生涯週期假說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生涯週期假說 ( 英語 : life-cycle hyphothesis ) 또는 平生所得假說 은 現在消費가 現在所得 뿐만 아니라 平生所得에 달려있다고 主張하는 假說이다. [1] 1950年 이탈리아 經濟學者 프랑코 모딜리아니 와 그의 弟子 블룸버그(Modilgliani-Ando-Brumberg)의 論文에서 처음으로 登場하며 1980年 이 되어서야 完成되었다. [2]

모딜리아니는 프리드먼 恒常所得理論 이 個人의 貯蓄과 合理的 消費를 模型으로 한다는 點에서 自身의 理論과 다르다고 하면서도 貯蓄과 一時的인 收入에 對해 다룬다는 點에서는 根本的으로 같다고 말했다. [3]

前提 [ 編輯 ]

모딜리아니는 個人의 消費性向은 나이에 따라 돌아오는 資本의 比率로 알 수 있으며 이를 函數로 表現할 수 있다고 보았다. 또한 個人의 消費函數에 對한 整理는 나아가 個人이 屬한 集團의 消費函數에 對한 整理에 到達할 수 있다고 보았다. 또한 全體의 消費 函數는 個人의 消費 函數, 社會의 年齡 構造와의 聯關이 明確하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그는 效用函數에 對한 前提를 다음과 같이 두었다. [4]

첫番째 前提는 效用函數는 다른 時點에서의 消費와 같으며(homogeneous) 萬若 個人이 所得을 平素보다 더 받더라도 갑작스런 所得 變動 以前에 全體的인 所得을 分割했던 것과 같은 比率로 消費와 貯蓄을 나눌 것이라는 前提이며 두番째 前提는 個人은 相續을 받을 것을 豫想하고 行動하지도, 相續財産을 抛棄한다는 前提를 가지고 行動하지도 않는다는 것이다.

이런 前提에 따라 모딜리아니는 平均消費性向은 一生을 통틀어 일정하다고 보았다.

消費函數 [ 編輯 ]

平均消費性向 [ 編輯 ]

모딜리아니는 自身의 理論이 一般人들에게도 쉽게 理解되길 바랬다. 그는 그의 理論으로 사람들에게 不確實한 未來에 關心가지기를 願했고 一般人들도 쉽게 理解할 만한 同時에 理論的으로 滿足할 만한 公式을 考案하는 過程이 가장 어려웠다고 말했다. [2] 모딜리아니의 生涯週期假說에 對한 消費函數는 다음과 같다. [1]

年間 일한다 하면 는 平生의 所得을 뜻하며 는 現在의 財産을 뜻한다. 는 長期消費性向이라 부르며, 使用 可能한 所得 中 消費에 使用되는 比率( )과 같다. 는 平均壽命이 일 때 消費( )에 使用할 수 있는 所得의 量이다. 이 式을 整理하면 다음과 같다. [1]

일 때, 라고 假定하자. 그러면 다음과 같다.

이 式으로 平均消費性向을 求할 수 있다. 量 變을 로 나누면 과 같은 食餌 나오는데 를 所得( ) 中 消費에 使用하는( ) 比率인 平均消費性向이라고 부른다.

附議 駱駝등 形態 [ 編輯 ]

모딜리아니는 貯蓄의 動機를 未來의 不確實性 에 對해 對備하기 위한 豫備的 目的이 貯蓄을 하는 動機 中 하나이며 廳長年時期에 附加 增加하는 理由는 이런 豫備的 貯蓄 때문이라고 보았다. [3] 1999年 經濟學者 툴리오 者펠리 (tullio jappelli)는 生涯週期假說 論文에서 이를 다음과 같은 消費函數로 表現하였다. 이때 부는 駱駝등 形態(hump-shape)를 가진다. [5] [6]

歷史 [ 編輯 ]

모딜리아니와 블룸버그의 生涯週期假說에 影響을 준 것은 케인즈 絶對所得假說 피셔 時祭消費選擇 [1] 쿠즈네츠의 發見으로 생각되며 部分的으로 도로시 브래디 와 프리드먼, 마가렛 레이드 의 影響을 받은 것으로 생각된다. 모딜리아니는 피셔의 時祭消費選擇 理論에 對해선 피셔가 巨視經濟學과 微視經濟學的 證據를 綜合한 消費 理論을 내놓은 것이 經濟學에 새로움과 實驗的인 意味를 提供했다고 보았다. [2]

