 後裔라는 事實을 萬邦에 알렸다. 이 城은 女眞族을 끌어모으고 團合하는 데 큰 役割을 했다. [13]

正天井은 《愛臣各라得成鷄의(?新??得姓稽疑)》에서 乾隆 年間 《 金絲 》에는 餘震 人命과 여진어 滿洲 文字 或은 漢字 로 註釋을 달았는데, 《 八旗滿洲氏族通報 》(八旗?洲氏族通?, 滿洲語 : ?????
?????
????????
?????
????
??
?????
?????
?????
Jak?n G?sai Manjusai Muk?n Hala be Uheri Ejehe Bithe
에 峽谷氏(?谷氏)만 主席이 달지 않았고, 乾隆 年間《 金絲 》의 峽谷의 表音(標音)은 客이고(喀爾庫)라 表記한 것을 漢語發音의 角度에서 推論하여 이 두 個 單語가 無關함을 밝혔으며, 따라서 乾隆帝 가 《금국어해(金國語解)》를 定할 때, 滿洲 우라 에 居住했던 카르쿠氏(喀爾庫氏, 滿洲語 : ?????
????
Karku Hala
)를 峽谷氏라고 하여 스스로 숨긴 것으로 疑心했다. [14]

김계종은 《連帶餘震眞사除名비》에 登場하는 갸루 후수르가이(交魯胡速魯改, 여진어 : Gia-ru xu-sur-gai ), 赴防(附旁)에 "갸루 後桶機(交魯忽通吉, 여진어 : Gia-ru hutong-gi )'라는 餘震人命에서 갸루(交魯, 여진어 : Gia-ru )를 姓氏로 看做하고, 이가 바로 後에 郊勞로 變化했다고 主張했다. 그런데, 金臺의 《여진姓氏步》에 갸루(交魯)라는 姓氏가 記載되어 있지않다. 腸박천은 아이신 郊勞가 바로 金臺의 애신氏(愛申氏, 여진어 : Ai-??n )와 김계종이 姓氏로 推測한 갸壘에 根源을 두고 있으며, 이 두 星氏가 合해져서 이루어진 氏族이라는 것이다. 根據로, 《金史》의 綠완씨(?碗氏)와 온돈氏(溫敦氏)가 合해져서 綠완온돈씨(?碗溫敦氏)가 되었는 바, 이 둘이 聯合 或은 婚姻關係로 父親과 母親쪽 兩側의 部族의 星氏가 合해져서 綠완온돈씨(?碗溫敦氏)가 된 것으로 推測했고, 愛臣(愛申)은 곧 말갈 7部 中 안車骨斧(安車骨部)의 後裔로, 안車骨髓(安車骨水)는 바로 只今의 우수리강으로, 안次骨말갈은 江물로써 不足名을 삼았고, 後에 後裔인 亞屬氏(阿速氏)와 애신氏(愛申氏)도 우수리강에서 不足名을 삼았다고 推測했다. [15]

號症익은 所謂 種網韓人들은 송 皇帝의 宗室 및 그를 끝까지 모셨던 代身 그룹의 後裔임을 잊지 않기 위해 自己들의 性에는 種族이라는 뜻이 있는 下라인 絞로 뒤에 宋의 황성인 兆(趙) 덧붙여서 自身들의 正體性을 잊지 않기 위해 새로운 氏族을 만들면서 條(趙)의 半折을 쪼개서 郊勞로 고쳤던 것인데 이를 還元하면 바로 조氏(趙氏)가 된다. 《 康熙字典 (康熙字典)》에 兆(趙)字의 半切은 《廣韻(廣韻)》에서는 치小節(治小切), 《集韻(集韻)》·《運回(韻會)》·《정운(正韻)》에서는 직소節(直紹切)이요, 發音은 모두 組(肇)라고 하였다. 다시 말하면 助子의 半切은 治나 直은 超音이 zh, 終聲은 ao이니 現代 中國語 로는 zhao가 된다. 이 發音은 自身들을 監視하는 女眞族 들이 알아 듣지 못하도록 jiao lao 로 發音하였다는 理論으로 아이신 絞로 一族이 宋 徽宗의 後裔라고 推測했다. [16]

歷史 [ 編輯 ]

誕生 [ 編輯 ]

아이신 絞로 一族의 名稱과 歷史는 다른 어떤 滿洲族의 一族만큼이나 必要한 것이었으며, 또 加工되었다. 누르價値 의 무쿤(穆昆, 滿洲語 : ????? Muk?n ) 共同體는 그 自身의 時代레는 틀림없이 잘 整備되었겠지만 매우 明確하게 이름이 붙은 것도 아니었고, 그 歷史도 傑出한 祖上을 가젔다고 主張할 수 있다는 事實에도 不拘하고 몇몇 模糊한 句節이 있었다. 祖上의 血統을 正確하게 主張한 時期가 언제였는지는 不分明하지만 [週 1] , 그 이름을 選擇한 理由는 좀 더 분명하다. 그 理由는 比較的 關聯이 먼 集團이 統治權을 主張하지 못하도록 遮斷하고, 種族에 根據한 샤머니즘 敵 崇拜를 國家의 祭禮로 形成되도록 하며, 帝國의 歷史에 動機를 附與하기 위해서였다. [17]

《滿洲實錄(滿洲實錄, 滿洲語 : ???????
????????
?????
Manju-i Yargiyan Kooli ) 1卷의 滿洲 建國 神話 揷畵 中 長白山 部分

長白山 ( 滿洲語 : ??????
????????
????
Golmin ?anggiyan Alin )의 東쪽에 部쿠리産(布庫里山, 滿洲語 : ????
????
Buk?ri Alin )이 있는데, 그 아래에 불훠리__301/ Bulh?ri)라는 蓮못이 있었다. 天女(天女) 셋이 하늘에서 내려와 蓮못에서 沐浴하였는데, 長女는 엉구런(恩固倫, Enggulen)이고, 次女는 庭球런(正固倫, Jenggulen)이며, 季女(季女, Fiyangg? Sargan)는 퍼쿠런(佛庫倫, Fekulen)이다. 歲 仙女가 沐浴을 마치자, 신령스러운 까치(神鵲, Enduri Saksaha)가 酒果(朱果, Fulgiyan Tubihe)를 입에 문 채 곧 季女의 옷 소매에 두니, 誡女歌 酒果를 삼켰고, 마침내 妊娠하였다. 이윽고 사내 하나를 出産하니, 태어나면서부터 말에 能했고, 體毛가 奇異하였다. 장성함에 이르러, 퍼쿠런이 孕胎한 緣故를 알려주고는, 命하여 말하길, "하늘이 나라의 亂을 平定하기 위해 너를 生産하였으니, 아이신 絞로(愛新覺羅, Aisin Gioro)를 姓氏(Hala)로 삼고, 部쿠리 龍숀 (布庫里雍順, Buk?ri Yong?on)을 이름으로 삼겠다" 그리고 곧 하늘 높이 올라 가버렸다.

沒落 [ 編輯 ]

辛亥革命 으로 無能하고, 腐敗가 絶頂인 封建前提의 靑 帝國 이 瓦解되었지만, 眞正한 共和政治가 實現되지 못하고 軍閥의 統治가 뒤를 이었으며 民族 差別 政策이 隨伴되었다. 全國 各地의 廚房팔기(駐防八旗)들은 例를 들어 西安 · 南京 · 杭州 · 형주 等地에서 無辜한 滿洲族 官兵을 殺害하는 事件이 到處에서 일어났다. 이에 따라 滿洲族 사람들은 어쩔 수 없이 한족(漢族)의 姓氏로 바꾸는 것이 적지 않았다. 滿洲族이 많은 北京地域에서는 少數의 達官 · 顯貴이기 때문에 族屬과 姓氏를 바꿀 方法이 없는 사람 以外에 一般的으로 滿洲人들은 族屬과 姓氏를 바꾸는 數字가 적지 않았으며, 그렇지 않는다면 입에 풀질하고 살 方道조차 찾을 수도 없을 뿐만 아니라, 이미 가지고 있던 職場이나 일자리도 잃어버릴 수 밖에 없었다. [18] 그리하여, 많은 아이신 絞로 一族들은 自身의 性을 漢城 金(金)·조(趙)·조(肇)·라(羅)·애(艾)로 바꿨으며, 代代로 遼寧省 무筍 辛嬪 滿足 自治縣 一帶에서 살았다. [19]