生涯週期假說은 모딜리아니가 1950年 그의 弟子 블룸버그와 함께 作業한 論文에서 個人의 消費 行爲에 對한 그 個人의 效用을 따지는 效用函數 에서 出發했다. [4] 1954年 論文에서도 生涯週期假說을 發見할 수 있으나 불룸버그가 心臟病으로 死亡하고 혼자서는 自身의 論文을 改正할 수 없게 되면서 1980年 모딜리아니가 整理한 論文을 發表할 때까지 生涯週期假說에 對한 內容은 印刷本으로 出版되지 않았다. [2]

1985年 노벨 經濟學賞을 主管하는 스웨덴 國立銀行 은 모딜리아니가 生涯週期假說을 통해 以前의 類似한 理論들을 발전시켰다고 보았다. 스웨덴 國立銀行은 生涯週期假說에 對한 노벨經濟上 授與 立場을 다음과 같이 밝혔다. [7]

生涯週期假說은 純全히 微視經濟學 理論이지만, 모딜리아니는 이것을 巨視經濟學 敵 理論과의 組合 속에 發展시켰다. 長期的으로 平生의 貯蓄 比率은 일정하다거나, 資本은 所得에 아주 적은 影響을 줄 뿐이라고 主張하는 點에서 恒常所得理論과도 類似한 點이 發見되나 그 意味(implications)를 달리한다는 點에서 以前의 恒常所得理論 과는 큰 差異가 있었다. 가장 重要한 差異點은 平生의 貯蓄의 量은 全的으로 經濟成長率에 달려있다고 하는 것이며 또 다른 點은 貯蓄이 經濟的인 要因 뿐만 아니라 人口構造 , 期待壽命 과 같은 人口學的인 要因에도 影響을 받는다는 것이다. (中略) 그의 學問的 成就는 全的으로 그의 根本的인 생각을 그가 多角度로 발전시킨 以前의 理論에 適用하고 調整하고 理論으로 發表한 데에 있다.
The life-cycle hypothesis is a purely microeconomic theory. However, Modigliani has shown in a number of later works - some of which were produced in collaboration with others - that the hypothesis has a number of macroeconomic applications. A few of these are identical with those of the permanent income hypothesis, for instance the idea that the aggregate saving ratio is constant in the long term and that capital gains affect consumption only slightly. However, some of the macroeconomic implications differ completely from those of earlier theories. The most central one is that aggregate savings depends primarily upon the rate of growth of the economy.

Other distinguishing implications are that aggregate saving is endogenously determined by economic as well as demographic factors, such as the age structure of the population and the life expectation... His achievement lies primarily in the rationalization of the idea into a formal model which he has developed in different directions and integrated within a well-defined and established economic theory

 
— 스웨덴 王立科學院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윤석범. 《새巨視經濟學》 . 146p쪽.  
  2. Angus, Deaton (2005). “Franco Modigliani and the Life Cycle Theory of Consumption” (PDF) . 《PSL Quarterly Review》 58 (8): 233-234.  
  3. FRANCO, MODIGLIANI (1986.6). “LIFE CYCLE, INDIVIDUAL THRIFT AND THE WEALTH OF NATIONS” (PDF) . 《The American Economic Review》 (Jstor) 76 (3): 297-313. 2016年 9月 11日에 原本 文書 (PDF) 에서 保存된 文書.  
  4. Franco, Modigliani; Albert, Ando (1963.4.d). “The "Life Cycle" Hypothesis of Saving: Aggregate Implications and Tests” (PDF) . 《The American Economic Review》 53 (1): 55-84. 2016年 3月 5日에 原本 文書 (PDF) 에서 保存된 文書.  
  5. 남주하; 곽승영; 조장옥 (2004年 3月 16日). 《韓國 人口高齡化의 經濟的 效果》 . 한국경제연구원. 90쪽.  
  6. Tullio, jappelli (1999年 4月 8日). “The Age-Wealth Profile and The Life-Cycle Hypothesis:A Cohort Analysis with a Time Series of Cross-Sections of Italian Households” (PDF) . 《the review of income and wealth》 45 (1): 4. doi : 14754991 |doi= 값 確認 必要 ( 도움말 ) .  
  7. “The Sveriges Riksbank Prize in Economic Sciences in Memory of Alfred Nobel 1985” . 《Nobelprize》. 1985年 8月 15日.