各州 [ 編輯 ]

  1. 김득황 (1995). 《基礎萬韓辭典》. 垈地文化史. 8쪽.  
  2. (愛新覺羅瀛生, 《滿語雜識》, 學院出版社, 975쪽
  3. ?文良 (1990). 《《?族大?典》》. ??大?出版社. 617쪽. ISBN   9787561008645 .  
  4. Crossley, Pemela Kyle. 《滿洲族의 歷史》. 돌베게. 69쪽. ISBN   9788971995310 .  
  5. 峽谷(夾谷, ?谷)과 協高(夾古) 그리고 가고(加古)는 모두 中國語로 읽으면 'jiagu'가 된다. 따라서 이는 女眞族의 갸區(Gia-gu)氏를 漢字로 音借하면서 若干의 다른 表記가 생겼을 뿐 結局은 같은 姓氏로 보인다. -《夾谷氏考略》
  6. 《金絲姓氏고》, 《金沙金局어해》에 '夾谷曰仝'라 돼있다.
  7. 이훈. 《滿洲族 이야기》. 너머북스. 41쪽. ISBN   9788994606514 .  
  8. 奴之祖?敎場建州衛左都督僉事.---場內, 《要이略》
  9. 女眞國建州衛管束夷人之主?努兒哈赤稟, 爲夷情事, 蒙?朝鮮國我女眞國二國, 往來行走學好, 我二國無有動兵之禮.---신충일, 《件주도록》
  10. 建州等處地方國王?, 爲我二國同討議事…---吳?,《李朝實錄中中國關聯史料》, 2163쪽
  11. 天帝셴 (2015). 《누르하치》. 돌베게. 30~32쪽. ISBN   9788971996461 .  
  12. 《漫文원당(?文原?)》1618年 4月 記事, tere yamji han gisureme tebi. monggo gurun i beile enggederi gebungge hojihon. sahalca gurun i amban sahaliyan i gebungge hojihon i baru. julgei aisin han i banjiha koolibe alabi jai hendume.
  13. 天帝셴 (2015). 《누르하치》. 돌베게. 333쪽. ISBN   9788971996461 .  
  14. ?天挺, 《探微集》,中??局, 1980, 44~46쪽
  15. 張博泉 等, 《東北古代民族-考古與疆域》, 吉林大學出版社, 73쪽
  16. 好增益, 《新滿漢大詞典》, 新疆人民出版社, 338쪽
  17. Crossley, Pemela Kyle. 《滿洲族의 歷史》. 돌베게. 71쪽. ISBN   9788971995310 .  
  18. 金啓?,《滿族歷史與文化簡編》, 327쪽
  19. ?文良 (1990). 《《?族大?典》》. ??大?出版社. 617쪽. ISBN   9787561008645 .  
內容主
  1. 改正된 記錄은 그 集團이 恒常 그런 名稱을 가졌다고 主張했기 때문이다.
建州女眞 酋長
臺數 廟號 시호 聲明 在位期間
- 靑 時調
(淸始祖)
(淸 太祖 追崇)
- 아이신기오로 部쿠리龍숀
( ????? ?????
?????? ??????
)
-
- 靑 曹操
(淸肇祖)
(淸 太祖 追崇)
元皇帝
(原皇帝)
아이신기오로 먼터무
( ???? ??????? )
1405年 ~ 1433年
- - 純皇帝
(順皇帝)
(淸 太祖 追崇)
아이신기오로 衝샨
( ???? ??????? )
1433年 ~ 1467年
- - 興皇帝
(興皇帝)
(淸 太祖 追崇)
아이신기오로 톨로
( ???? )
1467年 ~ 1481年
- - 正皇帝
(正皇帝)
(淸 太祖 追崇)
아이신기오로 시버오치피楊口
( ??????? ??????? )
1481年 ~ 1522年
- 靑 興兆
(淸興祖)
(淸 太祖 追崇)
職皇帝
(直皇帝)
아이신기오로 푸만
( ????? ?????
?????
)
1522年 ~ 1542年
- 靑 慶弔
(淸景祖)
(淸 太祖 追崇)
益皇帝
(翼皇帝)
아이신기오로 忌惡窓가
( ????? ?????
????????
)
1542年 ~ 1571年
- 靑 玄祖
(淸顯祖)
(淸 太祖 追崇)
先皇帝
(宣皇帝)
아이신기오로 탁시
( ????? ?????
?????
)
1571年 ~ 1583年
第1代 淸 太祖
(淸太祖)
승천광운성덕신공조기입극인효
예무단의흠안홍문정업고황제
(承天廣運聖德神功肇紀立極仁孝
睿武端毅欽安弘文定業高皇帝)
아이신기오로 누르하치
( ????? ?????
???????
)
1583年 ~ 1616年
後金 大칸과 年號
御眞 臺數 廟號 시호 聲明 年號 在位期間 陵號
第1代 太祖
(太祖)
勝천광운盛德神功
早期입劇인효예무
段醫欠안홍문正業
고황제
(承天廣運聖德神功
肇紀立極仁孝睿武
端毅欽安弘文定業
高皇帝)
아이신기오로 누르하치
( ????? ?????
???????
)
千名
(天命)
1616年 ~ 1626年 複陵
(福陵)
第2代 太宗
(太宗)
應天興國홍덕창무
管온人性例孝經民
小井융度玄公
門皇帝
(應天興國弘德彰武
寬溫仁聖睿孝敬敏
昭定隆道顯功
文皇帝)
아이신기오로 홍타이지
( ????? ?????
?????
)
千摠
(天聰)
1626年 ~ 1636年 少陵
(昭陵)
淸나라 皇帝와 年號
御眞 臺數 廟號 시호 聲明 年號 在位期間 陵墓
- 時調
(始祖)
(太祖 追崇)
- 애신각라포고리옹순
(愛新覺羅布庫?雍順)
아이신기오로 部쿠리龍숀
( ????? ?????
???? ??????
)
- - -
- 曹操
(肇祖)
(太祖 追崇)
元皇帝
(原皇帝)
愛臣各라猛특목
(愛新覺羅孟特穆)
아이신기오로 먼터무
( ????? ?????
???????
)
- - -
- 興兆
(興祖)
(太祖 追崇)
職皇帝
(直皇帝)
愛臣角라복만
(愛新覺羅福滿)
아이신기오로 푸만
( ????? ?????
?????
)
- - -
- 慶弔
(景祖)
(太祖 追崇)
益皇帝
(翼皇帝)
愛臣角라교창안
(愛新覺羅覺昌安)
아이신기오로 忌惡窓가
( ????? ?????
?????????
)
- - -
- 玄祖
(顯祖)
(太祖 追崇)
先皇帝
(宣皇帝)
愛臣各라塔極細
(愛新覺羅塔克世)
아이신기오로 탁시
( ????? ?????
?????
)
- - 興陵
(興陵)
第1代 太祖
(太祖)
승천광운성덕신공조기입극인효
예무단의흠안홍문정업고황제
(承天廣運聖德神功肇紀立極仁孝
睿武端毅欽安弘文定業高皇帝)
愛臣各라奴爾哈赤
(愛新覺羅努爾哈赤)
아이신기오로 누르하치
( ????? ?????
???????
)
- (推尊) 複陵
(福陵)
第2代 太宗
(太宗)
응천흥국홍덕창무관온인성
예효경민소정융도현공문황제
(應天興國弘德彰武寬溫仁聖
睿孝敬敏昭定隆道顯功文皇帝)
愛臣各라황태극
(愛新覺羅皇太極)
아이신기오로 홍타이지
( ????? ?????
??? ?????
)
崇德
(崇德)
1636年 ~ 1643年 少陵
(昭陵)
- 成宗
(成宗)
(世祖 追崇)
(追後 削奪)
武德水原鑛業精工
安民입精誠京義皇帝
(懋德修遠廣業定功
安民立政誠敬義皇帝)
(豫衝親王<睿忠親王>)
愛臣角라다이곤
(愛新覺羅多爾袞)
아이신기오로 도르곤
( ????? ?????
??????
)
- - -
第3代 世祖
(世祖)
체천융운정통건극영예흠문
현무대덕홍공지인순효장황제
(體天隆運定統建極英睿欽文
顯武大德弘功至仁純孝章皇帝)
愛臣各라복림
(愛新覺羅福臨)
아이신기오로 푸린
( ????? ?????
?????
)
脣齒
(順治)
1643年 ~ 1661年 孝陵
(孝陵)
第4代 聲調
(聖祖)
합천홍운문무예철공검관유
효경성신중화공덕대성인황제
(合天弘運文武睿哲恭儉寬裕
孝敬誠信中和功德大成仁皇帝)
愛臣各라현엽
(愛新覺羅玄燁)
아이신기오로 히오완예이
( ????? ?????
?????? ??
)
康熙
(康熙)
1661年 ~ 1722年 景陵
(景陵)
第5代 世宗
(世宗)
경천창운건중표정문무영명
관인신의예성대효지성헌황제
(敬天昌運建中表正文武英明
寬仁信毅睿聖大孝至誠憲皇帝)
愛臣角라윤진
(愛新覺羅胤?)
아이신기오로 人展
( ????? ?????
?? ???
)
雍正
(雍正)
1722年 ~ 1735年 태릉
(泰陵)
第6代 高宗
(高宗)
법천융운지성선각체원입극
수문분무흠명효자신성순황제
(法天隆運至誠先覺體元立極
敷文奮武欽明孝慈神聖純皇帝)
愛臣各라홍력
(愛新覺羅弘曆)
아이신기오로 훙리
( ????? ?????
???? ??
)
乾隆
(乾隆)
1735年 ~ 1795年 裕陵
(裕陵)
第7代 人種
(仁宗)
수천흥운부화수유숭문경무
광유효공근검단민영철예황제
(受天興運敷化綏猷崇文經武
光裕孝恭勤儉端敏英哲睿皇帝)
愛臣各라옹廉
(愛新覺羅?琰)
아이신기오로 龍얀
( ????? ?????
??? ???
)
佳境
(嘉慶)
1795年 ~ 1820年 昌陵
(昌陵)
第8代 腺腫
(宣宗)
효천부운입중체정지문성무
지용인자검근효민관정성황제
(效天符運立中體正至文聖武
智勇仁慈儉勤孝敏寬定成皇帝)
愛臣各라민녕
(愛新覺羅旻寧)
아이신기오로 民닝
( ????? ?????
??? ???
)
道光
(道光)
1820年 ~ 1850年 帽綾
(慕陵)
第9代 文宗
(文宗)
협천익운집중수모무덕진무
성효연공단인관민장검현황제
(協天翊運執中垂謨懋德振武
聖孝淵恭端仁寬敏莊儉顯皇帝)
愛臣各라혁저
(愛新覺羅奕?)
아이신기오로 移住
( ????? ?????
? ??
)
咸豐
(咸豊)
1850年 ~ 1861年 정릉
(定陵)
第10代 穆宗
(穆宗)
계천개운수중거정보대정공
성지성효신민공관명숙의황제
(繼天開運受中居正保大定功
聖智誠孝信敏恭寬明肅毅皇帝)
愛臣角라재순
(愛新覺羅載淳)
아이신기오로 자이슌
( ????? ?????
??? ???
)
同治
(同治)
1861年 ~ 1875年 惠陵
(惠陵)
第11代 德宗
(德宗)
桐千숭韻大衆誌정경문
위무인효예지단검관근경황제
(同天崇運大中至正經文
緯武仁孝睿智端儉寬勤景皇帝)
愛臣各라재첨
(愛新覺羅載?)
아이신기오로 자이티얀
( ????? ?????
??? ?????
)
光緖
(光緖)
1875年 ~ 1908年 崇陵
(崇陵)
第12代 - -
(손皇帝<遜皇帝>)
(말皇帝<末皇帝>)
愛臣各裸婦의
(愛新覺羅溥儀)
아이신기오로 푸이
( ????? ?????
?? ?
)
先通
(宣統)
1908年 ~ 1912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